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연휴는 잘보내셨나요?
전 노예해방 후 극심한 후유증으로 끙끙대다가 오늘에서야 겨우 정신을 차렸답니다
문장이란 무엇인가?
be동사와 일반동사
에 이어 오늘은 시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배워보고자 해요
시제는 크게 현재, 과거, 미래, 진행, 완료 이렇게 다섯가지로 구분 할 수 있어요
우리말에서도 시간에 따라
나는 어제 밥을 먹었다
나는 지금 밥을 먹는다
나는 내일 밥을 먹을것이다
라고 서술어가 바뀌듯이 영어에서도 시제에 따라 동사가 변함이 기본이라고 보시면 되요
그럼 이제 각 시제에 따른 기본형과 쓰임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볼까요?
1. 현재시제
현재시제는 반복되는 습관이나 과학적 사실, 일반적 사실, 불변의 진리 등 어제도 그랬고 지금도 그러하고 이변이 없는 한 내일도 그러할 것들을 나타낼 때 씁니다
기본형은 주어 동사의 현재형(주로 원형,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면 동.원 s,es,ies)
I go to school by bus.
내가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가는건 반복되는 일상이죠 그러니 현재형으로 씁니다
I play the piano on Sundays.
일요일 마다(on 요일s 는 그 요일마다라는 표현, 같은 걸로 every 요일 이 있어요) 피아노를 치는것도 반복적인 일이기에 현재형을 씁니다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가 동쪽에서 뜨는건 당연한 불변의 진리 그러니 현재형을 씁니다
그렇기에 사실상 오늘 있었던 일을 말할 때 현재형을 쓰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다는거죠
2. 진행시제
현재시제와 진행시제를 연결해야 혼돈을 막을 수 있을 것 같기에 과거 미래 전에 진행시제를 볼게요
진행시제 또한 과거, 현재, 미래, 완료까지 다 표현할 수 있어요 심지어 수동태 표현까지 진행은 말 그대로 행동이 계속되어지고 있다는 표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진행시제의 기본형은 주어 be + 동원ing 입니다
I am studying English now.
말 그대로 나는 지금 영어 공부를 하고 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동작에 대해 말할때 쓰죠
I was studying Englisg when you called me.
니가 전화 했을 때 나는 영어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었다 라고 과거 특정한 시점에의 동작에 대해 말할 때 씁니다
I will be studying English when you come home.
니가 집에 올때 나는 영어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일거야 라고 미래의 동작을 예상할때도 쓸 수는 있어요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for 3 hours.
나는 세시간 내내 영어공부를 하고 있다 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현재완료 진행으로 쓰기도 한답니다
(의미는 사실상 현재완료의 계속적 용법이랑 거의 같아요 다만 굳이 차이를 두자면 현재완료 진행은 그 기간동안 쉬지 않고 그 행동을 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고 현재완료는 그냥 얼마동안 그 일을 해왔다는 사실을 나타냄이죠 이 부분은 현재완료 부분에서 좀 더 자세히 다뤄드릴게요)
자 이쯤에서 이제 이 이질문이 나가야 겠네요
우리가 흔히 쓰고 듣는 말 느그 아부지 모하시노? 의 뉘앙스는 과연 What does your father do? 일까요?
아니면 What is your father doing? 일까요?
네네 여기서 말하는 느그 아부지 모하시노? 는 아버지의 직업을 묻는거죠 그렇기에 What does your father do? 의 현재형 시제를 써야합니다 What is your father doing? 은 아버지가 지금 하고 있는 동작이 무엇인지 물어보는것이요^^
즉 상대방의 직업을 물을 땐
What do you do? 라고 현재형으로 물어보시면 되요
지금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궁금할 땐
What are you doing? 하시면 되구요 이 질문은 다들 잘 알고 있지만 직업 묻는 표현을 현재형으로 해야한다는걸 모르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더라구요 학생일 경우는 저 두가지로 듣기문제 쏠찮이 나와요^^ 이참에 확실히 알고가요~~
3. 미래시제
미래의 일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으로 기본형은
주어 will 동.원 그리고 비슷한 표현으로 주어 be going to 동.원 이 있어요 사실상 둘이 거의 같다라고 하지만 또 굳이 차이를 주자면 will은 즉흥적인 미래의 계획을 쓸 때 주로 써요
상황적 예를 들자면 어떠한 일을 해야하는데 서로 하기 싫어 눈치만 볼때 '에휴 내가 하자' 라고 할때 I will do it. 이렇게 주로 쓰고요 계획된 미래는 주로 be going to를 써요
I am going to go shopping tomorrow with my friend.
나는 내일 친구와 함께 쇼핑을 갈 예정이다. 미리 친구와 약속을 했든 아니면 아직은 혼자만의 계획이던지 간에 미리 생각하고 계획했을 땐 이 표현을 씁니다. 근데요 사실상 거의 그냥 막써요 ^^
자자 여기서도 진행형과 햇갈리시면 안되요
I am going to school. 은 학교에 가고 있는 중인거고
I am going to go to school. 은 학교에 갈거다 에요
그리고 미래시제에서 중요한 건 따로 있어요
바로바로
현재형과 진행형이 미래형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점~
현재형으로는 주로 왕래발착 동사라고 하는데요 가다(go) 오다(come) 출발하다(start, depart, leave) 도착하다(arrive) 이런 애들은 현재가 미래를 나타낼 수 있어요
The train arrives in 5minutes.
그 기차는 5분 후에 도착할거야 (이 문장에서의 in은 ~ 후에의 표현으로 쓰여요)
My friend leaves this town tomorrow. 내일 내 친구는 이 마을을 떠날거야
즉 이변이 없는 한 일어날 일들 교통수단이 출발하고 도착하는 거 사람이 떠날 거 등등 주로 그런 표현에 쓰여요
진행형은 포괄적으로 가까운 미래를 나타낼 수 있어요
그동안 숱하게 들었던 노래 중에 있지요
Santa Claus is coming to town~~
오늘밤에 다녀가신대~~~ ㅎㅎ 물론 오늘밤이란 표현은 우리말로 번안했을 때 갔다 붙인거지만 째튼 산타 할부지가 마을에 오실거라는 표현이죠 ^^
오늘은 이정도에서 마무리 해야겠네요 ^^
다음시간에 과거와 우리의 영원한 적 현재완료에 대해 파헤쳐 보자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