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cyj0524
100,000+ Views

한글 패치가 과도하게 된 외국인


빙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hodu ㅋㅋㅋㅋㅋㅋㅋㅋ
통역 쓴 할리 ㅋㅋㅋㅋㅋㅋ
불어로 말해줄래? 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5 Comments
Suggested
Recent
양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ㅋㅋㅋㅋㅋㅋ
우리나라 사람 중에도 영어로는 생각나는데 우리나라말로 갑자기 생각 안 나는 사람 많아요. ㅋㅋㅋ
샘 해밍턴 옆에 있는 친구 뭐지? ㅋㅋㅋ 본인 입으로 호두를 말해놓고 모른데 ㅋㅋㅋㅋ 아 그리고 할리는 귀화 했으면 한국 이름 있지 않음? 안했나?? 그리고 국제 변호사인가? 그거 한다는데 외국어 잘하지 않으려나? 얼마나 당황했음 영어를 못해 ㅋㅋ
@donquixote87 영국남자는 조쉬구요 저 사람은 미쿸남자 데이브입니다
@id4181 그래요? 좀 닮은거같아서 ㅋㅋ 아무튼 재몼음!
바나나가 영어로 뭐지? 버내너 오렌지가 영어로 뭐지? 델몬트
한국사람 다됐네 ㅋㅋ
재밌네요~ㅎㅎ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세계에서 가장 섹시한 수학강사의 근황
너무 섹시해서 수업에 지장을 줬던 영군의 수학교수 피에트로 보셀리를 기억하시나요? 옷을 입어도 가려지지않는 섹시함 때문에 결국 영국UCL 대학에서 수학교수직을 내려놔야 했었는데요 다행이도 현재 아주 잘 모델활동을 하고있네요! (이상한 모델 아니고, 정말 패션 모델!!!!) 보셀리를 좋아하던 학생이 몰래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린 이후 유명세를 탔다고 하는데요 누가봐도 자랑하고 싶을 교수님이긴 하네요! 남들 다 학교 급식, 시설 자랑할때... "우리 학교 수학교수 클래스" 라고 하면 게임 끝! 하지만 아쉽게도 그로인해 학교를 떠나게 됐으니 그 학생은 아쉽겠어요ㅠㅠ 그 이후 강의실은 넘쳐났지만 지나친 관심때문에 교수직은 그만둬야했고 현재 활발히 모델 활동을 하고 있는데... 역시 옷태보다는 몸을 뽐내는 촬영이 훨씬 많은듯 하네요! 어떻게 이 피지컬을 가지고 일반인으로 살 수 있었을까요 주변에서 보셀리를 가만두지 않았을텐데!!! 그와중에 성실히 공부해서 유명대학의 교수가 된 정신력이 대단해요ㅠㅠ 많은 학생들의 첫사랑이 선생님인 경우가 많은데.. 이 대학의 학생들은 20살 넘어서 대학 교수를 짝사랑 하게 됐겠어요ㅋㅋㅋ 배운적도 없지만 제 교수님이 확실합니다..!! 청순하며 착해보이는 얼굴에 근육질 몸매가 왠지 슈퍼맨을 연상시키기도 하지 않나요? 연기에 관심이 있다면 배우를 해도 크게 성공할 것 같아요>.< 뒤늦게 나마 천직을 찾은것에 감사..아니 축하드립니다! 관심좀 주세요.. 귀찮으실까봐 댓글 달아달라고 못하는데 클립과 하트 정말 좋아해요...♥
잘나가던 모 개그맨 근황...
이 익숙한 하관, 어디선가 본 것 같지 않으신가요? 뾰족뾰족한 덧니... 상당히 마른듯한 몸... 한때 굉장히 잘 나갔던 모 개그맨의 모습입니다. 그는 바로...! 개그맨 한민관인데요. "스타가 되고싶으면 연락해~" 라는 유행어도 참 인기있었죠. (뒤에 초아씨 반갑네요 ㅎㅎㅎ) 잠시 잊혀진듯 했던 개그맨 한민관의 근황 소식을 들었는데요. 와 대박입니다... 한때 TV 레이싱 프로에도 패널로 나오고, 1박2일 등에서도 레이싱 이야기를 종종하던 한민관, 그는 어엿한 카레이싱 선수가 되어있었습니다. 단순히 취미로 하는 것 이상이죠. 왜냐구요?? 보이시나요? 숫자가 작아 잘 안보일 수도 있겠지만... 무려 2위에서 한민관 씨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위와의 격차도 좀 나지만 3위와의 포인트 격차도 꽤 나죠?? 와~~우...실제 한민관은 카레이서로 변신해 지난해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서한퍼플모터스포트 레이싱팀 소속 선수인 한민관은 2015년 시즌 2위에 랭크!!! 1위에 오른 서주원 선수가 워낙 압도적인 기량을 가지고 있어 차이가 좀 있지만 다른 선수들과 비교해도 전혀 부족함이 없습니다. 3위 선수와는 30포인트 이상 앞섰네요... 민관은 경기를 관람하다 레이싱의 매력에 푹~~~빠져 지난 2008년부터 본격적인 레이서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어요. 블로그 후기에서도 종종 카레이서 한민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더라구요~~~ 사람의 인생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 같죠? 카레이서 한민관의 멋진성적, 2016년에도 기대합니다~~ 외로운 빙글러에게 하트와 댓글로 관심좀 주세요. (찡긋_★)
러시아인들이 핀란드에서 쇼핑하는 방법
평범한 러시아인들에게 유럽으로 가는 길은 현재… 직접 가는 건 거의 대부분 막혔다고 봐야 한다. 비행기를 타려면 터키에서 갈아타야 할 테고, 육로로 온다면 이전에라도 받은 비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현재 딱 한 군데, (보통 솅겐 비자라 부르는) 비자를 갖고 있는 일반 러시아 관광객(!?)이 육로로 들어올 수 있는 창구가 남아 있다. 바로 노르웨이의 Storskog인데, 물론 짤방의 (애플맵) 지도를 보시면 바다가 있는데 그게 북극 바렌츠해입니다. 정말 춥고 사람 없는 지역이다. 한때 이쪽으로 군대 피해 넘어오는 러시아 청년들의 망명을 받아줘야 하나 하고 노르웨이거 고민하긴 했는데(참조 1), 요새는 쇼핑하러들 오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가 바로 일종의 “루프홀”이기 때문입니다? 솅겐 비자가 있는 러시아인들이 자동차를 몰고 일단 노르웨이의 스토르슈코그 국경을 통과한다. 그 다음부터는 어차피 솅겐 지역이니 스토르슈코그에서 제일 가까운 큰도시인 핀란드의 Näätämö로 향한다. 지도에서처럼 1시간 반밖에 안 걸리니 짧다. 그래서 핀란드에서 물건을 잔뜩 사갖고 돌아간다는 이야기인데, 외화가 풍부한 러시아이니 유로 환전은 문제가 안 될 것이다. 물론 제재대상 물건들은 구매를 막을 수 있기는 한데… 이 러시아인들이 핀란드에서 사가는 것은 생필품들이 많다. 그게 아닌 것들은? 그래도 사간다. 이게 이유가 있습니다. 러시아식 보따리 상인들이 있기 때문인데, 경제 제재로 인해 표면상으로는(참조 2) 서방 기업들이 나갔다고는 하지만, 서방 기업 물건들이 러시아에서 사라졌다는 의미는 전혀 아니다. 이미 카자흐스탄, 터키 같은 곳에서 중간 상인을 거쳐 물건들이 들어가고 있으며, 차이점은 단 하나 있다. 중간 마진이 급속히 늘어났다는 얘기다. 그러니 서방에서 뭘 사오든 러시아에서 그 배로 팔 수가 있다. 그런데 말입니다. 러시아 관세법에 따르면, 육로로 국경을 통과하는 경우 사람 1명당 50kg까지 면세라고 한다. 그래서 러시아 보따리 장수들이 시간 많고 용돈을 벌고 싶어하는 할머니들을 많이 고용한다. 이건 전쟁때문에 생겨난 현상이 아니며(참조 3), 핀란드에서는 그런 보따리 장수 알바하는 할머니들을 “킬로할머니/Kilomummo“라 부른다. 50kg 거의 다 채워서 다시 러시아로 돌아가는 분들이다. 그런 할머니 대여섯명이 밴으로 오면? 정말 장사할만하겠다. 당연하겠지만 러시아 상인들이 할머니들을 알바로 고용하는 것이며, 수고비를 또 할머니들에게 주기 때문에 할머니들 입장에서는 나쁠 게 전혀 없다. 서유럽 여행도 공짜로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이걸 막아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핀란드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면세 신청을 안 받아주는 것 정도 있을까? 국경 통과를 노르웨이에서 했기 때문이다(참조 4). 업체들 입장에서도 반드시 모니터링을 해야 할 의무는 없다. 여권을 보여달라 요청도 안 하는 모양이며, 어차피 저 지역은 러시아어도 대체로 통한다. 이건 그냥 봐줘야 하잖을까? 저 북극 마을에서 고가의 (제재 목록에 들어갈 만한) 제품이 진열되어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어차피 냉전이 최고조일 때에도 상인들은 동서방을 왔다갔다 하곤 했었다. 바부슈카들에게는 죄가 없다. ---------- 참조 1. Norway hesitates on granting asylum for Russians fleeing army draft(2023년 1월 24일): https://thebarentsobserver.com/en/borders/2023/01/norway-hesitate-asylum-russians-fleeing-army-draft 2. 생각보다 러시아에서 기업들이 나가지 않은 건에 대하여(2023년 1월 24일): https://www.vingle.net/posts/5249703 3. 이 기사에서는 할머니 5명이 밴 하나에 타서 쇼핑하는 광경이 나온다. “Kilomummot" työllistävät tullia entistä enemmän(2014년 8월 14일): https://yle.fi/a/3-7409656 4. Venäläiset turistit keksivät keinon päästä Suomeen, eivätkä viranomaiset voi asialle mitään(2023년 2월 13일): https://yle.fi/a/74-20017202
폴란드의 지역감정
폴란드는 아주 오랜 독일, 러시아한테 분할당하고 합쳐지고 생겨난 나라임 이렇다보니 지역갈등이 아주 재밌게 생겼음 1940년대의 폴란드와 현재의 폴란드임 독일이 2차대전으로 멸망하고 서부는 폴란드가 원래의 동부는 소련이 가져가게 되었음 그렇다는건 예전 독일땅과 러시아땅이 합쳐졌다는것인데 이들의 지역은 얼마나 다를까 2003년 폴란드의 EU가입 국민투표에서 77%로 찬성이 나왔음 이걸더 세부적으로 본다면 예전 독일 지역은 99%가 찬성을 했지만 러시아땅은 반대표가 상당히 나왔음 이것을 찬성투표로만 본다면 서부지역은 90%가 찬성을 보였지만 동부로 갈수록 찬성이 점점 약해지는것을 볼수가 있음 2015년 폴란드의 대선이 찾아왔고 결과는 PIS당의 안제이 두다가 당선되었음 안제이 두다와 코로모프스키의 대선득표율을 본다면 지역감정을 알수가 있음 서부는 코로모프스키의 몰표가 나왔지만  동부는 두다의 몰표를 알수가 있음 그리고 이것은 폴란드의 LGBT 불법지도임 빨간색으로 되어있는곳에는 LGBT가 불법이고 아무런 색도 없는곳에는 합법임 서부는 대부분 합법이지만 동부는 불법이 많이보임 서부는 LGBT를 찬성하고 동부는 LGBT를 반대한다? 그럼 아까의 폴란드 대선으로 정치성향을 알수가 있음 2015년에 동부의 몰표로 당선된 안제이 두다는 우파성향이고 서부의 몰표를 받은 코모로프스키는 좌파성향임 이처럼 폴란드는 서부동부가 정치, 문화적으로 분열이 되어있음 과거의 독일땅은 좌파 러시아땅은 우파 ㄷㄷㄷㄷㄷ 싱글벙글지구촌갤러리 WV님 펌
우러전쟁 이야기 (테크니컬)
러시아군이 테크니컬 차량을 운용하는 게 보여서 오늘은 우러전쟁 테크니컬에 대해 쓸 생각임.  테크니컬이란 '규격화된 군용 차량 장비가 아닌 그 성능을 흉내 낸 유사 차량 장비류'를 뜻하는 용어임.  민수용 픽업 트럭, 승용차에 올려진 로켓포, 기관총,  대전차 미사일 이런 게 테크니컬임.  우러 양측 모두 테크니컬을 많이 사용함. 러시아가 기갑 대국이라 하더라도 전선의 수요를 다 채우기엔 부족한 실정임. 또 전투로 소모되는 기갑이 많기 때문에 꿩 대신 닭이라고 어쩔 수 없이 테크니컬을 쓰는 경우가 있음.  테크니컬을 쓰는 흔한 패턴은  대전차 미사일 차량임.  우크라이나군의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은 22.3kg,  러시아군의 코넷 대전차 미사일은 27kg으로  많이 무겁기 때문에 차량이 필수임. 대전차 미사일의 사거리는 수 km로  상당히 길기 때문에 테크니컬로 써도 무방한 편임. 그다음으로 이상적인 형태는 테크니컬 로켓포. 비교적 안전한 후방에서 쏘기 때문에 민수용 차량의 낮은 방어력이 딱히 문제 되지 않음.  헤르손 전선 러시아군의 테크니컬 포병.  이게 '자칭 세계 2위의 군대??' 라고 말하고 싶지만 이런 것도 엄연히 살상 무기임.   보기엔 굉장히 추해 보여도 '없는 것보단 낫기 때문에' 이런 테크니컬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음.  그다음은 가장 안 좋은 형태로 생각되는  테크니컬 기관총 차량.  공장에서 출고되듯 쉽게 찍어낼 수 있으나 사용자의 생존을 보장할 수 없는 위험한 방식임.  방어력이 없는 민수용 차량을  최전선에서 굴리는 것이라 죽기 딱 좋은 방식임.  장갑을 두르면 총탄에 대한 내성은 생길 수 있지만 민수용 차량이 장갑 무게를 못 버텨 고장 날 수 있음.  테크니컬 기관총 차량을 쓰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드론 방어 대공포대로 쓰는 게 이상적으로 보임.  이렇게 사용하면 민수용 차량의 낮은 방어력이  문제 되지 않음.  테크니컬은 전쟁터에서 살아남기 위한 발악이라고 생각되며 적절히, 잘,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표준 기갑 차량보다 오래 생존할 수도 있다고 봄. 일단 '없는 것보단 낫기' 때문에  그 쓸모가 어느 전쟁에서든 있음.  다만 테크니컬은 장갑이 없기에 아차 하면 죽어서 진짜 목숨 걸고 운용해야 함.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을 받고 있는 러시아군 풍익(?) 상부 장갑이 있었으면 저런 수류탄 공격에 쩔쩔맬 일이 없었음.  마지막으로 자칭 세계 2위 러시아군도  테크니컬 차량을 많이 쓰고 있기에 테크니컬은 새삼스럽지 않으며 러시아 기갑이 우러전쟁으로 많이 갈려 나갔다는 증거라고 생각함.   3줄 요약 1. 테크니컬은 민수용 차량에 기관총, 로켓포 등을 올려 쓰는 것을 뜻함.  2. 우크라이나군만 아니라, 러시아군도 많이 쓰고 있음. 선전 영상에도 나옴.  3. 아차 하면 죽기 때문에 적절히 잘 쓰는 게 중요함. 대전차, 로켓포가 베스트. 군사갤러리 후지토라님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