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목을 숙이는 자세
휴대전화를 보거나 책을 볼때 많이 나타나는 자세이다. 목을 오랜시간 숙이게 되면 몸의 중심에서 머리가 벗어나게 되고 그렇다면 목뒤의 근육이 긴장을 하게된다.
이 자세를 해결하는 방법은 눈 높이 만큼 휴대전화를 올리는 것이다. 그림처럼 휴대전화를 쥐고 있는 팔의 팔꿈치 밑에 반대 팔을 받쳐서 편안한 자세를 만드는 것이다. 책을 볼때는 독서대를 이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1번 자세와 유사하지만 턱이 앞으로 나와 있으며 하부경추는 굴곡된 자세를 보이고 상부경추는 신전된 자세를 보인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모니터를 오랫동안 보고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면 나타나는 자세이다.
이 자세를 해결하는 방법은 턱을 몸 가까이 당기는 것이다.
물론 거북목 자세의 해결은 간단하지 않다. 운동치료 교정운동 등을 통해서 거북목을 해결해야 하지만 일상생활 중에 스스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도 필요하다.

3. 팔이 몸으로 부터 멀어진 자세
우리는 알게 모르게 팔이 몸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 작업을 할때 키보드와 마우스가 몸에서 많이 떨어져 있다면?? 팔을 더 앞으로 뻗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어깨 관절에서 굴곡이나 외전이 일어나게 된다. 그럼 우리 어깨 관절에서 날개뼈의 안정성을 더 많이 요구하게 될 것이고 상부승모근의 과도한 긴장이 나타타게 된다.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를 몸 가까이 두고 팔을 편안하게 두어 어깨 긴장을 완화 하자

4.한쪽 어깨에 가방을 맨 자세
한쪽 어깨에 가방을 매게되면 가방을 매고 있는 어깨의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이 과도한 긴장을 하게 된다. 이 근육들은 목에도 관여하므로 목 통증으로 이어 질 수 있다.
간단한 방법은 몸을 가로 질러 가방을 매는 방법과 백팩을 매는 것이다.

5. 한 손에 가방을 들고 있는 자세
한 손에 노트북 가방이나 무거운 가방을 드는 것은 위의 4번자세와 같은 형태로 어깨 근육에 과긴장을 불러 온다.
이 자세 역시 백팩을 매는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 할 수 있다.

6. 어깨와 목사이의 주름을 만드는 자세
우리가 전화 통화를 하다가 급하게 메모를 해야하는 경우 위의 그림과 같이 어깨와 목사이에 전화를 끼우고 메모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자세는 목이 외측 굴곡을 하게 되고 상부승모근과 견갑거근의 과긴장을 불러 온다
전화를 잡은 손을 바꾸는 방법으로 그림처럼 목과 어깨 사이에 주름을 만들지 않을 수 있다.

7. 안 좋은 수면자세
우리는 24시간중 약 6~8시간을 잠자면서 보낸다.
수면자세 역시 어깨와 목의 통증에 많은 관여를 한다.특히 베개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목의 과도한 골곡이 나타나게 된다. 베개의 높이는 목의 커브를 잘 유지 할 수 있는 높이로 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를 하는 거라고 할 수 있지만 당연한 것을 몸으로 실천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