올해 베스트셀러 중의 하나인 <82년생 김지영>을 읽었습니다.
대한민국 여성 평균의 삶?
김지영이라는 주인공 이름부터 82년생 중 가장 많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2녀 1남의 둘째딸, 막내 남동생에게 우선권을 주는 집안 분위기, 남자 짝궁의 괴롬힘을 관심으로 받아들이라는 초등학교 선생님, 드문드문 일상에 균열을 내는 성추행을 경험하는 여고시절, 전남친과 공개연애 후 헤어지면 씹던 껌이 되어버린 대학 시절, 어렵게 취직하면 성실과 열정을 갉아먹어 버리는 구조적 남녀차별ᆢ 여기까지는 나도 공감하며 읽을 수 있었지만 결혼과 육아는 경험하지 못한 세계인지라 답답함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
김지영 씨는 말할 수 있는가?
결혼 후 김지영 씨는 임신과 함께 커리어를 포기하고 전업주부의 길을 걷습니다. 산후우울증과 육아우울증은 독특한 해리장애 증세로 나타나며, 평소에 하지 못한 이야기를 깜빡 본래의 자아를 잃을 때, 어머니, 여선배의 목소리로 진심을 토해냅니다. 빙의된 상태인지 분간가지 않는 독특한 설정은 이 소설의 거의 유일한 소설적 장치가 아닌가 합니다. 이 외엔 소설의 큰 틀 속에서 많은 신문기사와 통계치를 가져와 에피소드를 구성한 절반 쯤 르뽀같은 분위기입니다.
소설에서 느끼는 갑갑함은 김지영 씨가 불합리함을 경험하면서도 목소리를 내지 못함에 있습니다. 후폭풍을 염려하며, 눈앞의 보복이 두려워 입을 다물고 마는 장면들은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는 현실에 닿아 있습니다. 말하지 못하는 억압은 신경증으로 나타나고 자아가 사라지고 타인의 목소리를 빌어야 비로소 진심이 드러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