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rzse's Collection
by
mmrzse
m
mmrzse's Collection
0 Followers
※ 수트 코디 제안 31가지! 클립해두고 참고하세요 :-)
다들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베이직한 아이템위주로 여러가지 컬러매치와 코디 팁을 공유합니다! 1. beige × white 자연스러운 구김이 매력인 베이지컬러의 수트와 화이트 스니커즈로 세미캐쥬얼한 데이트룩을 연출해보세요 2. gray × white × black 셔츠와 타이의 조합은 포멀하지만 자연스러운 구김이 매력인 캐쥬얼한 수트로 뻔한 코디를 벗어나는건 어떨까요? 3. black × white × stripe gray 깔끔한 모노톤에 패턴타이로 놈코어룩을 연출해보세요 4. marine blue × white × black 수트의 컬러가 포인트라면 고민하지말고 블랙&화이트로 차분하게 매치해주세요 5. beige × dark brown × brown 톤온톤 컬러매치로 안정적인 코디를 완성하세요 당신의 코디실패율은 0%입니다 6. gray × white × charcoal × black 무채색으로 컬러매치를 할 경우 넥타이의 톤은 자켓보다 어두운편이 안정적입니다 7. black × white × stripe black 블랙&화이트? 패턴타이로 포인트를 주세요 8. window check blue × beige × brown 패턴수트가 어려우신가요? 깔끔한 티셔츠로 쉽게 코디하세요 코디실패율이 낮아집니다 9. glen check ivory × white × black 튀는 패턴이 부담스럽나요? 은은한 패턴으로 천천히 시작해보세요 처음엔 어렵지만 패턴의 매력을 알기시작하면 끝납니다 10. bokashi gray × white × dot blue × brown 보카시와 도트타이, 브라운로퍼의 조합은 흔치않죠 클론(복제인간)을 탈출할 기회입니다 11. window check black × beige × white 모던하고 차분한 느낌의 격자패턴, 유럽감성이 느껴지십니까? 12. royal blue × beige × camel 오늘은 내가 주인공이야 룩 13. stripe beige × white × wine 네이비,블랙 컬러에만 입혀졌던 핀스트라이프 패턴이 베이지 컬러에 이렇게나 잘어울리네요 정열적인 타이로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14. check gray × white × black 클래시컬한 체크패턴의 수트는 올드해보이지 않도록 무난하게 매치하는것이 안정적입니다 15. sky blue × white × dot blue 하늘같은 시원한 컬러의 수트로 시선을 강탈해보자구요 16. khaki × white × stripe green × black 카키와 딥그린으로 톤인톤 컬러매치 포인트는 스트라이프패턴 타이로 17. indigo gray × white × black 은은한 푸른빛이도는 그레이수트는 블랙&화이트로 희소성있는 유니크한 컬러를 포인트로 살려주세요 18. beige × white × khaki × brown 웜톤의 조화로운 컬러매치는 포근함을 주기 좋습니다 19. seersucker check × white × black 체크성애자를 위한 체크패턴의 시어서커원단, 통풍이 너무잘되서 닭살이 돋습니다 20. black × white × charcoal 코디실패율 0% 톤온톤 매치 21. blue × beige × brown 블루와 베이지는 의외로 궁합이 상당히 좋습니다 꽃을 꺾지맙시다 저것은 페이크 꽃입니다 22. light khaki × dot blue × camel 쨍한 컬러감의 민트색이 아닌 은은한 라이트 카키컬러와 보카시가 주는 고급스러움이 경쾌한 카멜 로퍼와 궁합이 매우 좋습니다 23. deep blue × white × dot navy × brown 은은한컬러의 딥블루 수트와 브라운 로퍼의 궁합이 찰집니다 24. double check gray × cement gray × brown 예술할거같은 유로피안 감성 룩 수염나면 더 잘어울릴것 같은 룩 25. check navy × white × black 솔리드한 네이비수트도 좋지만 은은한 체크의 네이비수트로 포인트를 주면 어떨까요? 26. mud khaki × white × khaki × brown 오묘한 카키색감이 매력적인 핀스트라이프 수트와 솔리드한 노멀카키 타이, 브라운로퍼로 밀리터리한 컬러매치를 해봤습니다 27. light gray × white × gray × black 믿음직스러운 사위룩 이상적인 상견례룩 자랑스럽다 우리아들 룩 28. black × white 중요한 자리엔 욕심내지말고 격식있게 블랙&화이트로 끝내주세요 29. midnight blue × white × stripe red × black 어둡지않은 네이비컬러의 수트로 동양인의 피부톤과 궁합이 좋은 수트, 레드+네이비로 고급스러운 포인트를 주세요 30. light gray × charcoal × black 때로는 노타이로 남자다운 모습도 보여주세요 의외로 좋아합니다 31. deep blue × beige × black 딥블루와 베이지, 그리고 블랙의 궁합이 조화롭습니다
[맥주의 정석] 제 1장. 맥주, 이제 알고 마시자. Part 1
하나, 수제맥주 붐이 한참인 가운데 맹맹한 국산맥주 때문에 아직도 소맥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대한민국 청춘남녀. 둘, 영국 명문대 출신의 맥주 전문가에게 배우는 맥주의 정석. 셋, 시대의 흐름을 앞지르는 무한한 맥주의 상식과 매력속으로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1. 알코올 도수가 몇도냐고? 알코올 도수는 크게 ABV(%)와 ABW(%) 이렇게 두 가지 단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먼저 ABV(%)는 Alcohol By Volume. 즉, 맥주 제품에 알코올이 차지하는 부피가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가장 널리 쓰이는 단위입니다. 만약 누군가 알코올 도수를 묻는다면 해당 맥주 제품에 나와있는 퍼센트를 참고하여 "O O맥주의 에이-비-뷔는 OO퍼센트야"라고 답해주시면 됩니다.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위이기 때문에 ABV라는 표시가 제품에 나와있지 않더라도 '아 ABV 퍼센트 단위이구나!'하고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 다음은 ABW(%), 이는 Alcohol By Weight인데 말 그대로 맥주 제품에 알코올이 차지하는 무게가 전체에 비례해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공식 문서 표시용 단위입니다. 보통은 미국의 the Bureau of Alcohol과 Tobacco and Firearms (BATF)과 같은 주류/유해제품 관리 기관에서 사용하는 단위이며 아주 가끔 접하게 되는 단위라고만 알고계시면 되겠습니다. ABW(%) ≒ ABV(%) x 0.8 ABV(%) ≒ ABW(%) x 1.25 2. 쓴맛도 단위가 있을까? 네, 있습니다 . 크게 두가지가 있으나 수치를 나타내는 단위인 IBU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IBU는 International Bitterness Unit. 즉, 국제 쓴맛 단위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보통 스케일의 단위는 숫자0과 1뿐만 아니라 2, 3, ....n 이렇게 무한하니 복수의 개념을 지니기도 합니다. 따라서 0 ~ 1이 아닌경우 IBU의 뒤에 소문자 s를 붙여 복수형태(IBUs)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측정법은 복잡하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맥주의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이소후물론(isohumulone)이라는 쓴맛을 내는 녀석을 ppm(part-per-million)이라는 단위로 측정을 하게 됩니다. 1 ppm = 1 IBU 너무 복잡하죠? 간단하게 예를 들어 알아보도록 합시다. 독일 헤페바이젠 : 독일식 밀맥주 (체링거 프리미엄 헤페바이젠 등) 10-16 IBUs 미국식 밝은 라거(카스, 버드라이트 등) 8-17 IBUs 오디너리 비터: 보통 쓴맥주 (존 스미스 등) 20-25 IBUs 인디언 페일에일 (IPA) (트리 하우스 줄리우스 등) 40-60 IBUs 맥주를 읽어주는 남자친구, 혹은 여자친구가 되고 싶다고요? IBUs는 그냥 "아이-비-유"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 존 스미스의 경우 "존 스미스의 쓴맛은 23 IBUs 야, 깔끔한 라거 맥주보다 조금 쓴정도? 마실만 해!" 이렇게 이야기 해주시면 이성친구가 엄청 좋아하면서 묻겠죠? "근데 자기야 아이-비-유 가 뭐야?" 1장 파트 1은 여기까지 입니다 ! 이상 우떠덕(우주로 떠난 맥덕)이었습니다 (꾸벅) 제 1장. Part 2 링크: https://www.vingle.net/posts/206819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일일이 클릭하기 바쁘고 귀찮으시다고요? 한국에서는 누구도 알려주지 않을 값진 맥주 지식만을 선별하여 하루에 딱 한 두 번만 업데이트 해드리겠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WouldYouBeerMacDuck/ 방문하셔서 페이지 Like 를 눌러주세요. 귀찮게 하지 않는 깔끔한 업데이트를 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