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망증을 없애는 6가지 방법
①뇌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걷기입니다. 미국 일리노이대 의대연구팀이 평균적인 뇌 크기를 가진 사람 210명에게 한번에 1시간씩 일주일에 3번 빨리 걷기운동을 시키고 3개월 뒤에 기억을 담당하는 뇌 세포에 활동상태를 조사하였더니 자신의 연령대보다 3살 어린 활동력을 보였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걷기 운동을 하면 운동 경추가 자극돼서 뇌 혈류가 두 배로 증가된다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동영 교수에 따르면 혈류 공급이 원활하면 뇌 세포를 죽이는 호르몬이 줄어들어서 뇌가 훨씬 복합적이고 빠른 활동을 수행 해 낼 수 있고 이러한 행동은 장기적으로 기억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②기억 수용체를 자극해주는 와인 마시기입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의대 연구팀은 하루 한 두 잔의 와인이 기억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놓았는데요. 뇌에는 NMDA라는 기억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있는데 이것이 알콜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활성화 된다는 것이지요. 건국대병원 신경과 한솔이 교수에 따르면 소량의 알코올은 NMDA를 자극 할 뿐 아니라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도 좋게 하고 특히 적포도주의 항산화 성분은 뇌 세포를 파괴하여 기억력을 감퇴 시킨다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③중추신경 흥분제인 커피 즐기기입니다. 프랑스 국립연구소 캐런이치박사가 65세 이상 남녀 7,000여명을 대상으로 4년동안 연구한 결과 커피를 하루 3장 이상 마신 그룹은 한 잔 정도 마신 그룹에 비해 기억력 저하 정도가 45% 이상 낮았다고 합니다. 또 캐나다 오타와대 연구팀이 1991년부터 1995년까지 4개 도시 6,000여명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카페인을 꾸준히 섭취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 보다 평균 31% 가량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합니다. 커피의 카페인 성분이 중추신경을 흥분시켜서 뇌의 망상체 즉 의식조절장치에 작용해서 기억력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④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키는 잠 잘자기입니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스틱골드가 2000년 인지신경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들려면 지식을 습득한 날 최소 6시간을 자야 한다는 군요. 수면전문병원 뇌성수면센터 박동선원장은 수면 중 그날 습득한 지식과 정보가 뇌 측두엽에 저장된다면서 특히 밤 12시부터 뇌 세포를 파괴하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많이 분비되므로 이때는 꼭 자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⑤기억을 돕는 노력으로 메모하기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우리 뇌와 장기기억 즉 오랫동안 반복되서 각인된 운명은 무제한 입니다. 하지만 단기기억, 즉 갑자기 외운 전화번호, 그 날의 할 일의 목록, 스쳐 지나가는 상점 이름 등에 대한 기억의 용량은 한계가 있다는 군요.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정신과 염병길 교수는 기억 세포가 줄어든 노인은 하루 일과나 전화번호 등을 그때그때 메모하는 것이 좋다고 하면서 오래 기억할 필요가 없는 단기기억들이 뇌에 가득 차 있으면 여러 정보들이 얽혀서 건망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단기기억은 뇌에 저장하는 대신에 메모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입니다. ⑥기본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독서하기입니다. 치매 예방에 좋다고 알려진 화투놀이나 바둑보다 독서가 기억력 유지에 좋다고 하는군요. 경희대 연구팀이 바둑, 고스톱, TV시청, 독서 등 여가생활과 치매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독서를 즐기는 노인의 치매 확률이 가장 적었다고 합니다. 뜻밖에 바둑이나 고스톱에 치매 예방효과는 거의 없었다고 하는군요.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는 독서를 하면 전 후 맥락을 연결해서 읽게 되므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서 훈련하게 되기 때문에 기억력 증진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합니다. 오늘은 나이 들면서 겪게 되는 기억력 감소 건망증을 줄이기 위한 6가지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여러분이 중년에 접어들었다면 걷기, 와인, 커피, 잠, 메모, 독서 이렇게 6가지 키워드를 실천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