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onitor 110
(1) 사업연도: 2006~2008년 경
(2) 서비스: 검색 엔진을 통해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최신 뉴스를 제공.
(3) 투자받은 금액: 약 2천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초반부터 너무 많은 PR 홍보를 함.
너무 많은 투자 금액을 받아, 효율적인 회사 운영을 안 했고 수익화를 내는 것에 초점을 안 맞춤.
전략 실행에 있어 경영진과 이사회의 이견 갈등
2. Boo.com
(1) 사업연도: 1998~2000년 경
(2) 서비스: 패션, 스포츠 인터넷 소매점.
(3) 투자받은 금액: 약 1억 3천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광고와 홍보에 너무 많은 예산을 쏟아부었음.
사용자들이 구매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과정에서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고 이것이 고객의 이탈을 야기함.
3. Cuil
(1) 사업연도: 2008~2010년 경
(2)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 검색 엔진.
(3) 투자받은 금액: 약 3천 3백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인덱스된 페이지들은 많았으나, 사용자들이 원하는 관련 정보를 수월하게 전달하는데 애를 먹었음.
인수 협상 실패 후 프로젝트를 중지함.
4. Joost
(1) 사업연도: 2006~2009년 경
(2) 서비스: P2P 방식의 비디오 컨텐츠 플랫폼.
(3) 투자받은 금액: 약 4천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너무 많은 사람들을 일찍 채용해서 대기업의 관료주의적 성격이 나타남.
비디오 플레이어가 다운로드 방식이고, 웹 브라우저에 기반을 둔 방식이 아니어서 입소문 효과 측면에서 단점이었음.
5. Kozmo
(1) 사업연도: 1998~2001년 경
(2) 서비스: 1시간 이내에 각종 잡화를 배달해주는 서비스.
(3) 투자받은 금액: 약 2억 8천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많은 시장에 대해 너무 빠르게 확장을 했음.
배달료 받는 것과 최소 주문 금액을 책정하는 것을 늦게 적용했음.
수익보다 손실 비용이 너무 크게 남.
6. Everpix
(1) 사업연도: 2011~2013년 경
(2) 서비스: 사진 저장 및 관리 플랫폼.
(3) 투자받은 금액: 약 2백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많은 비중의 예산과 시간을 서비스 자체를 만드는데 치중하여 마케팅에 쓸 자원이 크지 않았음.
큰 수익이 나지 않을 것이란 판단 하에 투자자들이 시리즈 A 펀딩에 참여하지 않음.
인수 협상을 시도했지만 이마저도 실패함.
7. Flud
(1) 사업연도: 2010~2013년 경
(2) 서비스: RSS 피드를 활용한 소셜 뉴스 어플리케이션.
(3) 투자받은 금액: 약 2백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사용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만드는 것 보다 각종 미디어에 보도되는 것에 시간을 많이 치중했음.
첫 펀딩 이후에 추가 펀딩에 실패해서 운영 자금이 없었음.
8. Eventvue
(1) 사업연도: 2007~2010년 경
(2) 서비스: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 컨퍼런스 참여자를 늘리기 위한 마케팅 서비스.
(3) 투자받은 금액: 약 45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는 애초에 참가자들(고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서비스가 아니었음.
후에 컨퍼런스 참여자를 늘리기 위한 마케팅 서비스로 바꿨지만, 자신의 지인이 참여했는지 볼 수 있는 기능 때문에 오히려 지인이 참여하지 않으면 동참을 안해 컨퍼런스 판매를 저조하게 만듬.
9. Outbox
(1) 사업연도: 2011~2014년 경
(2) 서비스: 오프라인 우편물들을 스캔해서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볼 수 있게 함.
(3) 투자받은 금액: 약 7백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사용자들의 우편물들을 직접 수거해서 스캔해야 하는데,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고객들의 유료 수요가 크게 적었음.
10. Drawquest
(1) 사업연도: 2010~2014년 경
(2) 서비스: 사용자들이 매일 주어진 미션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서로 결과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3) 투자받은 금액: 약 3백 6십만 달러
(4) 알려져 있는 실패 이유:
추가적인 그림 도구 등을 판매해 수익화를 실현하려 했으나, 마땅히 수익화를 하기 힘들었음.
출처 : http://onlinebiz.kr/archives/6456
바깥사람
(물론 투자를 받기까지도 매우 어렵습니다ㄷㄷ) 하지만 투자를 받았다고 해서 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건 아니죠. 단순히 텍스트로 나열된 실패 이유들만 보자면, 어떻게 저런 것도 미리 준비를 해놓지 않고 스타트업을 시작했나?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현실은 그렇게 녹록지 않죠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