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자에겐 호랑이처럼, 약자에겐 비둘기처럼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Frank William Schofield, 1889.3.15-1970.4.16)는 캐나다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수의사로서 세균학과 위생학을 강의한 교수이며, 자랑스런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이다. 또한 3·1운동의 '민족대표 34인' 으로서 독립선언문에는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나, 엄연히 민족의 대표로서 활동을 하였다. 영국 태생으로, 캐나다로 이주를 하여 대학에서 수의학을 전공한 그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장 올리버 애비슨의 권유를 받아 한국에 오게 되었다. 한국에 온 그는 세브란스 학교에서 근무하던 중, 평생의 동지이자 친구인 이갑성 선생을 만나 인생 의 전환을 맞게 되었다. 평소 일본의 압제에 핍박 받는 한국인들의 고통에 가슴아파하던 그는, 이갑 성 선생과 함께 교우하며 한국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3.1운동, 제암리 학살사건, 유관순 열사의 면담 등을 통해 일제의 만행을 목도하고 전 세계에 일제의 잔악함을 알리고, 조선 독립의 당위성을 설파하였다. 일제에 의해 1920년 캐나다로 추방된 후에도 한국을 그리워하다가 1958년, 독립한 대한민국에 돌아와 여생을 보내고 1970년 작고하였다. 유해는 평소의 유언대로 제 2의 조국 대한민국에 안장되었 으며, 독립에 힘쓴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외국인으 로서는 최초로 국립현충원에 모셔졌다. 그는 돌과 같은 굳은 의지(석 石)와, 호랑이같은 용맹함(호 虎)으로, 사악한 강자와 싸우고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마음을 다해 돕겠다(필, 도울 弼 혹은 반드시 必)는 뜻의 [석호필]을 한국이름으로 삼았다. 몇년 전 미국 드라마 '프리즌 브레이크' 주연 '앤트워스 밀러' 의 극중 이름인 '스코필드' 를 한국 식으로 발음한 <석호필>이라는 애칭이 유행하였 는데, 네티즌들은 이 이름을 앤트워스 밀러에게 붙이고 나서야 스코필드 박사가 실존한 인물이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같이보기】 ★조선민중과 함께 : https://www.vingle.net/posts/1953121?asrc=copylink <made by gaonbreeze>☞공유는 언제나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