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시피
by
marusol
레시피
4 Followers
원두이름 이름 쉽게 알아보기
❤️커피노마드와 카톡친구하기❤️ https://goo.gl/kNZ4po https://goo.gl/kNZ4po 인스턴트커피의 시대를 지나 요즘은 원두커피를 즐겨 찾는 분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또한, 집에서 직접 원두를 구입하여 내려 드시는 커피 애호가분도 날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막상 초심자는 처음 원두커피를 사려 할 때 수많은 종류와 알쏭달쏭한 이름으로 인해 무얼 살까 망설이게 됩니다. ✔ 그럼 지금부터 그 이름이 어떻게 정해지는 알아보도록 할까요. 원두커피에 붙여지는 이름은 대부분 일정한 규칙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름이 정해지는 6가지 원칙 정도만 알아도 그 원두커피가 어떤 것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 6가지는 이렇습니다. ✔✔ (1) 커피 생산국 (2) 커피 생산국 + 항구 이름 (3) 커피 생산국 + 커피 등급 (4) 커피 생산국 + 커피 형태 (5) 커피 생산국 + 커피 생산지역 (6) 커피 생산국 + 커피 생산 농장 이름 이렇게 6가지 형태로 커피의 이름이 지어지게 됩니다. 가령 ‘브라질 산투스’ ‘예멘 모카’와 같은 커피는 앞서 본 2번에 해당됨으로 생산국 이름 뒤에 항구 이름이 붙은 경우입니다. 또한, 위 6가지를 줄줄이 이어 붙일 경우 기다란 이름과 설명이 붙여지는 원리입니다. 커피 애호가가 증가함에 따라 좀 더 특별한 커피를 맛보려는 움직임으로 스페셜티 시장이 탄생하게 되었고, 고급화 시장에 발맞추어 원두커피의 이름 또한 더 세분화 되게 되는데 즉 앞서 말한 6개 분류에서 추가로 생산년도, 처리방식, 포장법 등이 기제됩니다. 예) [Ethiopia Yirgacheffe Kochere G1 2014 Washed] [Colombia Motilon Supremo Washed] 위의 이름을 풀어보면 ‘에디오피아 예가체프 코체레 농장에서 2014년 워시드 방식으로 가공한 G1 등급의 커피’ ‘콜롬비아 모틸론지역 에서 워시드 방식으로 가공한 수프리모(최고)등급의 커피’ 라는 의미가 됩니다. 즉 좀 더 자세한 커피원두의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길게 이름을 붙이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생두의 로스팅 정도를 표기하면 원두커피의 모든 정보가 들어가는 것이죠. ✔✔ 결국 긴 이름을 가진 원두커피는 뭔가 좀더 비싸 보이기 마련이고 난 ‘스페셜티야’ 라고 말하는 것 입니다. 실제로도 비싸구요. 한마디로 ‘상주 곶감 XX농장 김아무개 생산’ 이렇게 이름 붙이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알고 보면 어렵지 않죠. ❤️커피노마드와 카톡친구하기❤️ https://goo.gl/kNZ4po https://goo.gl/kNZ4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