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jun22
5,000+ Views

한국의 닭장 시스템

정해진 사람을 만나고
정해진 근로계약을 작성하고
정해진 직업을 가지고
정해진 교육을 받고
정해진 급여를 받으며
정해진 사람과 결혼을 하며
정해진 출산을 할 수 있고
정해진 수명을 가지며
정해진 생각들을 세뇌받으며
정해진 사육적인 시스템에
적응하고 사는건 아닐까?

-flyjun22-

2 Comments
Suggested
Recent
공감합니다
메트릭스네요 짜여진 각본대로 사는것이니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지금은 카카오톡, 과거에는???!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DM,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우리는 의사소통의 채널로 많이 사용하고 있죠! 과거에도 이와 같은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다양한 메신저들이 존재했습니다 지금부터 메신저의 변천사를 하나하나 살펴보시죠! 1. MSN - 1999년도 9월에 처음 등장한 Microsoft 사의 MSN은 주로 대학생과 회사원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2004년 국내 이용자 수가 700만 명에 달할정도로 큰 인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본인 인증 제도가 없었기에 아이디를 한번 까먹으면 찾을 수가 없었다네요,,,ㄷ (이건 제가 태어나고 한창 한글을 배울 때라 잘 모르는 메신저네요,,,,;;;ㅎㅎ) 2. 지니 - 1999년 11월 MSN과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었던 지니 메신저는 고객층이 10대였습니다. 쪽지로 간편하게 대화할 수 있었던 장점이 있었고 무엇보다 파일 전송 기능이 있어서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참, 2002년 3월 지니의 하루 접속자 수는 110만명에 육박할 정도였다고 하네요...... 3. 세이클럽 -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아바타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이클럽은 10~20대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또한 메신저 기능 이외에 동호회, 인터넷 방송 서비스 등 놀거리가 연동돼 40-50대 사이의 연령층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고 실제로 2004년에는 동호회 수가 50만개를 넘겼다고 하네요! 4. 버디버디 - 여기서부터는 제가 아는 메신저네요,,,호우~~~ 등 많은 분들의 흑역사를 가지고 있는 버디버디,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등 자신의 기분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기에 10~20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젊은 층들에서 인기를 끌었다보니 유저가 사용하는 닉네임이 참 독특했죠. 가령 Σ딸㉠|겅듀™ 등 (저는 Zㅣ존**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크흠) 처음에는 접속이 힘들정도로 인기가 있었는데 2011년부터 금격히 쇠퇴하면서 접속이 굉장히 원활해졌다고 하네요.. 5. 네이트온 - 혹시 아실까요? 싸이월드라고,,, 싸이월드는 홈피를 꾸미고, 방명록과 일촌평 등을 남기고 그개수가 곧 인기의 척도가 되었던, 학생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그런 사이트입니다. 그런 사이트와 연동이 가능했던 네이트온은 2002년 말에 등장해 2005년 MSN을 꺾고 메신저 1위를 등극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생일알람, 선물조르기, 원격제어 등 다양한 기능이 있었기에 직장에서도 많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자, 이 시기가 지나고 2009년을 시작으로 갤럭시 S1, 아이폰 등이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을 원활하게 컴퓨터 없이 내 손에서 다룰 수 있게 만들어준 스마트폰은 메신저계에도 엄청난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6. 카카오톡 - 2010년 3월 처음 출범한 카카오톡은 피처폰 시대의 막을 내리게 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실시간으로 채팅이 가능했으며, 그룹 채팅, 음성메시지 등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고객들의 피드백을 매우 빠르게 반영하였기에 큰 인기를 끌었고 현재에는 더 많은 기능이 생기고 전국민이 사용하는 메신저로 자리잡았다. 7.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 페이스북 메신저 - 이후 싸이월드와 같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고 일상을 기록할 수 있는 Social Network Service가 등장하였고 이와 함께 다른 사람들과 대화가 가능한 메신저들이 출시되기 시작했습니다! 맺음말 이 모든 과정이 약 20년만에 일어난 일들입니다.. 겪으면서는 잘 몰랐는데 지나고보니 시간이 엄청 빠르다고 느껴지네요 ... 허허허헣 앞으로 또 어떤 다양한 메신저들이 등장하고 세상 바뀔지 기대가 됩니다! 그 환경에 잘 맞춰가는 것도 중요한 능력이 되겠네요!!
업무 능력 급상승에 도움되는 책 3
1. <인맥보다 강력한 네트워킹의 힘> - 100명의 인맥보다 4명의 네트워킹이 더 낫다! ① 비즈니스에서든 인생에서든 올바른 네트워킹 방법을 알려준다 인간관계, 특히 개인의 성장과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실용적 지침서다. 단순히 누구와 만나고 명함을 주고받고 식사를 하면서 ‘아는 사람’의 영역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아닌, 나의 성공과 성장에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진심으로 나의 비즈니스와 인생에 영향력을 미치는 그런 한 차원 높은 네트워킹 방법을 담고 있다.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거나 좋은 인맥을 쌓아야 성공한다는 식의 기존의 인간관계나 인맥, 네트워킹 관련 도서와 달리 이 책은 왜(WHY), 누구와(WHO), 그리고 어떻게(HOW) 네트워킹해야 하는가에 대해 구체적이고 방법론적인 팁을 담고 있다.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을 알 필요가 없다고 단언한다.  내가 주인공이 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핵심인물 4명(Core 4)을 먼저 찾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② 곁에 두어야 할 12인 유형 vs 멀리해야 할 12인 유형 체크리스트 실용적인 지침서답게, 자신의 네트워크 현황을 점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포함해 목표 네트워크로 발전해가기 위해 파악해야 할 주요 인물의 특성과 역할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독자들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따라가면서, 현재 나의 네트워크 상황은 어떤지, 주요 인물 12명의 유형(치어리더, 탐험가, 격려자, 연인, 연결자, 균형자, 인플루언서, 교수, 설계자, 조언가, 추진자, 멘토) 중 누가 네트워크에 빠져 있는지, 이를 채우기 위해 누구와 어떻게 연결하면 좋은지 등에 대해 구체적인 리스트업이 가능하다. 더불어 나의 성장과 성공을 방해하는 어둠의 세력에 대한 경계도 잊지 않았다. “나의 에너지를 갉아먹고, 지치고 힘들고 부주의하게 만드는 어둠의 세력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미친 짓이다.”라고 말하는 저자는 12명의 유형을 밝히고 그들을 멀리하라고 조언한다. ③ 승진이나 이직, 사업 시작 등 변화의 상황에서, 그리고 인생의 변곡점에서 꼭 필요하다 저자 재닌 가너는 영국에서 나고 자라 직장생활을 시작했지만 정작 자신이 비즈니스에서 성장하고 성공한 곳은 호주였다. 그녀는 제대로 된 인맥 하나 없이 호주에서 훌륭한 네트워크를 만들었고, 그를 통해 비즈니스와 인생 모두에서 성공을 거뒀고, 네트워크 전문가로 자리매김했다. 2. <팩트보다 강력한 스토리텔링의 힘>  -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은 스토리텔링 능력이다.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9가지 방법 ① 스토리를 절대로 읽지 마라 스토리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적어야 하지만 이것은 발표할 때 읽듯이 해서는 안된다. 청중에게는 읽어주는 스토리를 듣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스토리는 자신의 것임으로 기억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찾아내 연습한다면 스토리 전달은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므로 절대로 스토리를 읽지 말아야 한다. 설령 약간의 실수가 있더라도 그것을 알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당신뿐이다. ② 자신의 스토리를 믿어라 누구보다도 먼저 자신의 스토리가 주는 힘을 믿어야 한다.  과정을 신뢰하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라. ③ 평소의 목소리로 이야기하라 스토리를 이야기할 때 ‘스토리용 목소리’를 쓰려고 하지 마라.  꽤 많은 지적이고 세련된 사람들이 ‘스토리용 목소리’를 쓴다는 걸 알면 무척 놀랄 것이다.  마치 노래하듯이 간드러지게 하는 목소리 말이다.  사람들과 대화하듯이 말하라.  평소 말하는 목소리로 이야기하라. ④ 한 사람에게 말하듯이 이야기하라 스토리를 이야기할 때는 마치 오직 한 사람에게 말하듯이 하라.  청중이 10명이고, 100명이고 상관없이 한 사람에게 말하듯이 하는 것이 청중을 한 개개인으로 보고 교감을 시도한다는 의미다.  단순하지만 막강한 기술이 된다. ⑤ 속도를 조절하라 스토리 말하기가 생소한 사람들은 그들의 스토리를 급하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그들이 아직도 스토리의 힘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고, 성급하게 끝내려고 하는 이유다.  스토리를 연습하는 동안 잘 훈련했다면 1~2분가량으로 스토리의 분량을 조정해서 서두르지 않아도 된다. 속도를 조절하라. 그러면 스토리가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몇몇의 스토리는 처음은 느리게 시작하지만 갈수록 빨라진다. 또 일부는 처음부터 빠르게 진행한다.  당신은 이것을 가늠해보고 어떤 것이 당신의 목적, 청중 그리고 자신에게 잘 맞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⑥ 중간 중간 한숨 돌려라 비즈니스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적을 불편해 해서 급하게 정적을 깨려 한다.  그러나 스토리의 중간이나 뒤에 있는 정적은 강력한 수단이 된다.  스토리 중간의 일시정지는 타이밍이 적절하다면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일시정지는 2~3초 정도나 더 길게 하여 길이의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정지한 시간이 영원할 것처럼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고 서스펜스를 주기도 하고 요점이 드러나게도 만든다. ⑦ 효과적으로 반복하라 스토리에서 문장을 반복해보는 것이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누구나 당신의 뛰어난 스토리텔링 능력이 타고난 재능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할수 있어야 한다.  “내 최고의 애드립 스토리는 거울 앞에서 몇 시간씩 연습하여 나온 것이다.” 이는 메시지를 강화하고 마음속에 각인되게 해준다.  그러나 반복은 적절하게 사용해야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⑧ 눈맞춤 하라 스토리를 이야기할 때 시선을 마주치라는 의미는, ‘청중에게 눈을 부릅뜬다’라든지 ‘눈싸움을 하라’와 같은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과 교감한다’라는 인간적인 방법을 말한다. 대규모의 청중과 당신의 스토리를 나눈다면 공간의 여러 부분과 시선이 교차하도록 노력하라.  100명의 청중이 있다면 각각의 사람들 모두 다와 눈맞춤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공간의 다른 여러 부분에 눈길을 주도록 해야 한다. 당신에게 미소 짓고 있다고 해서, 또는 이미 당신과 통하고 있다고 해서 한 사람만을 응시해서는 안 된다.  이미 그들과 교감했으니, 다른 이들과도 교감하라. ⑨ 스토리 얘기해주는 것을 즐겨라 스토리를 말하면서 허우적대는 모습을 지켜본다면, 청중 모두는 치과 치료를 받는 것처럼 유쾌하지 못할것이다.  가장 유용한 것은, 스토리를 이야기할 때 즐기라는 것이다.  당신의 온정, 열정 그리고 에너지가 한 데 모여 스토리 이야기하는 것을 즐기게 되면 계속해서 스토리를 나눌 수 있게 된다. 3. <일문일답>  - 주어진 시간 안에 가장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 ① 직장에서 일 잘하는 방법에 관한 최초의 Q&A 식 일대일 맞춤형 코칭서 ‘일문일답’은,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답변’이라는 표면적인 뜻도 있지만, 우리나라 최고의 일멘토에게 ‘일에 관해 묻고 일해 관해 답한다’는 중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성과창출 전문가이자 일멘토인 류랑도 저자는, 직장에서 일하는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분석해 각각의 정확한 개념 정의부터 핵심적인 고민거리와 문제 상황까지 아우르는 250개의 질문(Q)을 뽑아내 명쾌하고 논리적인 해법(A)을 제시했다. 팀원과 팀장, 실무자와 리더, 임원과 CEO 등 일하는 모든 구성원은 자신이 맡은 역할과 책임에 맞게 어떤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본질을 꿰뚫는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일하는 방법과 일로써 느끼는 즐거움을 찾도록 해준다. 대한민국 최고 일 전문가로부터 직장에서 일 잘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활용하도록 일대일 맞춤형 성과코칭을 받을 수 있다. ② 주 52시간 시대, 자율을 바탕으로 한 ‘성과창출을 위해 제대로 일하는 방법론’ 체계화 지난 23년 동안 조직과 개인이 원하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개념을 정리하고 핵심 프로세스와 템플릿을 고안하며 ‘일하는 방법론’을 연구해온 저자는, ‘성과창출을 위해 제대로 일하는 방식’을 명쾌하고 실용적으로 체계화했다. 주 52시간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일하는 시간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는 예전처럼 실무자가 일하는 내용과 방식을 리더가 일일이 관리하는 방식으로는 성과를 창출할 수도 없고 조직을 이끌 수도 없으며, 구성원 모두가 자율적으로 일하는 새로운 방식이 정착되어야만 목표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자신만의 고유한 ‘일의 방법론’, 궁극적으로는 ‘모든 일하는 구성원이 자율적, 자기완결적, 자기주도적으로 일하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체계화했다. ③ 스토리텔링 상황 설정으로 현장감과 현실감을 살린 구성 대한민국의 한 중견기업 상품기획1팀의 ‘일문일답’ 1일 사내 워크숍이라는 스토리텔링 상황을 설정함으로써 독자들이 좀더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했다. 팀장 보임 1년차의 김상현 팀장을 비롯해 한보람 사원, 조인석 대리, 이병훈 과장, 박현진 과장 등 4명의 팀원이 등장해 각자의 상황에 따른 일에 대한 고민을 풀어놓고, 최고의 성과창출 전문가이자 일멘토인 류랑도 대표가 가장 본질적이면서 명쾌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오늘의 표현은 부당한 대우(비행기에서 내리라고 할 때 등)를 받을 때 대처법입니다.
버스에서 내리라든가 집주인이 갑자기 짐을 빼라든가 황당한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이성을 잃고 소리를 치거나 몸을 크게 움직이면 일단 손해입니다. 1. 일단 쫄지 말고 I know my right / 나는 내 권리를 알아요, 라고 말하세요. 2. 접근하거나 신체접촉을 시도하면 I'm saying, don't cross the line / 내 말 잘 들어요. 선을 넘지 마세요(함부로 대하지 마세요), 라고 경고하세요. 3. Okay, understood. I'm asking you to show me the (formal) policy on paper, please / 알아들었어요. 정식 정책을 문서로 보여주세요, 라고 정중하고 명확하게 밝힙니다. 4. Is this a mandatory or a kind of consent? / 이것은 의무사항인가요, 아니면 (저의) 동의를 구하는 건가요? 라고 정확하게 물으세요. 영미권에선 좋은 게 좋은 게 아닙니다.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인줄 압니다. 5. I would like to have an explanation from who is in charge on this matter. Who can decide yes or no right now / 이 문제의 책임자(관리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싶네요. 지금 여기서 결정권이 있는 사람이요, 라고 요구하세요. 영미권에서는 직급이 낮은 사람도 자기 책임을 다 하긴 하지만 그 사람들과 길게 말하면 손해일 때도 많습니다. 특히 단순업무를 하는 사람은 고구마일 때가 많아요. 계속
자유무역협정
아래 사진은 USTR의 자유무역협정 페이지를 캡처한 것(참조 1)이다. 미국이 이제까지 20개 국가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표시되어 있는데(당연히 한국도 들어가 있다), 맨 아래 중요 광물의 자유무역에 초점을 둔 협정을 하고 있다면서 일본이 표시되어 있다(참조 2). 목요일 하면 FTA라 할 수 있겠지요. 그런데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겁니다. 미국은 자유무역협정을 뭐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일본과 체결하는 중요광물 협정도 자유무역협정에 들어가는가? 우리나라는 당연하게도 FTA에 대한 개념을 정부 사이트에 풀이해 놓았다(역시 선진국, 참조 3). 그런데 USTR 사이트 내에 FTA의 개념에 대해 풀이해 놓은 곳이 없다. IRA 때문에 온갖 난리를 피우고도 그러한데, 각 법에 그냥 단순히 FTA라고만 썼을 뿐이다. 그런데 여러분들 그거 아십니까? 애초에 GATT 협정 안에도 FTA라는 말은 없습니다(참조 4). 다만 제24조에 “자유무역지대(area)”라는 표현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까 GATT 협정이 구성하는 현재의 WTO 체제 하에서도 누가 딱부러지게 자유무역협정을 정의내리지 않았으니, 미국도 자기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다만 미적미(??)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미국 연방헌법상 무역은 미국 연방하원 관할이다. 그런데 일본과의 광물협정(참조 2)은 행정부가 그냥 체결해버렸네? 심지어 서명만으로 효력이 발생하네(참조 2 링크에 있는 협정원문의 제14조를 보자)?? 미국 내 특히 민주당 의원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수 있겠다는 예상을 할 수 있겠다. 실제로 그렇다. 이미 하원의 블루머노어 의원(OR-03지역구) 및 킬디 의원(MI-08지역구)이 바이든 행정부에게 이런식으로 우회하지 말라는 말을 했다(참조 5). 이게 진짜 본론입니다. 이들 의원들은 분명 FTA의 정의 아래, 이번 일본과 협정이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기 때문이며, 뉴욕타임스 기사(참조 6)도 그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행정부의 법기술자(…)들이 FTA에 대한 정의가 미국 국내법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틈새를 찾아내 그냥 자기집행성이 있는 정부간 협정으로 간주하고, 서명 및 발효를 시켜버렸다는 점이다(발표도 재무성이 아니라 USTR을 택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사실 이건 트럼프 행정부의 업보이기도 하다(참조 7). 워낙에 트럼프 행정부가 의회를 무시하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인데, 이경우 연방하원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아마… 누군가 소를 제기하여 법원이 판단하기 전까지는 그냥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 미국과 일본 간 협정은, 역시 미국과 FTA가 현재 없는 EU와 협정을 염두에 둔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행정부(USTR)는 계속 고고씽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미국이 앞으로 전통적인 FTA를 체결하지 않을 거라는 웬디 커틀러 전USTR 부대표의 언급(참조 7)을 보면… 앞으로도 무역 관련해서는 소형 협정과 지속적인 하원 우회가 예상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아마도 연방하원이 크게 이의를 제기할 것 같지는 않다. 2000년대 부시 대통령이 사용했던 광범위한 “war”의 정의에 대해서도 당시 상하원 모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 참조 1. 출처 : https://ustr.gov/trade-agreements/free-trade-agreements 2. 일본산 배터리 광물에도 IRA 보조금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이다. 일본이 미국과 기존 FTA 체결국이 아닌지라 협상을 벌여서 끌여들인 것.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ercNews/cme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1832112&no=1&classification=&searchReqType=detail&searchCate=&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Type=title&searchKeyword= United States and Japan Sign Critical Minerals Agreement (2023년 3월 28일): https://ustr.gov/about-us/policy-offices/press-office/press-releases/2023/march/united-states-and-japan-sign-critical-minerals-agreement 3. https://www.fta.go.kr/main/situation/fta/term/ 4. What is a Free Trade Agreement, Anyway?(2023년 1월 3일) : https://ielp.worldtradelaw.net/2023/01/what-is-a-free-trade-agreement-anyway.html 5. Blumenauer Statement on U.S.-Japan Critical Minerals Agreement(2023년 3월 28일): https://blumenauer.house.gov/media-center/press-releases/blumenauer-statement-on-us-japan-critical-minerals-agreement STATEMENT BY CONGRESSMAN KILDEE ON U.S.-JAPAN CRITICAL MINERALS AGREEMENT(2023년 3월 28일): https://dankildee.house.gov/media/press-releases/statement-congressman-kildee-us-japan-critical-minerals-agreement 6. Lawmakers Rebuke Biden for Bypassing Congress in Trade Deal With Japan(2023년 3월 28일): https://www.nytimes.com/2023/03/28/business/economy/us-japan-battery-trade-deal.html?smid=url-share 7. Biden’s ‘Go It Alone’ Trade Deals Draw Warnings From Congress(2023년 3월 19일): https://www.wsj.com/articles/bidens-go-it-alone-trade-deals-draw-warnings-from-congress-a08833d4?st=u7sqynhg9dqezi2&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