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nMe
500+ Views

of Fear.

Fear is never the option for Christians and knowing that in this world, will face trials and tribulations, must cling to God and His Word to be overcomers and triumph over these things. For only by this stand and taking the appropriate actions as the Word dictates to meditate, pray and call things as if they were by Faith, will we see God's Glory not only manifest in our lives as a testimony to Him but also for our Victory to be an edification to our belief in a God who's very thought towards us is for peace.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My Vote Won’t Make a Difference: A Bigger Myth than God
Democracy is a lot like Atheism. Both are grounded in the belief that there is no sovereign, no ultimate arbiter of right and wrong who will steer us in the proper direction if we just listen closely enough and, most importantly, obey.  Not everyone in a democracy is an Atheist, and not all Atheists think democracy is a good idea, but Atheists in America do. So why is it that Atheist voter turnout is so low?   There are probably as many reasons as there are non-voters, but after years of listening to people talk about all aspects of voting, I’ve come to understand that a lot of us have never had the opportunity to take a close look at what democracy is and what it isn’t.  Democracy is born of the understanding that when more than a handful of human beings are thrown together, at least some of them will want to govern.  The problem of deciding who ends up in charge can be solved in a number of ways. Birthright and force have been the two most common in history.  Other choices include lotteries, omens, and default. Democracy solves the problem by placing the burden of the decision squarely on your shoulders and mine.  And I do mean burden because democracy is not easy; it was never meant to be. Just like the word “god,” the word “easy” appears nowhere in the Constitution.  Democracy is not a synonym for freedom because it doesn’t promise that you will get your way—not even once in your life—after the votes are counted.  Democracy doesn’t guarantee voting procedures without deep flaws and deliberate complications (but it does offer ways to remedy them, albeit with a lot of work and never overnight). Read the full article: https://www.fadewblogs.eu.org/2021/12/vote-as-an-atheist.html
What If We Taught Students That Religion is Absurd?
We need to educate our children and teenagers to the point where they can think critically for themselves and can easily see and understand the absurdity of religion. The good news is that once someone’s brain is at this level of comprehension, a great many positive side effects occur. Life would be much better for everyone if everyone in our society is educated to the level where they understand that religion is absurd. The religiosity of America fascinates me. I am intrigued by the idea of millions of people in an advanced nation believing that they have a “relationship” with an imaginary friend and believing that this imaginary friend is answering their prayers.  In the United States, something like 76% of the population believes in God, and seventy percent of the population identifies as Christian. Three-quarters of the U.S. population believes that the Bible was at least inspired by God, and 28% (more than 89 million people) believe the stories in it are literally true. Why would anyone today believe that the Christian god is real or that the story of Noah’s ark is true? My goal here is to advocate that we, as a society, start an active campaign to make religion irrelevant to human civilization. In the same way that there have been active campaigns to eliminate diseases like smallpox and polio, we should start a similar campaign against religion.  The tool I propose for religion’s elimination is across-the-board education in critical thinking. But first, let’s step back for a moment and ask, How do we find ourselves in this position as a species? There are many interesting things that human beings do. Music, math, tools, cooking, science, engineering, art, and language all come to mind. But religion ranks up there as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Religion stands out because it is so irrational and bizarre. Billions of people on this planet believe in their various imaginary beings so firmly that disagreements about religion often escalate to violence and warfare.  Read the full story: https://www.fadewblogs.eu.org/2021/11/teaching-about-religion-in-school.html  
영화"위플래쉬"에서 종종 오해받는 인물
위플래쉬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플래쳐교수와는 반대로 주인공에게 광기를 요구하는  음악을 걱정하는 인물로 해석되곤 한다.  결론만 말하자면 이 인물도 플래쳐와 막상막하의 막장인물임.  앤드류는 종종 홀아버지와 영화를 보곤한다. 하지만 관람영화는 아버지 취향의 고전영화.  앤드류는 영화에 대한 관심이 없지만 주기적으로 반강제 영화를 관람한다. 아버지의 강압적인 면모와 아직 주인공을 성인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대표적인 씬.  영화를 관람하며 먹을 팝콘에서 아버지는 아들이 그닥 좋아하지 않는 것을 잔뜩주문하고선 먹어보라고 권한다.  여기까지는 거진 감독이 순한맛으로 넣어놓은 장면들이지만 아버지의 이런 성격이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임. 당장에 테이블 좌석의 배치에 주목해보자.  화면을 마주하는 상석엔 삼촌이 앉아있고 집의 주인이자 식사의 호스트인 아버지는 화면 구석에 쳐박혀있다. 앤드류는 조명도 제대로 못받고 있으며 남성들무리 정 반대에 홀로 배치되어있는 인상을 준다.  대화의 내용도 가관인데 삼촌은 시종일관 앤드류의 음악을 무시하며 아버지는 그런 삼촌의 조롱을 오히려 맞장구치는 비굴함을 보인다.  (나중에 앤드류가 플래쳐에서 인정받기 시작하고 부성애의 대상을 플래쳐로 결정하고 나서는  동일한  장면에서 삼촌과 사촌들을 신랄하게 깐다.) 작중 내내 아버지의 역할은 주인공의 음악적인 자질과 능력,성공을 의심하고 과소평가하는데 치중되어있다.  본인의 실패한 소설가 인생을 아들에 투영해서 계속 잡아두려는 가스라이팅과 정서적인 학대를 가하는 인물이 바로 이 아버지인데 대체로 관객들은 예술계의 학대에 가까운 교육에 집중하느라 플래쳐의 반대에 있는것 "같은"아버지에게 호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듯. 플레쳐가 하도 강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아빠가 가려졌는데 지금 보니 아빠도 애 망치는데 한 몫 했던 것 같아서 가져와봄.. 가족 식사장면에서 친척들이 앤드류 깔보는데 뭐라고 하진 못할망정 가만히 입 닫고 있다가 앤드류가 반격하니까 친척들 편들고 앉았음ㅋㅋ 출처 : 루리웹 저도 영화 보는동안 아버지 캐릭터가 의아했습니다. 앤드류가 음악을 포기하길 바라는 눈치라.. 그것도 아들을 걱정해서가 아니라 실패하길 바라는 느낌? 감독이 말하길 주인공은 결국 약물중독으로 자살할 것이라 했었는데.. 이 글을 보니 어디에도 기댈 곳이 없어 그런 선택을 한 게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드네요
[맥주 이야기]: 세계 1티어 자연 발효 맥주 드리 폰타이넌(3 Fonteinen) ABC 모음집 - 마지막편
1편, 2편을 못 보신 분들은 아래 카드를 먼저 읽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편: https://www.vingle.net/posts/5936117 2편: https://www.vingle.net/posts/5938059 R 로빈은 루비(Ruby)의 영어식 표현으로, 보통 루비색을 의미합니다. 이 람빅은 구운 오크통에서만 숙성된 체리 람빅으로, 그 색깔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2017년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 스펠링 반 헤트 롯의 첫 번째 배치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호평을 받아 개별 생산에 투입되었습니다. 해당 람빅과 일반 크릭의 차이점은 오크통 또는 과일의 비율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드리 폰타이넌은 지금까지 각각 리터당 373그램과 333그램의 과일 비율을 가진 두 가지 버전의 로빈을 출시했습니다. R이 약자로 붙은 로베 보스베스는 일반적으로 블루베리를 의미하며, 직역하면 빨간 블루베리인데, 링곤베리(lingonberry)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링곤베리: 링곤베리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링곤베리의 한 종이고, 블루베리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링곤베리 아속의 야생 베리 종입니다. 따라서 형태학적으로 링곤베리는 레드 블루베리처럼 보입니다. 링곤베리는 보통 핀란드와 스웨덴과 같은 북유럽 국가에서 발견됩니다. 드리 폰타이넌의 이 로데 보스베스는 오른쪽 상단의 깃발에서 볼 수 있듯이 스웨덴산 링곤베리를 사용합니다. 블루베리: 2018년 가을,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은 스웨덴의 과일 공급업체인 브릴(Brill)로부터 250kg의 링곤베리를 공급받았습니다. 같은 해,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은 이 과일을 어린 람빅 침식에 붓고 병입할 때 소량의 접종 후 맥아즙을 넣어 병에서 2차 발효를 유지했습니다. 현재까지 드리 폰타이넌은 2019년 2월에 단 한 번, 리터당 443그램의 과일 함량과 총 714병을 출시했습니다. S 드리 폰타이넌은 체리 람빅을 다양하게 출시했는데요. 앞서 언급한 오드 크릭, 인텐스 루드 등 외에도 핵심 제품인 스카르빅세 크릭(Schaarbeekse Kriek)도 있습니다. 스카르빅(Schaarbeek)은 브뤼셀 북쪽에 위치한 벨기에의 작은 지역입니다. 이곳에는 세계 최초의 여객 철도역, 최초의 여객 철도 노선, 그리고 멸종 위기에 처한 체리 품종인 스카르빅 체리가 있습니다. 이 체리의 생산량은 극히 적고 매우 불안정하며, 재배 과수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야생 체리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이 체리가 정기적으로 재배되었지만 풍미를 강화하는 람빅이 인기를 끌면서 스카르빅 체리는 쇠퇴했습니다. 오늘날 스카르빅 지역의 체리는 주로 드리 폰타이넌, 칸티용, 한센스와 같은 몇몇 양조장에서만 생산되며, 앞서 언급한 세 양조장에서도 각각 한 가지 한정판만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드리 폰타이넌과 칸티용은 이 과일의 희소성을 인식하고 더 많은 체리나무를 심기 위해 지역 과수원과 체계적으로 소통하기 시작했습니다. 드리 폰타이넌은 이 점에서 선두에 서 있습니다. 향후 몇 년 내에 드리 폰타이넌은 자체 재배한 스카르빅 체리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향후에는 전적으로 자체 생산에 의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카르빅세 크릭(Schaarbeekse Kriek)는 모두 체리 수확 연도가 있으며, 예를 들어 oogst 2017은 해당 람빅에 사용된 체리를 2017년 수확 시즌에 수확한 체리로 지칭합니다. S로 시작하는 또 다른 람빅이 있다면 '신념의 트위스트'라고도 알려진 스펠링 반 헤트 로트(Speling van het Lot)입니다. 이 일련의 람빅은 드리 폰타이넌에서 나온 실험적인 배치를 포괄하는 용어이며, 각 품종에 로마 숫자가 적힌 흰색 라벨이 붙어 있습니다. Het Lot 이름은 '운명'이라는 본래의 의미 외에도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이 위치한 로트 마을의 이름과도 같기 때문에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직역하면 '운명의 뒤틀림'이라는 뜻으로, 운명은 람빅과 같고 모든 것이 유동적이라는 또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사전을 검색해보니 운명의 변화와 관련된 관용구가 대부분 매우 부정적이어서 이 이름을 믿을 수 있고 우아한 방식으로 번역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나라에서 말하는 ‘신의 선택’도 주관적인 의미로 해석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V 2002년부터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에서는 개별적으로 병에 담아 숙성시킨 후 다시 추가로 몇 년 후 시음 및 판매를 위해 꺼내놓을 잠재력이 크다고 생각되는 여러 가지 괴즈를 보관해 왔습니다. 이것이 바로 빈티지 컬렉션입니다. 최근 출시된 쿠베 아르망 & 가스통 빈티지를 제외하고 드리 폰타이넌에서 처음 선보인 빈티지 와인은 일반 괴즈였습니다. 이 람빅들은 출시 당시 수년간 숙성된 람빅으로, 빈티지 정보가 더 눈에 띄게 표시되어 있어 빈티지 숙성 람빅임을 알 수 있습니다. 노란색 라벨을 처음 사용한 후, 드리 폰타이넌은 벨기에 왕립 미술 아카데미 회원이었던 벨기에 태생의 추상적 현대 미술 모더니스트 화가 펠릭스 드 보크 (Felix de Boeck)의 그림 '나이트 라이트' 시리즈를 병 라벨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나이트 라이트 혹은 밤의 빛' 시리즈는 1950년 이후 밤의 다양한 빛의 표현에 매료되어 다양한 장면에서 수백 개의 빛을 관찰한 후 작업을 시작하면서 만들어졌습니다. W 이 람빅에 대해 말하자면 이전 모델인 스트라페 윈터(Straffe Winter)를 언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여 년 전 드리 폰타이넌의 소유주인 아르망은 본 양조장에서 필스너 맥아, 앰버 맥아, 뮌헨 맥아를 사용하여 자연 발효하고 벨기에 설탕을 첨가하여 람빅을 만들었습니다. 이 람빅은 파로와 비슷해 보이지만 전통적인 파로와는 매우 다릅니다. 이 람빅의 스타일 정의를 둘러싼 논쟁은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 왔습니다. 스트라페 윈터는 2008년에 병입되어 2010년에 맥주 오픈 데이에 공개되었습니다. 대단한 일처럼 보였지만 이것은 오히려 이미 존재하고 있는 "큰 형님"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벨기에 서쪽에 위치한 작은 도시 브뤼헤는 유럽에서 가장 잘 보존된 중세 도시입니다. 이곳에는 하프 문, 브뤼헤 조커, 브뤼헤 페일 에일과 같은 브랜드를 가진 양조장, 스트라페 헨드릭(Straffe Hendrik)이 있습니다. 드리 폰타이넌이 이름에 '스트라페'가 들어간 람빅을 출시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양조장은 아주 엄중한 경고를 표명했습니다. 이미 출시한 람빅은 일회성 매진으로 회수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드리 폰타이넌은 앞으로는 람빅 이름에 '스트라페(Straffe)'를 넣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런 스토리 덕분인지 해당 람빅은 한 번에 매진되었고 다시 출시되고 있지 않습니다. 2020년에 드리 폰타이넌은 프랑스 스타일의 람빅을 생산하기 위해 동일한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피어슨 몰트, 앰버 몰트, 뮌헨 몰트, 밀 없는 버전, 냉각 트레이에 벨기에 설탕 첨가 등등 ...... 일반적으로 이것은 파로로 간주되지 않지만 병입 전에 약간의 람빅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 와인의 스타일은 각 의견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있습니다. 물론 어떤 스타일에 속하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둥근 라벨에 있는 세 개의 작은 눈송이를 보면 "eng"인지 "aff"인지 알 수 있습니다. Z 하이라이트이자 마지막은 Z로 시작하는 Zenney Frontera입니다. 람빅에서 숙성된 다양한 올로소(Oloroso)와 페드로 히메네즈(PedroXiménez) 셰리 와인 배럴을 블렌딩한 람빅으로, 사용된 람빅의 숙성 기간과 알코올 도수는 배치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드리 폰타이넌은 2012년에 스페인 셰리 와인 지역에서 배럴을 처음 공급받았으며, 이를 위해 양조장은 드리 폰타이넌 젠느 밸리(Zenne Valley)와 헤레즈 데 라 프론테라(Jerez de laFrontera) 두 지역의 특성을 결합한 새로운 이름을 고안해 냈습니다. "y"는 스페인어로 "그리고"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배치 1의 첫 번째 판매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양조장에서 3,000병의 두 번째 배치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두 번의 출시 이후 드리 폰타이넌은 새로운 ZyF를 거의 출시하지 않았으며, 그 동안 양조장은 솔레라 시스템을 연구하여 평균 숙성 기간이 60개월 이상인 배치 3과 배치 4를 출시했습니다. 셰리 풍미와 람빅의 조합으로 이 맥주는 이전과는 다른 다양한 특성을 구현합니다. 미묘한 풍미를 감상하려면 다양한 버전을 하나씩 마셔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B1, B2 그리고 B6가 좋았습니다! 이렇게해서 모든 드리 폰타이넌 맥주 라인업을 한번 알파벳으로 다시 정리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저도 작성하면서 상당히 많은 공부가 되었고 호볼호가 많이 갈리는 람빅이지만, 람빅의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 더 많아지길 오늘도 생각해봅니다 😊 -끝-
Evidence Suggests Patriarchal Religious Indoctrination Played a Primary Role in the 2016 Election
Hillary, Women, and Patriarchalism: Defeated by an Ignoramus Who Regularly Expresses Contempt for Women, Though Claims He “Loves” Hillary Rodham Clinton was the first woman to become a major party candidate for the office of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She was defeated by an unqualified, foul-mouthed, ignoramus who has regularly expressed his contempt for women, even though he claims that he “loves” them. While it is not surprising that a majority of men voted for Donald Trump, it was stunning that fifty-three percent of white women actually refused to support the first female presidential candidate who had a good chance of winning. The outcome of any election is determined by many interacting factors, but there is some evidence that patriarchal religious indoctrination assumed a primary role in the 2016 presidential race. A slight majority of Catholic voters (60%) favored Trump, while an overwhelming majority of fundamentalist Protestants (81%) preferred the bellicose billionaire.  From the latter figure, it can be concluded that Donald Trump is the exemplar of the “Christ-centered life” because this term is central to fundamentalist ideology. The justification for patriarchal domination as a God-given mandate is, of course, Holy Scripture.  Because so many Americans accept the myth of Judeo-Christian nationalism, it is entirely appropriate to look to the Bible as the source for this severely oppressive, anti-woman theme in fundamentalist Christianity.  The content of the Bible was recorded, transmitted, and compiled over a span of almost two millennia in male-dominated, agrarian, Middle-Eastern societies.  Therefore, the treatment of women in the Bible reflects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se chauvinistic rules and beliefs developed.  Because these misogynistic edicts, decrees, and mandates were codified in the Judeo-Christian scriptures, they became part of a vast compendium of commandments that devotees today believe to be God’s perfect word.  Read the full story: https://www.fadewblogs.eu.org/2021/11/hillary-women-and-patriarchalism.html
I Said No to a Religious Friend as She Lay Dying. Was I Right?
Religion is nothing but a crock used by people to fortify themselves against the frightening prospect of death, that chillingly inevitable end of life.  And when death impends, be that at war, in hospital, or on death row, people cling more desperately to that delusion.  Even nonbelievers walk on eggshells when faced with a dying person. We wonder: Is this really a good time to tread on their sensibilities and disabuse them of their crock? Not long ago I found myself in that quandary.  Someone I knew was dying, and I went to her deathbed to pay my respects. She was a woman who respected me as an elder of the Nigerian community in Cleveland.  She was also something of a protégé, having sought my advice repeatedly as she considered the proper advanced-degree path to pursue.  In my days as a scientific educator—when, also, two of my sons were in the university—I had become something of an information resource for my fellow Nigerians on matters like the choice of college to attend and the discipline of study, and especially how to tap into financial assistance programs available to good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U.S.  I chose to visit her when most of her friends and well-wishers would be at work. I was wary of the perplexed reactions of my fellow Nigerians when it became known that I am an atheist.  My friends told me I would come across much better as an agnostic or a pagan than an out-and-out atheist, for Nigerians are often ranked alongside Americans in sheer religiosity—of the pushy and loud sort.  It’s amazing that the very people whom religion has historically oppressed and denigrated the most (i.e. women, Blacks, colonized people) are the ones who cling to it most tenaciously!  The Nigerian media go so far as to estimate that one in three houses in the cities and townships of the Christian south of the country are used nowadays as churches, chapels, temples, tabernacles, or other places of worship.  “Nigerian atheist” is considered an oxymoron. Those who know I was raised a Catholic—and, to boot, an altar boy able to recite the entire Eucharist liturgy in Latin and English—profess themselves baffled by my apostasy.  Read the full article: https://www.fadewblogs.eu.org/2021/11/I-said-no.html
The Nonbeliever’s Guide to Bible Stories
Throughout contemporary life, references from the Bible, its stories, and characters surround us. As a result, nonbelievers may be at a loss when they encounter them in conversation, art, or literature.  Modern-day controversies such as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posting the Ten Commandments in government buildings, nativity displays, and other issues may not be fully understood. This represents a gap in nonbelievers’ knowledge base.  My first book was written for my daughter as a guide to successful living. Trust Your Radar: Honest Advice for Teens and Young Adults from a Surgeon, Firefighter, Police Officer, Scuba Divemaster, Golfer, and Amateur Comedian combines life lessons with fun stories from my varied careers. A second book, Trust Your Radar, Slackers’ Edition, is a streamlined version. Both works identify organized religion as “jammers” of our clear-thinking “brain radars.” My new book, The Nonbeliever’s Guide to Bible Stories, fills the information gap about the Bible for my daughter and lucky readers.  It’s a secular sprint from Genesis to Revelation, hitting the characters, stories, occasional highlights, numerous lowlights, and famous quotes (featured in italics).  Nonbelievers should have some concept of the religious fairy tales being foisted upon their believing peers. At a minimum, just to get all the jokes.  Read the full story https://www.fadewblogs.eu.org/2021/12/the-nonbelievers-guide-to-bible-stories.html
Personality transformation and personal development
You focus on developing the body, the brain, and the memory. You like to do this with great enthusiasm. After all, you want to be physically and mentally fit. That's great, but have you ever considered developing your own personality? How can you develop and transform your personality and actively give yourself more time for personal development in everyday life? Your personal development is basically divided into three important areas. However, you do not go through them one after the other, but they repeat themselves again and again: 1. Knowledge: realization of yourself is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Here you first become aware of who you are and what makes you. But this analysis is not finished after one time. The more you work on yourself and your personality, the more often you will learn something new about yourself. So never lose sight of reflecting on yourself and getting to know yourself over and over again. If you want to transform your personality for the better, you can use amazing online resources available for free. 2. Acceptance: Wait, didn't we just say that personal development is about changing yourself? Why should you accept yourself now? It's simple: we don't want to turn 180 degrees and become a different person. We may also just accept ourselves as the person we are and not have to get rid of every little habit and thought. Start accepting and loving yourself as the person you are. This is the only way you will be able to grow in the long run. Personality Development it's more about.., negative beliefs and habits that keep you from living to your full potential. 3. Change: Last but not least, change occurs. Of course, this doesn't happen overnight, and as we've already established, it takes stamina, a concrete goal in mind, and the will to change. Don't let setbacks drag you down and be mindful and loving with yourself along th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