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utreading
100,000+ Views

세인트 존스 대학,100권의 인문고전 리스트


미국 유명 대학 중에 4년동안 인문고전만 읽는 학교가 있습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한국에서도 많이 소개가 되어서 은근 유명한 대학이기도 하죠. '세인트 존스 대학'. 이 곳에서는 매일 책읽는 학생들을 볼 수 있습니다. 책을 읽는 것이 학생들이 공부하는 방법입니다. 따로 전공도 없습니다. 모두가 같은 책을 읽죠. 그렇게 4년동안 100권에 가까운 인문고전을 공부합니다. 일과는 단순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정해진 분량의 독서를 합니다. 그렇게 하루를 보내죠. 그리고 저녁쯤에 학생들이 모이기 시작합니다. 수업이라고 해야할까요? 사실 우리가 아는 수업이라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같은 책을 읽은 학생들끼리 모여서 토론을 하는 시간이니까요. 그럼 교수는 없냐구요? 아닙니다. 교수가 있습니다. 그것도 한 팀당 두 명의 교수가 참여하죠. 그러나 수업을 주도하는 건 교수가 아닙니다. 학생들이죠. 주체는 학생들이고 교수는 보조를 할 뿐입니다. 그렇다보니 우리가 흔히보는 수업의 풍경을 볼 수가 없죠. 그리고 이게 끝이 아닙니다. 모든 토론을 마치고도 학생들을 남아서 또 다른 친구들과 자유롭게 토론을 하죠. 끊임없이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과정이 돋보입니다.

(동영상참고)

그렇다면, 이 학교에서 읽는 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는 대략 100권에 이르는 세인트 존스 대학의 도서목록입니다. 어떤 책을 읽어야할지 고민되신다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1학년

1. 호메로스 : 일리아드, 오디세이
2. 아이킬로스 :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에우메니데스, 묶인 프로메테우스
3. 소포클레스 : 오이디푸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 필록테테스
4. 투키디데스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5. 에우리피데스 : 히폴리토스, 바카이
6. 호로도토스 : 역사
7. 아리스토파네스 : 구름
8. 플라톤 : 메논, 고르기아스, 변명, 크리톤, 파이돈, 향연, 파르메니데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테스, 티마이오스, 파이드로스
9. 아리스토텔레스 : 시학, 자연학, 형이상학, 니코마스코스윤리학, 생성소멸론, 정치학, 동물부분론, 동물의 생식에 관하여
10. 유클리드 : 기하학원론
11. 루크레티우스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12. 플루타르코스 : 뤼쿠로고스, 솔론
13. 니코마코스 : 산술론
14. 라부아지에 : 화학요론
15. 하비 :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연구
16. 아르키메데스, 파렌하이트, 아보가드로, 돌턴, 까니차로, 버르초우, 마리오트, 드리슈, 게이 뤼삭, 슈페만, 스티어스, J.J.톰슨, 멘델레에프, 베르톨레, J.L.프루스트의 논문들

2학년

17. 구약성서
18. 신약성서
19. 아리스토텔레스 : 영혼론, 명제론, 분석론 전편, 범주론
20. 아폴로니우스 :원뿔곡선론
21. 베르길리우스 : 아이네이스
22.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 소 카토
23. 에픽테토스 : 오록, 편람
24. 타키투스 : 연대기
25. 프톨레마이오스 : 알마게스트
26. 아우구스티누스 : 고백록
27. 성 안셀무스 : 프로슬로기온
28.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이단 논박 대전
29. 단테 : 신곡
30. 초서 : 켄터베리 이야기
31. 드프레 : 미사곡 3
2. 마키아벨리 :군주론, 대화론
33. 코페르니쿠스 : 천체의 회전에 대하여
34. 루터 : 그리스도교도의 자유에 대하여
35. 라블레 :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이야기
36. 팔레스트리나 : 파파에 마리셀리 미사곡
37. 몽테뉴 : 수상록
38. 비에트 : 분석 기법 입문
39. 베이컨 : 신가관
40. 셰익스피어 :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템페스트, 뜻대로 하세요, 햄릿, 오셀로, 맥베스, 리어왕, 코리올라누스, 소네트집
41. 마블, 던, 기타 16~7세기 시가
. 데카르트 : 기하학, 방법서설
43. 파스칼 : 원뿔곡선론
44. 바흐 : 마태수난곡, 인벤션
45. 하이든 현악 4중주
46. 모차르트 오페라
47. 베토벤 소나타
48. 슈베르트 가곡
49. 몬테베르디 오페라 오르페오
50. 스트라빈스키 시편 교향곡

3학년
51. 세르반테스 : 돈키호테
52. 갈릴레오 : 새로운 두 과학
53. 홉스 : 리바이어던
54. 데카르트 :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정신 지도 규칙
55. 밀턴 : 실낙원
56. 라 로슈푸코 : 잠언
57. 라 퐁텐 : 우화
58. 파스칼 : 팡세
59. 호이헨스 : 빛에 관한 논문, 충격에 의한 육체의 운동에 관하여
60. 엘리엇 : 미들마치
61. 스피노자 : 신학 정치론
62. 로크 : 통치론
63. 라신느 : 페트르
64. 뉴턴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65. 케플러 : 대요6
66. 라이프니츠 : 단자론, 현이상학 서설, 역학에 관한 논문, 철학논문집, 이성에 기초한 자연의 은총에 관한 원리
67. 스위프트 : 걸리버 여행기
68. 흄 : 인성론
69. 루소 : 사회계약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70. 몰리에르 : 인간혐오자
71. 스미스 : 국부론
72. 칸트 : 순수 이성 비판, 도덕 형이상학 기초
73. 모차르트 : 돈 조반니
74. 오스틴 : 오만과 편견
75. 데데킨트 : 수론에 관하여
76. 미합중국 연방규약, 미국독립선언, 미합중국헌법
77. 해밀턴, 제이, 매디슨 : 연방주의자
78. 마크트웨인 : 허클베리핀의 모험
79. 윌리엄워즈워드 : 서곡
80. 영, 맥스웰, 테일러, 오일러, 베르누이의 논문들

4학년
81. 대법원 판례집
82. 괴테 : 파우스트
83. 다윈 : 종의 기원
84. 헤겔 : 정신현상학, 논리학
85. 로바체프스키 : 평행성 이론에 대한 기하학 연구
86.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87. 링컨 : 연설문 선집
88. 프레드릭 더글라스 : 선별 연설
89. 키에르케고르 : 철학 단상, 공포와 전율
90. 바그너 : 트리스탄과 이졸데
91. 마르크스 : 자본, 경제학-철학 수고, 독일 이데올로기
92. 도스토예프스키 : 카라마조프의 형제
93. 톨스토이 : 전쟁과 평화
94. 멜빌 : 베니토 세레노
95. 오코너 이야기 선집
96. 윌리엄 제임스 : 심리학
97. 니체 : 음악적 정신에서 비극의 탄생,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선악의 피안
98. 프로이트 : 정신 분석학에 관하여
99. 부커 워싱턴 선집
100. 두 보이스 : 흑인의 영혼
101. 후설 :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102. 하이데거 : 철학이란 무엇인가
103. 아인슈타인 선집
104. 콘래드 : 어둠의 한가운데
105. 윌리엄 포크너 : 내려가라 모세여
106. 플로베르 : 순박한 마음
107. 버지니아 울프 : 달러웨어 부인
108. 예이츠, 엘리엇, 윌러스 스티븐스 보들레스 랭보의 시들
109. 패러데이, 톰슨, 멘델, 민코프스키, 러더퍼드, 데이비슨, 슈뢰딩거, 보어, 맥스웰, 드 브로이, 드리슈, 오스테드, 앙페르, 보베리, 서턴, 머건 비들, 테이텀, 앨로, 왓슨, 크릭, 자코브, 모노, 하디의 논문들

8 Comments
Suggested
Recent
다른건 모르겠고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같은걸 어떻게 읽지..?
그러게요.. 순수이성비판은 읽는게 그 자체로 연구 대상이던데ㅋㅋㅋ
동양고전은 하나두 없넹
원조는 시카고대학의 위대한 고전 플랜이죠 전 그 리스트로 달리고 있는데 까만먼 글자이고 하얀건 종이려니 하면서 읽고 있어요 ^^;;;
와우~~~~ 근데 대법원 판례집도 출판하나요???
당연하죠. 판례집이 없으면 판사들은 뭘 보고 재판을 하나요? ㅎㅎㅎ 법대생들도 판례집을 보고 공부, 과제, 시험준비합니다. ^^
국내에도 동서양 인문고전을 읽고 토론하는 중고등 학교가 있답니다~^^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낭만과 성능의 대결! 전함파 vs 항공모함파
사실 일본이 '함대결전사상'을 버리지 못하데에는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바로... 기름이 없었기 때문이죠 부족한 자원과 밀리는 생산량 탓에 어떻게든 한번의 한타로 결정적인 승기를 잡는 것이 중요했던 일본 해군은 함대를 운용할 때 굉장히 소극적이고 조심스럽게 움직였죠 그럼에도 불구, 전쟁 말기에는 굉장한 자원부족으로 고통받게 됩니다 반면 미군은 원하는 곳에, 원하는 양의 함대를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었기에 굳이 함대결전에 목을 맬 필요가 없었습니다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영화의 장면에서 당시 분위기를 살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같은 영화의 한 장면입니다 당시 일본에서도 전함파 vs 항공모함파의 대립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야마토를 만들 돈이면 제로센을 천기는 만들 수 있다'는 항공모함파와 '함대결전사상이 일본 해군의 근본이다'는 전함파의 의견이 대사로 나옵니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또한 과연 진정한 의미로 일본 해군에서 '진보파'였는지도 의견이 갈립니다 이소로쿠가 일본 군부 내에선 그나마 항공모함에 집중한 것도 맞지만 항모 운영에도 미숙한 실수가 계속 발견될 뿐더러 파벌 때문인지 전쟁 끝까지 전함에 대한 미련을 놓지 못하는 모습도 보이기 때문입니다 (어디까지나 미국 제독들과 비교해서) 다만 미군에서도 인정했듯이, 당시 일본 해군 내에서 이소로쿠를 대체할만한 인물이 없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출처)
독서 초보도 후루룩 읽어볼 수 있는 비문학 책 추천
2022년 - 2023년 사이에 도서관에서 본 책들 중 인상적이었던 비문학 책들 몇권 추천해봄. 1. -> 멍청이들은 만날 때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에 더 상대하기 괴롭다. 이들은 근거 없는 자신감이 있기에 우기는 데 선수이며, 상대방의 의견이나 감정은 신경쓰지 않는다. 생각이란 걸 하지 않기에 고민하지도 않고. 고민이 없기에 설득당하지도 않는다. 그저 자신이 옳다고 확신할 뿐이다. '이 분야에서만큼은 멍청하지 않다' 자부하는 자들이 연구한, 멍청함의 정의와 분류. 그들을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들. 2.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과도하게 쏟아지는 정보들로 인해 주어진 정보에서 읽어낼 수 있는 맥락이 사라지는 것에 있다. 상식의 중간지대를 만듬으로써 사회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힘과 갈등 해결에 필요한 내공이 늘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근현대에 일어난 여러 사건들에 대한 깊고 정확한 정보들. 3. -> 당신은 중독으로부터 안전하십니까? 술. 게임. 스마트폰. 약물. 마약 등 일상 속에 숨어 있는 수많은 종류의 중독이 유혹의 손길을 내밀고 있는 시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이야기. 4. -> 단서는 반드시 현장에 남아 있기 마련이다. 그러니 될 수 있는 한 현장에 가까이 가라. 현장에 항상 존재하는 시신들의 변호사. 곤충과 곤충들의 흔적을 통해 피해자가 정말 그곳에서 죽었는지. 사망 시간이 언제인지를 밝혀내 범인 색출에 도움을 주는 사람들의 이야기. (주의 : 시신 사진 및 곤충 사진들이 다수 첨부되어 있습니다) 5. -> 우리는 대칭에서 아름다움을 느낀다. 물리학자들도 똑같다. 아니. 그들은 집착하는 것에 더 가깝다. '물리 법칙은 반드시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영원히 왼손과 오른손의 구별 방법을 외계 종족에게 설명할 수 없을 것'이란 믿음을 가지다 못해, '자연은 왼쪽과 오른쪽을 차별하지 않기에 왼쪽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오른쪽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거울 대칭성 이론을 만들어낼 정도였으니까. 그러나 1950년대 이후, 상황이 급격하게 바뀌었다. 자연은 왼쪽을 편애한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말대로 신은 정말로 왼손잡이일까. 그렇지 않다면, 이런 현상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6. -> 사람들은 '왜' 누군가를 죽이고는 할까. 여러 형태의 살인을 저지른 사람들을 통해 '극한의 상황에는 누구나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존재가 되는가' '괴물 같은 짓을 당한 자는 반드시 괴물이 되는가' '똑같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음에도 왜 누구는 살인마가 되고, 누구는 평범한 사람으로 남는가' 등 살인에 대해 품고 있는 궁금증을 풀어 나가는 이야기. 7. -> 한국인들은 왜 신발을 벗고 방 안에 들어와서 식사를 할까. 왜 낮은 상 앞에 양반다리를 하고 앉을까. 회식 자리에 명당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밥이 언제부터 스테인리스 스틸 그릇에 담기기 시작했는가.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중국과 일본도 젓가락을 주로 사용하는데. 우리는 어째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비슷한 빈도로 사용하는가. 술잔을 돌려 가며 마시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인에게도 가끔은 낯선, 한국인의 식사 방식에 대한 이야기들. 8. -> 단어에는 가끔, 철학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테크닉. 아트. 메타 인지. 밈. 팩트. 메타포. 브랜드 등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담고 있는, 그 당시의 문화와 철학적인 의미에 대한 이야기들. 9. -> 광기는 처음부터 문명 속에 스며들어 있었다. '가장 고독한 고통'이라 불리는 정신질환. 정신질환은 희귀질환이 아님에도, 정신병을 앓는 사람들은 여전히 정신병원에 감금된 채 울부짖는 미치광이나 악의 화신으로 다뤄지고는 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언제부터,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 사회와 문화 속에 여러 형태로 숨어 있는 광기에 대한 이야기.   10. -> 가짜뉴스와 유사과학이 난무하는 혼돈의 시대. 음이온이나 천연 등으로 대표되는 온갖 유사과학들이 유사과학인지 여부를 우리는 어떤 식으로 알아낼 수 있는가. 어떤 정보를 받아들이고 어떤 정보는 경계해야만 하는가. 11. -> 창조성이 없다면 진보도 없을 것이며, 우리는 늘 똑같은 패턴을 반복할 것이다. 재능을 타고난 뇌는 예술을 창조하고, 그 예술작품은 우리를 치유한다. 문명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허나 재능이 있는 뇌가 빈곤. 차별. 폭력 등 스트레스로 가득 찬 환경을 만나면 크나 큰 사회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우리의 뇌가 세상과 소통하며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이야기. 12. -> 일상을 벗어난 이야기들을 다루기에 '환상문학'이라고 불리는 사변소설. 사변 소설의 발전을 이끈 사람들 대다수는 분명 여자였으리라. 그러한 소설들은 독자를 평소 걸음 하지 않는 불편한 장소들로 밀어붙이고 본능적으로 피하고자 하는 것을 대면하게 강요하는데, 여자들은 자신들에게 요구되는 관습과 경계들 너머로 발을 내딛는 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프랑켄슈타인 등 '여인'들이 만들어 낸 괴물들의 이야기. 13. -> '잭 더 리퍼'라 불리는 살인자는 세계적인 아이콘으로 자리 잡아 주기적으로 재해석 되는 반면, 그에게 살해당한 다섯 명의 여자는 ‘매춘부'란 불명예스러운 호칭만이 붙여졌다. 이들은 정말로 매춘부였는가. 매춘부가 맞더라도, 그렇게 잔혹한 최후를 맞은 채 시신조차도 구경거리로 내몰려야만 했는가. 14. -> 죽어서도 빛나야만 했던 여인들의 이야기를 아시오? 우리는 시계공장에서 일을 하다 병을 얻었다. '시간 표시를 더욱 아름답고 세밀하게 하라'는 지시로 인해, 라듐이 들어간 페인트가 묻은 붓을 입으로 직접 빨아야만 했기 때문이다. 허나 병에 걸릴 정도로 헌신했던 기업은 우리를 해고했고, 전문가 집단은 우리의 병과 라듐에는 그 어떤 연관도 없다 말함으로써 기업을 편들었으며, 지역 사회는 우리를 백안시했다. 우리는 과연 진실을 밝힐 수 있을까. 제대로 된 사과와 배상을 받을 수 있을까. 15. -> 모든 음식의 이름에는 역사와 문화가 녹아들어 있다. 고대 인류의 지혜가 담긴 요리부터 중세의 음식 행상. 세계 정복에 성공한 현대의 패스트푸드까지 수많은 음식의 기원과 그 이름에 담긴 이야기들. 16. -> 색은 어떻게 우리의 감정과 생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동물과 우리 인간이 어떻게 색을 인지하는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색이 우리의 행동. 건강.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특정한 색이 품고 있는 물리적 특성과 역사적 함의가 어떤 식으로 '그 색이 무엇을 상징하는가'를 나타내게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들. 출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 순위
50위 한밤의 아이들 - 살만 루슈디 (1981) 49위 젊은 예술가의 초상 - 제임스 조이스 (1916) 48위 마의 산 - 토마스 만 (1924) 47위 풀잎 - 월트 휘트먼 (1855) 46위 트리스트럼 섄디 - 로렌스 스턴 (1759) 45위 데이비드 카퍼필드 - 찰스 디킨스 (1849) 44위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1926) 43위 픽션들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1944) 42위 아이네이스 - 베르길리우스 (B.C 19) 41위 제인 에어 - 샬럿 브론테 (1847) 40위 이방인 - 알베르 카뮈 (1942) 39위 안톤 체호프 단편집 - 안톤 체호프 (1932) 38위 댈러웨이 부인 - 버지니아 울프 (1925) 37위 비러비드 - 토니 모리슨 (1987) 36위 걸리버 여행기 - 조너선 스위프트 (1726) 35위 미들마치 - 조지 엘리엇 (1871) 34위 적과 흑 - 스탕달 (1830) 33위 심판 - 프란츠 카프카 (1925) 32위 앵무새 죽이기 - 하퍼 리 (1960) 31위 보이지 않는 인간 - 랠프 엘리슨 (1952) 30위 압살롬 압살롬 - 윌리엄 포크너 (1936) 29위 분노의 포도 - 존 스타인벡 (1939) 28위 아라비안 나이트 27위 위대한 유산 - 찰스 디킨스 (1861) 26위 1984 - 조지 오웰 (1949) 25위 음향과 분노 - 윌리엄 포크너 (1929) 24위 암흑의 핵심 - 조셉 콘래드 (1899) 23위 캐치-22 - 조지프 헬러 (1961) 22위 등대로 - 버지니아 울프 (1927) 21위 일리아스 - 호메로스 20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루이스 캐럴 (1865) 19위 안나 카레리나 - 레프 톨스토이 (1877) 18위 허클베리 핀의 모험 - 마크 트웨인 (1884) 17위 오만과 편견 - 제인 오스틴 (1813) 16위 호밀밭의 파수꾼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1951) 15위 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1847) 14위 죄와 벌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1866) 13위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1880) 12위 롤리타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1955) 11위 신곡 - 단테 알리기에리 (1472) 10위 보바리 부인 - 귀스타브 플로베르 (1856) 9위 오디세이아 - 호메로스 8위 햄릿 - 윌리엄 셰익스피어 (1603) 7위 전쟁과 평화 - 레프 톨스토이 (1867) 6위 모비 딕 - 허먼 멜빌 (1851) 5위 위대한 개츠비 -스콧 피츠제럴드 (1925) 4위 백 년 동안의 고독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1967) 3위 돈 키호테 - 미겔 데 세르반데스 (1605) 2위 율리시스 - 제임스 조이스 (1920) 1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마르셀 프루스트 (1913) 출처 : https://thegreatestbooks.org 전세계 언론이나 문학 사이트에서 뽑은 '최고의 책 리스트' 들을 모두 모아 알고리즘으로 환산해 만든 리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읽어보려고 20년 전부터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1/3 밖에 못 읽었지 뭐예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