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저로 대일 무역적자 매월 증가
- 일본엔 미국 이어 두번째 흑자 무역상대국
엔저 여파로 올해 들어 매월 대일 무역역조가 쌓여가면서 한국이 사실상 두 번째로 많은 무역흑자를 일본에 퍼주는 국가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일본 재무성의 4월 무역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4월 대일 무역적자는 2천482억 엔(약 2조6천935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5.7%, 전월보다 3.6% 증가했다
이로써 지난 1월 888억 엔이었던 대일 무역적자는 2월 1천336억 엔, 3월 2천395억 엔에 이어 4월까지 석 달 연속 확대됐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집계 상으로도 대일 무역적자는 1월 15억2천만 달러, 2월 20억7천만 달러, 3월 26억2천만 달러로 매달 늘었다.
이처럼 대일 적자가 증가하면서 일본의 무역흑자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지난 1월 일본에 무역흑자를 많이 내주는 국가 순위에서 한국은 미국, 홍콩, 대만, 태국 다음의 다섯 번째에 머물렀다.
그러나 2월 들어 미국, 홍콩, 대만에 이어 네 번째가 됐고, 3월과 4월에는 대만을 제치고 미국, 홍콩에 이은 일본의 세 번째 흑자 무역상대국으로 떠올랐다.
이 중 홍콩은 중국의 일부로서 홍콩의 적자가 중국의 막대한 대일 흑자로 상쇄되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사실상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흑자를 일본에 내주는 나라인 셈이다.
- 출처 : 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기사에 이 현상의 원인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적혀 있지 않군요. 이런 현상의 대표적인 원인은 일본에 대한 기술경쟁력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꽤 많은 수의 중소기업들이 일본에게 기술 종속되어있다고하죠.
가끔 환율 변화로 적자가 감소했다는 보도를 접하는데요. 환율이 높아도 환율이 낮아도 적자는 적자입니다. 이번 새 정부는 환율놀이를 하지말고, 기술을 우대하는 풍토를 만들어 기초 소재 기술에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살아갈 수 이는 만들어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