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gooWoo
10,000+ Views

Swallowtale

**Swallowtale ProZact 멤버 소개** 김연 디자이너 (LCF, 여성복) 김연 디자이너는 Swallowtale ProZact를 본격적으로 시작할때부터 계속 함께 해온 LCF 재학중인 여성복 디자이너입니다. 어머님이 현직 화가이며 어머님의 순수예술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포트폴리오와 옷을 전시하려고 준비중에 있습니다. 현재 Door, Square, Line, Shadow 등이 김연 씨가 잡은 키워드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네요. 화제의 에코백 디자인 역시 김연 디자이너가 디자인 했었습니다. 일단 프로젝트 후에는 영국으로 돌아가서 수석 졸업 등을 목표로 열심히 학교를 다닐 계획이라고 합니다. ** 사진은 패턴을 맡기기 전에 최종 수정을 하는 김연 씨 ** 아래 링크는 여러분의 소망달기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댓글 달아주시면 현수막으로 제작해서 전시회장에 걸어둘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꿈을 이야기해주세요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83111061810763&set=a.199745410147330.40549.199203486868189&type=1&theater
Comment
Suggested
Recent
아름다우십니다♥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널 위해 준비한 스페셜](파트1) 본격! 귀 정화 Coldplay! 파라다이스 어디까지 가봤니?
※이 카드에는 밴드의 이야기와 멤버들의 재미있고, 멋진사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카드작성 한계치 때문에 파트2에 뮤비와 각종 라이브영상, 사진들과 가사해석 파트를 올렸습니다. 파트2를 보시기 전에 파트1을 꼭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알고 들여다 보는것과 모르고 들여다 보는것에는 큰 차이가 있답니다~ 그리고 더 재밌거든요! ★콜드플레이(Coldplay)★ 많은 명곡들과 팬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6천만장 이상의 앨범을 판매한 얼터너티브 록 밴드입니다 아름다운 가사와 특유의 음색, 함께하면 즐거운 무대매너, 멋진 비주얼 어디에나 내세울것 많은 명불허전 Coldplay랍니다! 1996년 9월에 영국의 명문 런던대학(University College London)의 기숙사에서 만나 현재의 밴드를 결성하게 되었다고해요~ 네명의 멤버 모두 UCL(런던대학)에서 공부를 한 학생들이었는데 (공부도 잘 했구나...) 처음 콜드플레이라는 이름의 밴드를 결성하기전 'Pectoralz', 'Starfish' 등의 이름으로 꾸준한 인디 활동을 했었어요 그러던 중 크리스 마틴의 친구가 콜드플레이라는 이름의 밴드명 사용을 고민하다가 안쓰게 되어서 크리스 마틴이 대신 가져다 썼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보컬인 크리스 마틴과 드럼인 윌 챔피언과의 마찰이 생기면서 한때 윌 챔피언이 탈퇴하는등 팀내 위기가 있었지만 크리스 마틴의 간청으로 윌 챔피언이 다시 돌아오게된 사건이 있었어요~ 이일 이후 모든 수익은 공정하게 배분하자거나, 마약, 술들로 피폐해진 멤버는 퇴출하자는 팀 내 룰을 정했다고 합니다! 2000년에 Parachutes를 데뷔앨범으로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모던록 부문'을 수상하고 머큐리상도 수상하며 그들의 음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지금까지 그래미어워즈만 7회 수상했답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많은 활동과, 자선기금을 모아 여러 자선단체에 기부를 하고있습니다 (이러니 좋아하지 않을 수 없죠) 우선 우리들의 '귀정화 시스템' 콜드플레이의 멤버들 부터 덕질하도록 할게요! 한명씩 알아볼거에요ㅋㅋ 자세하면 더 재밌으니까!! 크리스 마틴(Chris Martin) 77년생, 잉글랜드 출신이며 콜드플레이의 보컬, 피아니스트or기타리스트를 담당하고있습니다 15살때 부터 기타를 연주했고 밴드활동을 하며, 지금까지 기타사랑을 이어오고 있어요~ 피아노도 무지 잘친다고 합니다!! 이건 Paradise 뮤비 촬영때 찍은거랍니다ㅋㅋㅋㅋ 귀엽네요 무대에만 올라가면 참고있던 흥이 폭발한다는 썰이... 항상 저렇게 펄쩍펄쩍 뛴다고 합니다 헛!! 2003년에는 기네스 펠트로와 결혼했다가 두 아이를 낳고 2014년에 안타깝게도 이혼을 하고 맙니다... 인터뷰에서 기네스 펠트로가 채식주의자인데 이제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기도 했다네요(말이야 방구야) 그리고 콜드플레이의 얼굴마담을 담당하고있는 가이 베리먼(Guy Berryman)입니다! 78년생, 스코틀랜드 출신이며 콜드플레이의 베이시스트에요 외모덕에 더욱 인기가 있는 멤버랍니다~ 조용하고 과묵한 성격에, 무표정으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는 모습이 정말 멋지더라구요 라이브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파트2에 있습니다.) 캬.... 조니 버클랜드(Jonny Buckland) 77년생, 잉글랜드 출신이며 콜드플레이의 기타리스트를 담당하고 있어요~ 거의 항상 군모나 캡모자를 쓰고 연주를 한답니다! (탈X 때문인건가ㅜㅜ) 그리고 웃음이 엄청 많답니다ㅋㅋㅋ "헿" "헤헿...뽑뽀받았다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히히힣ㅎ" "뭐라꼬~??" 뭐야 뭐야?ㅋㅋㅋㅋ 마지막은 윌 챔피언(Will Champion) 78년생, 잉글랜드 출신! 콜드플레이의 드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챔피언은 드럼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악기를 능수능란하게 연주하며 공연에서도 많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답니다 겉모습과는 달리 부드럽고, 매우 자상하다고 하네요~ 뭔가 재밌을 것 같고 듬직한 이미지인것 같아요! 이상 본격 ! 귀정화 Coldplay ! '파라다이스 어디까지 가봤니?' 파트1 이 끝났습니다 ★콜드플레이의 뮤비와 각종 라이브영상, 가사해석 파트가 포함된 파트2에서 뵐게요★ 파트2 바로가기 ←클릭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와 실화(퀸)에 대한 이야기들
*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 영국 락밴드 '퀸' 특히 보컬 '프레디 머큐리'를 다룬 이야기 프레디 머큐리 합류 직전, 스마일의 초기 멤버였다가 스마일을 나갔던 '팀 스테필 (맨 오른쪽)'은 합류했던 밴드 '험피 봉' 해체 후 디자인 쪽에서 일 했는데 대표적인 작품이 '토마스와 친구들'이라고(!!) 70세인 현재도 음악 활동 중이다 퀸의 로고는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한 프레디 머큐리가 디자인 했다 (첫번째) '보헤미안 랩소디'가 수록된 A Night at the Opera 앨범의 자켓도 프레디가 만들었다고. (두번째) 무대 의상들도 직접 디자인 한 게 많았다고 함 퀸은 멤버 전원이 학사 학위를 가진 밴드이다 브라이언 메이는 2007년 천체물리학 박사학위를 땄으며, 후에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의 총장이 되기도 했다 존 디콘은 퀸 2집까지 중학교 교사였다 프레디는 영화처럼 냥집사인데, 키우는 고양이들은 대부분 길냥이들이었다고. 길냥이들에게 안락한 환경 마련해주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크리스마스에는 고양이들의 이름을 새긴 양말 속에 선물을 넣어줬었다고. 그중 '딜라일라'라는 고양이를 위해 노래 "Delilah"를 쓰기도 했다 프레디 : (((내 고양이))) 고양이 : “이 앨범을 나의 고양이 제리에게 바친다. 톰과 오스카, 티파니에게도. 그리고 세상에서 고양이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다른 사람들은 다 꺼져라.” < 딜라일라 > - 1985년 앨범 <Mr. Bad Guy> 감사의 말 중에서 (출처 : http://www.petzzi.com/bbs/board.php?bo_table=ency_culture&wr_id=374 ) '프레디'라는 이름은 학창시절 친구들이 불러주던 별칭이라고 한다 작곡할 때는 떠올랐던 멜로디가 머리속에 안 남으면 선율이 허접해서 그런 것이기 때문에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고 한다. 주로 피아노로 작곡을 하고 기타 코드는 3개밖에 연주하지 못한다고 말해왔지만 목욕하다가 떠올라서 기타로 뚝딱 만든 노래 = 영화에서도 등장하는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보헤미안 랩소디'의 코러스는 무려 180번을 오버더빙(녹음한 것 위에 또 녹음) 했고, 마지막에는 테이프의 산화철 부분이 거의 닳아서 없어질 정도였다고 한다. 하루에 10~12시간씩 녹음한 결과였다고. 곡의 다양한 부분들은 면도칼로 잘라 합친 것이라고 한다 보헤미안 랩소디의 오프닝에 등장하는 기타소리와 드럼소리는 실제 퀸의 멤버이자 영화의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한 브라이언, 로저가 연주한 것이라고 둘은 현재도 퀸으로 활동 중 퀸의 기타 음색은 따라하기 힘들 정도로 독특한 것으로 유명한데 브라이언의 기타가 10대 시절 아버지와 함께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50년 넘도록 사용 중이며, 100년 된 벽난로의 목재, 자전거 스프링 등을 사용했다. 퀸은 초기 시절 어느 평론가에게  '영화 배우 뺨치게 잘생긴 드러머를 제외하고는 볼 만한 게 없다'는 평가를 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로저 테일러는 'The Reactions'라는 밴드에서 처음 음악을 시작했는데 보컬 멤버가 탈퇴하여 직접 보컬을 하기도 했었다. 고향에서 공연했을 때 입장료를 받아도 관객이 2~300명 수준이었다고 함 프레디는 학창 시절 밴드를 했었는데 그때는 보컬이 아닌 키보드 연주자였다 이후 60년대에 아마추어 밴드 '아이벡스'에서 리드 보컬로 활동. 영화 속 프레디의 노래하는 음성은 프레디 머큐리의 음성과 마크 마텔의 목소리를 사용했다고. (마크 마텔 = 프레디와 목소리가 매우 비슷해서 화제가 된 퀸의 공식 트리뷰트 밴드의 보컬로 활동하는 캐나다 가수) 프레디를 연기한 라미 말렉은 메리를 연기한 루시 보인턴과 데이트 중이라고 함! 존잘존예가 만났네 라미 말렉은 안무가 뿐만 아니라 무브먼트 코치의 도움을 받았는데 덕분에 프레디의 작은 행동, 습관, 시선, 마이크를 움직이는 동작 하나하나를 파고들었다고 함 영화 속에서 보헤미안 랩소디 길다고 한 음반사 관계자에게 캐릭터들이 핑크 플로이드의 음반을 언급한 이유 : 그 음반 6분 넘는 곡만 3곡이라서. 게다가 가장 긴 곡은 7분 50초 퀸과 마이클 잭슨은 만난 적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악 작업도 함께 했다. 2014년에 마이클 잭슨과의 듀엣곡이 발표되었다. (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 1984년에 퀸이 내한할 뻔한 적이 있었다. 적당한 공연장도 못찾은데다 금지곡이 많아서 실패했다고 공연은 안 했지만 존 디콘과 로저 테일러가 내한했었다. 이후 2014년에 내한공연을 했다 프레디만의 관객 소통 방법인 '에~오'는 2012 런던 올림픽 폐막식에서 전광판을 통해 이루어졌다. 존 디콘은 프레디가 없으면 퀸이 아니라고 한 적이 있다는 듯. 실제로 1997년 은퇴하였다 브라이언 메이는 투병 중이던 프레디를 보러 가던 때,  300야드 (274m)를 남겨두고 '올 필요 없다. 사망했다'는 부고 전화를 받았다 프레디의 어머니 제르 불사라는 2016년에 94세로 별세하였다. 당시 브라이언 메이는 공식 활동을 중지하고 추모하는 글을 올렸다. 프레디의 어머니와 알고 지낸 시간만 50년이 넘었고 어머님은 프레디처럼 빛나는 눈을 가졌으며,  아버지가 가수의 길을 반대할 때에도 아들을 응원했고 마지막까지 모든 활동에 함께하시며 '우리의 모든 활동에 프레디 영혼이 살아 숨 쉬는 것을 대단히 기뻐했다'는 내용 (출처 : https://whitequeen.tistory.com/2148) 프레디는 투병하던 때 불평을 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병이 악화될수록 일을 더 하려고 했는데 아침에 일어나야 할 이유를 만들기 위해서였다고. [브라이언 메이 : 프레디는 놀라울 정도로 평화로웠고 전혀 불평도 하지 않았어요. 어느 날 저녁에 다 같이 나갔는데 다리가 많이 안 좋았어요. 그리고 제가 보고 있는 걸 알고는 "브라이언, 어떤지 한 번 볼래?" 그러고는 보여줬어요. 그리고 제 표정에 대해 오히려 프레디가 미안하다고 사과했어요 "네가 그렇게 놀랄 줄은 몰랐어."라고 말하면서요. -  프레디가 말했어요. "곡을 만들어줘."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알아. 가사도 계속 써줘. 계속 일을 줘. 부르고, 부르고 또 부르고 싶어." "나중엔 너희들이 알아서 하면 돼. 나중에 완성하면 돼." - "프레디 머큐리, 인생을 사랑한 사람. 노래를 부른 사람." 저에게는 그게 프레디였어요. 그는 의심의 여지 없이 인생을 최대한으로 살았어요. 그 나머지도 모두 포함해서요. ] ( 출처 : https://blog.naver.com/kngjoo/120152157305 ) 프레디의 생전 마지막 퀸 정규 앨범인 Innuendo는 프레디가 언제쯤 스튜디오에 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멤버들에게 연락하면 나머지 세 멤버들이 데모 버전을 미리 만들어 놓고, 프레디는 컨디션이 좋을 때 스튜디오에 와서 보컬을 녹음하는 방식으로 앨범을 만들었다. 생전 마지막 싱글인 <The Show Must Go On>는 음이 높아서 브라이언 메이는 프레디가 이 곡을 부를 수 있을지 걱정했다고 하는데, 프레디는 "I'll fuckin' do it, darling('씨X, 하지 뭐' 정도의 뉘앙스.)"이라고 내뱉은 후, 투병 중임에도 불구하고 독한 보드카를 쭉 들이키더니 삑사리 없이 한 큐에 녹음을 마쳤다고 한다. ( 출처 : https://namu.wiki/w/%ED%94%84%EB%A0%88%EB%94%94%20%EB%A8%B8%ED%81%90%EB%A6%AC ) Q. 퀸 음악 모르는데 랩소디 보러 가도 되나요? 쿵쿵(짝) 쿵쿵(짝) 위윌위윌뢐유~!! 관심좀 주세요.. 귀찮으실까봐 댓글 달아달라고 못하는데 클립과 하트 정말 좋아해요...♥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 49년 만의 해체
블랙 사바스가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했습니다. 1968년에 데뷔한 이후 49년만입니다. 블랙 사바스의 공식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TheEnd라는 해쉬태그와 와 함께 2017년으로 활동을 끝낸다는 이미지를 전하기도했습니다. 락 음악계의 살아있던 전설이 역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되는 순간이라고 생각됩니다. 큰형님들이라고 불리는 블랙 사바스의 나이와 함께 락 음악의 역사또한 오래 되었다는 것이 실감되었고, 세대가 바뀌고 있다는 생각도 들게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Deep Purple 형님들은 조금 더 오랫동안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http://www.blabbermouth.net 에 올라온 블랙사바스와의 인터뷰 전문 번역입니다. 오지(Ozzy)는 지난주 블랙 사바스와 함께한 자신의 인생을 회상하며 “매우 놀라운 모험”이었고, 밴드는 아주 잘 흘러갔던 것 같다 라고 말했습니다. “내가 가장 자랑스러운 점은 블랙 사바스가 어떤 한 거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밴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냥 평범한 네명의 남자였죠. ‘꿈을 가져보자’라고 생각 했고, 그 꿈은 저희의 예성을 훨씬 뛰어넘어버렸습니다.” 블랙 사바스의 기타리스트 Tony Iommi는 이후 한번 더 공연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어느날 그런 일이 생긴다면, 그 또한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연하는 것도 가능하고, 심지어는 엘범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물론 저는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는 모르죠” 블랙 사바스의 “The End”투어가 끝나는 이유는 기타리스트 Iommi의 질병 때문입니다. 2012년 암을 진단받고 회복중이라 더 이상 투어를 돌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제가 병에 걸렸을 때 연약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의 저는 무엇이든 할 수 있었죠. 병이 진전되면서 이것도 할 수 없고, 저것 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블랙 사바스는 2013년 제결합 앨범”13″을 발매하고 전 세계 투어를 돌았습니다. 그 과정에서도 Iommi는 질병에 대한 치료를 받기위해 6주마다 영국으로 다시 날아가야만했습니다. 블랙 사바스가 해체한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Iommi는 “저도 궁금합니다. 매우 이상할것같아요. 블랙 사바스는 제 인생 그 자체였거든요. 시작했을 때 부터 모든 것은 블랙 사바스와 함께였습니다. 결혼이나 모든것들이요. 왜냐하면 밴드를 넘어선 일들을 하면서조 저는 항상 밴드일을 하고, 스튜디오에 있었거든요. 마지막 공연은 특히 이상한 기분일 것 같습니다.” 블랙 사바스의 오리지널 라인업은 오지 Ozzy Osbourne(vocals), Iommi(Guitar), Geezer Butler(Bass), Bill Ward(Drum)으로 1969년에 결성되었고, 1978년과 90년대, 2000년대에 일시적으로 함께 작업한 적이 있습니다. 그들이 원년 맴버로 재결합 한 것은 2011년 후반 새 앨범과 투어를준비하면서 였습니다. Word는 몇달 이후 그만덨지만 블랙 사바스는 오지 오스본의 투어 드러머인 Tommy Clufetos를 그 이후의 공연에서 함께했습니다. 또한 Rage Against The Machine의 Brad Wilk가 2013년 발매된 앨범 “13” 의 드럼 작업에 함께하기도 했습니다. <Black Sabbath "The End"투어중 Paranoid & Iron man> --------------------------------------------------------------------------------------------------------------------------------- 스쿨오브락 홈페이지 : schoolofrock.co.kr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schoolofrocklml/
콜드플레이(Coldplay) 필수정보와 추천곡
| 콜드플레이의 음악은 1~3집과 그 이후로 나뉜다? 초기 콜드플레이의 음악이라고 말할 수 있는 3집까지 콜드플레이의 색깔은 잔잔한 피아노 사운드와 보컬의 우울한 목소리와 가성으로 대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집의 Yellow, Trouble, 2집의 In My Place, The Scientist, Clocks. 3집의 Fix You 등이 대표적이죠. 하지만 4집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를 발매하며 음악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줍니다. 음악적 변화는 아티스트가 지속해서 성장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기도 하지만, 기존 팬들에게 실망을 안겨주기도 하고, 기존의 확고한 자신의 스타일이라는 무기를 버리는 양날의 칼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4집 Viva la Vida가 발매되었을 때 실망한 콜드플레이의 팬들도 다소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두고, 아티스트로서도 확고한 위치를 세울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콜드플레이 1~7집> 4집부터 시작된 콜드플레이의 음악적인 변화는 그 이후로도 지속되었습니다. 4집에서는 아름다운 피아노 반주에 가성의 멜로디 더하는 스타일을 버리고 밴드 악기의 비중이 크게 줄인 것부터 시작해, 6집에서는 Sky Full Of Stars에서 Avicii와함께 락음악과 하우스 음악을 결합하는 모습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최근의 Something Just Like This라는 곡을 The Chainsmokers와의 콜라보한 것 역시 그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또한, 7집에서는 Hymm For The Weekend 비욘세와 함께 작업하며 힙합 비트를 사용하는 모습도 보여주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콜드플레이의 음악적 변화를 요약하자면 브리티시 락의 정석에서 시작해 엠비언트와 오케스트라를 더했다가, 최근에는 EDM과의 경계를 허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 U2, Travis, Radiohead의 아류 밴드? <콜드플레이와 U2. 콜드플레이는 초기에 U2와 많은 비교를 당했고, 실제로 크리스마틴은 U2의 보컬 보노처럼 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에는 콜드플레이가 성공하고 자신만의 위치를 확고히 하면서 U2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콜드플레이 초기에는 U2, Travis, Radiohead의 아류 밴드라고 평단으로부터 평가, 혹은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아마도 라디오헤드와 유투의 아류로 비교당하는 것은 브리티시 락, 혹은 브릿팝을 하는 후발주자에게는 숙명 같은 태그일지도 모릅니다. 콜드플레이는 1998년에 결성되었고, 2000년에 첫 앨범을 발매하였는데, 브릿팝이 락음악계의 주류였던 90년대 초반을 지나고 그 위상이 매우 약해지던 시기인 만큼 너무나 커다란 밴드로 자리 잡은 라디오헤드나 유투, 트래비스등의 후속 주자로서 보이기 쉬웠을 것입니다. 실제로도 위의 밴드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크리스 마틴은 U2의 보노처럼 되고싶다고 언급하기도 했고, 한편, 또 다른 영국 밴드 버브(The Verve)역시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 크리스 마틴은 The Verve의 The Bitter Sweet Symphony를 자신이 썼다면 이라는 워딩을 남기기도 했고, 함께 Bitter Sweet Symphony를 공연하기도 했습니다. 콜드플레이뿐만 아니라 킨(Keane), 뮤즈(Muse) 등과 같은 영국 출신의 밴드들 또한 데뷔 초기에 이 같은 평가가 마찬가지로 붙었던 것도 사실입니다.(크리스 마틴은 한 키보드 연주자에게 매료되어서 함께 밴드를 하자고 했지만, 그는 이미 준비하고 있는 밴드가 있다며 거절했습니다. 바로 그 키보드 연주자가 킨(Keane)의 팀 라이즈 옥슬리) 하지만 콜드플레이는 지속해서 앨범을 발매하는 과정에서 변화를 거쳐 가며 자신만의 색깔을 확보해 나가고, 음악적으로도 크게 성공함으로써 앞의 선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한 밴드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콜드플레이와 유사한 밴드들> | 크리스 마틴과 기네스 펠트로 <크리스 마틴과 기네스 펠트로> 콜드플레이는 보컬인 크리스 마틴과 기네스 펠트로 부부로 유명하기도 했습니다. 종종 스타 부부로서 비욘세와 제이지 부부와 비교되기도 합니다. 콜드플레이가 2집 활동을 하며 투어를 돌던 도중 기네스 펠트로가 콘서트를 관람하러 왔는데, 이때 백스테이지로 기네스 펠트로를 초대한 계기로 친해졌고, 이듬해인 2003년 임신 소식과 함께 결혼 발표를 하며 스타 부부가 탄생했습니다. 현재는 10년간의 결혼생활을 끝낸 뒤 이혼한 상태입니다. 콜드플레이의 이해하는데 기네스 펠트로가 중요한 이유는 크리스 마틴이 작곡한 곡들 중 아내였던 기네스 펠트로와 자녀들을 소재로 한 곡들이 다수 있기 때문입니다. Fix you의 경우는 부친상으로 힘들어하는 기네스 펠트로를 위로하기 위해 아버지 유품 중에 있던 오르간을 사용해 만든 곡이며(링크:카드뉴스 - 아내 기네스 펠트로를 위로하기위한 크리스 마틴의 선물 Coldplay – Fix You), Speed Of Sound는 딸인 애플 마틴이 태어났을 때 아빠가 된다는 경외감으로 인해 만들어진 곡입니다. Magic에서는 이혼한 이후의 심경이 드러나 있기도 하고 2015년에는 Everglow라는 곡에 기네스 펠트로가 코러스 보컬로 참여함으로써 여전히 좋은 친구 사이로 지내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 콜드플레이의 명곡, 대표곡 last.fm과 apple music의 스트리밍, 다운로드 순위를 참조해 그중 한국인들이 특별히 좋아하는 곡들을 선정했고, 내한공연을 앞두고 있는 만큼 셋리스트에 포함된 곡 위주로 콜드플레이의 너무나 많은 히트곡 중 추천곡 8곡만을 선정하였습니다. 1. Clocks 2집 A Rush of Blood to the Head에 수록된 초창기 콜드플레이의 대표곡. 콜드플레이 특유의 몽롱한 피아노 사운드의 메인 리프와 함께 몽환적인 사운드가 일품이다. 2004년 그래미에서 올해의 레코드를 받기도 했다. 2. Viva la Vida 4집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에 수록됨. 기존의 음악적 스타일을 크게 바꾼 모습을 보여주었다. 4집 때부터 참여한 프로듀서 브라이언 이노의 영향으로 엠비언트적인 요소가 도입되고, 밴드적 사운드보다 스트링과 오케스트라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보다 웅장하고 밝아진 사운드를 들려준다. 기존의 팬들이 기대했던 서정적인 사운드는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이 같은 변화는 큰 성공을 거두고 그해 그래미 3관왕을 차지하게 해주었다. 3. The Scientist 2집 A Rush of Blood to the Head에 수록된 곡으로 피아노 반주, 어쿠스틱한 기타 사운드를 바탕으로 우울한 보컬 사운드로 곡을 진행하는 초기 콜드플레이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초기 콜드플레이의 앨범에서 자주 보여주던 크리스 마틴의 가성이 특히 인상적이다. 4. Yellow 처음 콜드프레이를 세상에 알린 곡. 1집 Parachutes에 수록되었으며 14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초창기 콜드플레이의 다른 히트곡들과는 다르게 피아노 사운드 없이 디스토션된 기타사운드와 정직한 리듬을 바탕으로 전형적인 브리티시 락 사운드를 들려준다. 5. Fix You 3집 X&Y에 수록된 곡. 아내였던 기네스 펠트로가 부친상으로 힘들어하고 있을 때, 아버지의 방을 정리하며 유품으로 남아있던 건반을 이용해 아내를 위로하는 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링크:카드뉴스 - 아내 기네스 펠트로를 위로하기위한 크리스 마틴의 선물 Coldplay – Fix You 6. Hymm For The Weekend 7집 A Head Full of Dreams에 수록된 곡. 힙합적인 비트가 인상적이며, 비욘세가 함께 참여했다. 7. A Sky Full Of Stars 6집 Ghost Stories에 수록된 곡. 스웨덴 EDM 아티스트 Avicii와 함께 작업하며 하우스 사운드를 결합하며 스펙트럼을 넓히는 모습을 보인다. Verve의 Bitter Sweet Symphony를 오마주 한 것으로 생각되는 뮤직비디오(링크)도 인상적이다. Verve의 원래 뮤직비디오(링크)가 우울하고 퇴폐적인 느낌을 밝은 버전으로 바꾼 것 같다 8. Paradise 5집 Mylo Xyloto에 수록된 곡. 신디사이저를 활용한 엠비언트적 사운드가 더욱 강화된 모습이나 스트링의 활용, EDM을 연상시키는 베이스라인 등이 4집 Viva la Vida의 연장선으로 보이기도 하며, 드럼과 기타 등 기존의 밴드 사운드를 좀 더 조화시키는 모습도 보인다. "para-para-paradise"라는 가사의 코러스 부분은 웅장한 사운드 부분은 5집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사운드가 가장 잘 나타나는 부분으로 생각되며, 공연시 주된 떼창 포인트이기도 하다 --------------------------------------------------------------------------------------------------------------------------------- 스쿨오브락 홈페이지 : schoolofrock.co.kr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schoolofrockl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