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전기요금 ‘폭탄’의 주범으로 지목된 주택용 전기 누진제가 개편돼 전기료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문제는 어느 정도 완화할 것인지와 산업용 전기료 인상 여부, 원가연동제 도입 등이다. 정부와 새누리당이 산업용과 상업용 전기요금 개편은 그대로 두고 주택용 전기요금만 깎을 경우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당정 전기요금 태스크포스(TF)는 15일 ‘전기요금 당정TF-전기요금 개혁본부 연석회의’를 통해 현행 누진제를 3단계, 3배율 이내 수준으로 완화하는 새 전기요금 체계를 다음달 1일부터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광림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투명하게 원가가 공개되고 누진 단계와 배수는 대폭 축소돼야 한다”며 “다음 달 1일까지 요금 누진체계가 발표되지 못하더라도 요금은 (새 개편안으로 12월1일부터) 소급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단계나 배율이 세부적으로 얼마나 조정될지가 관심사다.
2004년 개정한 현행 누진제는 누진단계가 6단계, 누진율은 11.7배다. 이는 미국(2단계, 1.1배), 일본(3단계, 1.4배), 중국(3단계, 1.5배), 인도(3단계, 1.7배) 등 누진제를 채택한 다른 국가들보다 가혹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TF는 이와 같은 누진제 체계를 ‘3단계-3배 이하’로 개편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우태희 산업부 차관은 “주택용 누진제에 대한 것이 (논의의) 주된 관심사였다”며 “3단계라고 했지만 각 안 별로 단계나 배율이 다 다르며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