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환자의 더 행복한 인생을 위한 10가지비밀(
이란 책이 2013년에 발간된책이었구나.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이 같은건 줄 알았다.
올해90세이신 나의 할머니를 반걱정 반은 마음을 내려놓으며 파킨슨 이란 단어를 섞어쓰는것은 알츠하이머 이며, 작년 갑작스런 장인어른의 죽음에 파킨슨을 좀더 정확하게 이해했더라면 하는 이유다.
파킨슨병: 냄새, 소화, 수면 알츠하이머병: 기억에 필수적인 곳
[치매인가? 라고 생각한게 파킨슨병이었다그렇게 무의식적 생각이 신경과병원을 택하고, 좀더 편안하게 해드리면 되고, 약명은 콕찝을수 있으나 약의 수위(수량또는용량)는 먹어보면서 또는 반응을 보면서 조절하는 소위 전문가소견과 치료법에 '그건 나도 하겠다'는 부족한상식에 변화가 일어났다]
파킨슨병 : 건강염려증, 불안증상 스트레스보단 활동성퇴행질환과정 걸을때 팔을 앞뒤로 저어지지않는다면 파킨슨병 환자는 하품한 후 각성이 나타난다
파킨슨 환자가 약물없이 살아간다는 희망은있을 수 없다.
파킨슨의 1/3 이 우울증 - 쓸모없다는 느낌과 죄책감 - 식욕장애/아침에 일찍 일어남/수면문제/
파킨슨병 의 1차증상이 우울증이라는 생각 파킨슨병에대한 반응으로 우울증이 오는것이 아니다
1. 조기발견과우울증/우울증상에 대한 공격적치료가 파킨슨병의 성공적치료를 위한 중요한 비밀
처방과 용량사이에 약물투여가 장기적이고 조절하는 치료이다. 따라서 환자의 장기적치료계획도 중요하고. 전문의의 항우울제 처방이라 곧바로 환자들을 관찰하는 일을 등한시하면 안된다
그러나 이것도 경증에 해당, 중증이면 즉각 정신과 전문의를 참여시킨다. *일부 정신과약물은 파킨슨병을 악화시키기도 하기때문이다. 특히 자살
공황발작은: 환자는 파멸감을 느끼거나 나쁜일이 생길것이라거나 죽음에 대한 통제되지않는 공포를 느낄 수 있다
파킨슨병의 1/3이 느낄수있으며, 환자를돌보는 사람들의 1/5역시 불안을 느낄수 있다는것
[결국 집안에 단명, 왜 그랬을까, 이런 외부적 조건 이 아니라, 그 심각성을 가족(당사자의 형제, 자녀,배우자까지)이 인지하지못하거나, 인지해도 그 해결방안에 있어 잘못된 믿음이나 해결책으로 치료의 시기를 놓쳤다]
파킨슨병과 수면장애 :1.수면제가 답이라는 잘못된 인식 그래서 일반개원의나 신경과전문의는 올바른진단->치료 가아닌 고용량수면제처방 먼저 하는경우가 많음
수면장애라는 광범위하고 누구도 설명하기어려운 단어보다는
1.불면(잠을 못들거나 몇시간밖에 못잠)
2.과도한 주간 졸림
3.주기적 사지운동
4.렘 수면장애
5.수면중 호흡장애 인지
인지를 구분해서 설명할줄 알아야
그밖에도
운동
외래진료와 약물복용에대한 스케쥴 준수여부에 대한 이해
파킨슨병에 사용금지 약물 이해
등에 대한 내용을 접할수록 있었다.
[파킨슨병환자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정신증(환각/환상/피해망상) 이라는부분은 그 심각성을 경험이라는 시기를 통해 큰 문제임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입원키트는 병원내에서의 실수예방이 생명을 살린다
엄마는 병원의 직원과 의사들을 교육시켰다
입원당사자 옹호자역할을 충실히 했다
입원키트는 병원내에서의 실수예방이 생명을 살린다 엄마는 병원의 직원과 의사들을 교육시켰다 입원당사자 옹호자역할을 충실히 했다
입원키트는 병원내에서의 실수예방이 생명을 살린다 엄마는 병원의 직원과 의사들을 교육시켰다 입원당사자 옹호자역할을충실히 했다
병원직원과 의사와 더 많은대화를 하는 엄마는 그래서, 입원당사자에게 지속적인 신경을 쓰고, 이병의 치료시기에대한 즉각조치에 조금 더 충실하게 하는데 역할을 다했다. 그것이 다른 가족과 다른 눈에보이지않는 차이였다.
여기서 눈에 보이지 않는 차이란, 잘 될거야, 이겨내야해, 라고 환자에게 말하는 또 다른 보호자가 어찌보면 우리에게 지극히 정상적으로 보이는 그것을.행위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