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t
▲핵탄두를 탑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우주에서 격추되면, 아무 피해가 없을까? ▲미국 반핵단체인 천연자원보호협회(NRDC) 보고서, 핵무기 정보 사이트 ‘뉴클리어 다크니스’의 분석,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 미국 과학매체 ‘너디스트’의 분석, 미국 과학매체 ‘사이언스 포커스’의 관측을 종합해 싣는다. 끔찍하다.
view
“미국이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북한이 개발한 IRBM과 유사한 비행체를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는 11일 “사드 요격시험은 이번이 14번째지만, IRBM을 대상으로 한 시험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국방부는 “모든 실험에서 사드가 100%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앞서 ICBM의 요격시험에도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 국방부는 5월 30일 “지상기반 요격미사일(GBI)로 ICBM급 모형 미사일을 격추시켰다”고 했다. GBI는 지상기반 외기권방어체계(GMD)에 사용되는 미사일이다. IRBM 요격을 목표로 설계된 사드와 달리 ICBM의 요격을 맡고 있다. 발표가 사실이라면, 미국은 ICBM과 IRBM의 방어실험에 모두 성공한 셈이 된다.
미국, ICBM과 IRBM 요격 시험 모두 성공
북한은 최근 두 달 사이에 IRBM인 ‘화성-12형’(5월 14일)과 ICBM인 ‘화성-14형’(7월 4일)을 연달아 시험 발사했다.
미국 항공우주 연구기관 ‘에어로스페이스’의 존 실링 연구원은 10일 38노스에 기고문을 싣고 “북한은 1년 안에, 또는 두 번의 실험을 더 거치면, 핵탄두 한 개를 탑재한 화성-14형을 미국 서쪽 해안가에 날려보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화성-14형의 탄두 적재 용량은 500kg 정도”라고 했다.
핵무기 정보 사이트 ‘뉴클리어 다크니스’에 따르면 500kg의 핵탄두는 TNT 1만 톤에 달하는 위력을 갖고 있다. 이는 히로시마 원폭과 맞먹는 수준이다. 이 정도 파괴력의 핵탄두를 실은 미사일이 방어체계에 의해 요격당하면, 공중에서 핵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면 그때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

“용산 상공 500m에서 핵폭발 일어나면 62만명 사망”
미국 반핵단체인 천연자원보호협회(NRDC)는 2004년 10월 ‘한반도 핵사용 시나리오(Nuclear Use Scenarios on the Korean Peninsula)’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는 서울 용산 상공 500m에서 TNT 1만 5000톤급 위력의 핵폭탄이 터지는 상황을 가정했다. 그 결과 △1.8km 이내의 지역 초토화 △4.5km 이내의 지역 반파(半破) △62만명 사망(40만명 즉시 사망, 22만명 추가 사망) 등의 피해가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서울 인구 993만명 가운데 6% 이상이 목숨을 잃게 되는 것이다.
핵폭발에는 EMP(전자기 충격파)가 수반된다. 실제 사례가 1962년 7월 9일, 하와이 오아후 섬에서 벌어진 이상한 현상이다. 갑자기 가로등이 꺼지고, 알람장치가 고장났으며, 전화기가 먹통이 돼버린 것. 원인은 오아후 섬으로부터 1455km 떨어진 존스턴 섬에서 그날 시행된 핵실험이었다. 여기서 뿜어져 나온 EMP(전자기 충격파)가 오아후 섬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당시 미국은 TNT 144만 톤급의 핵폭탄을 존스턴 섬 상공 400km 부근에서 터뜨렸다. 고도가 100km 이상이면 대기권이 아닌 우주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오아후 섬의 사례는 우주에서 핵폭발이 일어나도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주에서 핵폭발 일어나도 안심할 수 없어
EMP는 주변의 모든 전자기기를 무력화시킨다. 충격파가 전자기기 속 회로에 과부하를 걸어 파괴하기 때문이다. 단 사람에게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접적으로는 사람도 피해를 입게 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014년 8월 “EMP 공격을 받으면 12개월 내에 미국 시민의 90%가 굶주림, 질병, 사회기반시설 붕괴 등으로 목숨을 잃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 과학매체 ‘사이언스 ABC’는 지난해 3월 “우주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핵폭탄이 터져도 (핵폭발의) 상징인 버섯구름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했다. 버섯구름은 대기권이 두터운 경우에만 발생한다. 대신 사이언스 ABC는 “고강도의 방사선이 감마선과 X선 등의 형태로 방출된다”고 했다.
엄청난 양의 방사선은 지구의 대기권까지 도달해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EMP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방사성 물질이 지구 전체로 퍼져, 동식물에 이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사이언스 ABC는 “그 장소가 지표면이든 우주든, 핵폭발은 결코 좋은 소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엄청난 파편들이 빛 차단해 ‘핵겨울’ 초래
기후가 바뀌어버릴 것이란 분석도 있다. 미국 과학매체 ‘너디스트’는 2014년 11월 “대기권에서 폭발한 핵폭탄은 거대한 오로라를 만들어내고, 그 속에는 폭탄의 파편들이 섞여 있다”고 했다.
다른 과학매체 ‘사이언스 포커스’는 2012년 12월 “대기로 흘러들어간 엄청난 양의 (핵폭탄) 파편들은 태양으로부터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감소시킨다”면서 “이는 상당한 환경 변화와 함께 소위 ‘핵겨울(nuclear winter)’을 초래한다”고 분석했다.
핵겨울이란 핵폭발 뒤에 찾아오는, 어둡고 긴 겨울을 뜻한다. 미국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1983년 논문을 통해 “만약 미국과 소련 양국이 전면전을 시작해 보유한 핵무기가 전부 폭발하면, 60일 뒤에는 북반구 중위도 지방의 기온이 영하 45도까지 떨어져 인류가 멸종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팩트올은 기자들이 만든 첫 비영리언론으로 상업광고를 받지 않습니다. 후원 계좌는 <신한은행 100-030-327488 광고없는언론팩트올>입니다. 보내주신 후원금은 소비자의 권리를 옹호하고 정직한 기사를 보도하는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