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llowing
170
Follower
2
Boost

아이의 질문에 지혜롭게 대답하는 9가지 방법

아이가 자랄수록 질문은 늘어나게 되고 점점 어떻게 대답해야 할 지 막막해집니다. 아이가 어렸을 때는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로 쉽고 짧게 설명해주면 되지만, 아이가 커서 만 3세만 넘어도 궁금증은 계속 생기게 됩니다. "이건 뭐야?", "저건 뭐야?" 식의 단답형 질문을 하던 아이가 어느 순간 "왜 꽃이야?", "아기는 어디서 태어나?" 식으로 정말 알고 싶거나 궁금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 때 보통 부모들은 어떤 식으로 대답을 해야하는 지 당혹스러움을 경험하게 되는데요. 아이들의 질문이 추상적인 경우가 많고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내에서 설명하는 번거로움도 생기게 됩니다. 그렇다고 모른다거나, 나중에 말해줄께 식으로 대충 넘어가 버리면 아이의 인지적 발달이나 호기심 충족에 도움이 전혀 되지 않지요, 그렇다면 아이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의 질문에 지혜롭게 대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의 질문에 대답할 때 잊지말 것! 아이들은 자신이 접하고 있는 모든 상황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자연, 사람, 본인, 가족, 문화에 관심이 많은데요. 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모든 것들이 궁금하고 신기하기만 한 아이들은 그래서 질문을 많이 하게됩니다. "왜 강아지는 말을 못해?", "물고기는 왜 같이 못 자?" 등 엄마가 듣기에는 원래 그런 것들이라 웃음이 나오기만 하지요. 그렇다고 그 대답으로 "원래 그래" 라고 해버리면 아이의 상상력은 거기서 끊어지게 됩니다. 로봇과학자 데이스홍 교수는 아이의 이런 엉뚱한 질문에 직접 결과를 보여주는 식으로 교육을 한다고 합니다. 원래 그렇다고 단정짓거나 비웃고 면박을 주는 행동을 하게 되면 아이는 자신이 바보같은 이야기를 했다고 생각해 부끄러워 합니다. 이런 경험이 자주 있다 보면 비웃음을 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질문을 하지 않게 되고 호기심과 궁금증을 갖는 것 자체를 회피하게 될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아이의 창의적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떤 질문을 하든지 비웃지 않고 진지하게 들어주고 받아주세요. 사실 아이들 말이 점점 많아져서 끝까지 들어주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잘 들어주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