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llowing
19
Follower
1
Boost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텐가?…용기 있는 내부고발자 '스노든'

미국에서 일어난 슬픈 사건 9.11 테러를 경험한 에드워드 스노든은 조국을 지키겠다는 애국심이 피어났고, 국가를 위해 일하게 되는 행운을 얻는다. 뛰어난 지능과 컴퓨터에 정통한 실력 덕분에 스노든은 CIA와 NSA 등 미국 내 정보기관 고위 관계자들에게 인정을 받으면서 최고 전문가로 거듭난다. 그런데 국가를 향한 헌신이나 그의 명성이 올라갈수록, 그는 고민에 빠진다. 테러의 위협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미국 정보기관은 블랙리스트를 넘어 세계 곳곳에 도청장치를 설치해 모든 이들의 사생활 일거수일투족이 무작위로 수집하며 지구 전역을 감시하는 감시기관 구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노든이 기대했던 오바마 정권도 이 심각한 문제를 외면했다. 2013년 청문회에 등장한 NSA 국장 제임스 클래퍼의 "우리는 헌법에 위배되지 않은 채, 임무수행하고 있다"는 뻔뻔한 거짓 답변을 본 스노든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모두를 위한 내부고발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조국에 대한 애국심으로 CIA에 발을 들여놓은 지 9년 만에 그는 '반역자'로 돌아섰다. 2012년 '파괴자들' 이후로 오랜만에 스크린에 모습을 드러낸 올리버 스톤은, 이미 전세계를 충격으로 빠뜨린 스노든의 프리즘 폭로 사건을 굳이 다시 영화로 제작하여 전세계에 공개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이미 '시티즌 포'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다뤄진 바가 있는데도 말이다. 먼저 에드 스노든처럼, 모두를 위한 내부고발자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끔 한다. '스노든'의 주연배우로 출연한 조셉 고든-레빗 또한 "내가 스노든이었다면, 저 상황을 어떻게 해결했을까?" 하는 관심 때문에 영화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올리버 스톤 또한 스노든의 태도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게 타 작품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 '사루'들에게 '구글어스'같은 희망이길…'라이언'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 인도. 2016년 기준으로 13억 명이라는 방대한 인구가 사는 이 나라에 따라붙는 또 하나의 타이틀, "매년 10만 명의 어린이가 실종되는 나라". 인도의 기차역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붐비지만, 갈 곳을 잃은 수많은 아이들이 방황하는 모습도 적잖게 발견된다. 그리고 그 아이들은 자신들보다 몸집이 훨씬 큰 낯선 어른들의 손에 끌려가 인신매매·앵벌이·매춘 등에 이용된다. 영화 '라이언'은 인도 사회 내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사실로부터 탄생하게 되었다. 인도 칸드와 가네샤 탈라이에 사는 5살 꼬마 '사루', 그는 형 '꾸뚜'를 따라 나와 낯선 기차역에서 홀로 잠들었다가 집을 잃어버렸고,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루는 집으로부터 1,500km 이상 떨어진 캘커타까지 떠밀려왔다. 가족과 떨어져 홀로 남은 5살 아이의 눈에서 바라본 캘커타는 무법천지였다. 자신이 알아듣지 못하는 벵골어로 말하는 낯선 사람들, 자신에게 갑작스럽게 호의를 베푸는 사람들, 자신 또래의 아이들이 아닌 밤중에 어른들에게 납치되어가는 광경은 '사루'에게는 무서움 그 자체였다. 다행스럽게도, '사루'는 운이 좋았다. 착한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사루'는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7,600km 떨어진 호주 태즈매니아에 사는 '브리얼리 부부'에게 입양된다. 좋은 가정환경 속에서 20여 년간 올바르게 자라던 '사루', 잊은 줄만 알았던 인도의 기억이 되살아나면서 그의 내적 갈등은 시작되었다. 잃어버린 줄로만 아는 자신을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찾고 있을 가족들을 생각하면 잠을 편히 잘 수 없었고, 옛 가족을 찾으러 떠나려고 하자니 자신을 그동안 키워준 현재의 부모를 배신하는 것 같아 죄책감에 시달렸다. 그 고민 속에서도 '사루'는 '구글어스'를 통해 이미 희미해진 7,600km 멀리 떨어져 있는 자신의 기억을 더듬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