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e74
500+ Views

오랜만이다

유난히 놀기를 좋아했던 나는 알파벳 대문자만 간신히 외우고 중학교를 입학했었다.

그러다가 중학교 2학년 때 단어시험에서 What을 Waht으로 쓰고는 개망신을 당하는 수난을 겪게 되었다.

시골의 교회 친구들과 몰려다니며 추억을 생산하던 중학교 2학년 리즈시절..

요도천 개울에서 물고기를 잡아 라면을 끓여먹거나.. 교회오빠네 과수원으로 서리를 하러가거나.. 논에 쌓여있는 짚푸라기 속에서 도시락을 먹거나.. 달밤에 참깨 밭에서 숨바꼭질을 하는 등 스릴의 연속이었다.

그러다가 도저히 말괄량이 삐삐처럼 이렇게 살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 때 나를 구원해준 성문영문법을 정독으로 12번 이상을 공부하면서 전국영어편지쓰기 영작대회를 나가는 수준이 되었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필리핀항공을 타고 필리핀 선교사님 댁으로 영어를 배우러 떠나게 되었다.

이미 비행기 안에서 따갈로그어가 섞인 억양의 핑글리쉬 방송을 들으며 지금 내가 잘못가고 있구나를 알 수 있었다.

필리핀에서 딱 일주일간은 영어가 늘었다. 그러나 오랜 식민의 영향인지 모르겠으나 필리피노들은 눈치가 어찌나 빠른지 문장을 말하지 않아도 눈빛으로 커뮤니케이션이 될 정도였다. 그래서일까? 그 이후로 영어가 늘지 않았다.

필린핀으로 어학연수를 온 한 학생은 부모님이 주신 용돈으로 돼지를 사서 새끼를 낳게하며 돼지를 팔아 돈을 버는 아이부터.. 산족마을에 벗고사는 부족의 모습을 탐닉하고자 봉사를 위장한 변태홀릭 학생까지 여러 종류의 모습이 보였다.

그리고 나는 30대에 암치료를 하면서 그간의 영어라는 단어의 메모리가 삭제되기 시작했다. 내게 가장 심각했던 케모브레인이라는 기억력장애는 방사능치료의 후유증이었다.

40대 중반의 나를 캄캄한 창고 안에 세워놓고 요즘 계속 고민을 했다.
학위를 이어갈 것인가? 아님 죽기전에 영어를 해결할 것인가?

나의 꿈과 노후 그리고 미술을 하고 있는 아이의 유학을 안내하려면 영어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성문영문법을 펼쳤다.
오랜만이다.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Travel KOREA> 우륵문화제 2018
우륵문화제 2018 행사기간 : 2018.09.13 ~ 2018.09.16 행사장소 : 충주세계무술공원 (충청북도 충주시 남한강로 24) 연락처 : 043-847-1565 관람가능연령 : 전연령 가능함 이용요금 : 무료 홈페이지 : http://www.cjart.or.kr 지도 : http://naver.me/xDbAPlw6 행사소개 제48회 우륵문화제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문화행사 및 전통체험행사를 다양하게 접목시켜 시민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다양한 충주 시민 개개인의 예술문화를 표출하고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충주시민 및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다양하고 폭 넓은 프로그램 개발로 중원문화권 중심축제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중원 최대 예술문화제이다. 행사내용 - 명현5위 추모제, 충주단편영화제, 퍼포먼스 및 제39회 도내중원학생미술실기대회 - 제48회 강수백일장, 제12회 중원전국백일장, 개막식(우륵의아침 갈라쇼,키썸,장서영 등) - 제7회 충주 전국난타&모듬북경연대회, 전국사진촬영대회, 어린이그림자극(똥벼락) - 제48회우륵문화제기념특별연극,문화두레대제전(비보이,퓨전국악,성악,어린이합창단) - 전국댄스 경연대회, 제7회 누드크로키, 제머리마빡공연, 우리가락 우리소리 얼쑤공연 - 가을밤의 작은 콘서트, 오룡굿, 지역아동센터 어린이공연, 폐막식(청주시립직지오케스트라) 부대행사 - 충주의 사진전, 중국 국제미술초청전시회,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디자인대학 초청전시회 - 제13회 충주문인협회시화전, 제11회 충주문인협회 4행시 짓기 대회 - 제48회 한국미술협회 충주지부 회원전, 현악기 전시회 출처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festival/festival.jsp?cid=1358165&type=&gotoPage=2&year=2018&month=09
의외로 눈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jpg
사실은 눈에 좋은 먹거리나 영양제 같은 것보다 더 근본적으로 눈에 중요한 거는 실내에서의 생활 시간이에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하는 것이 다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이잖아요?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과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을 비교를 했는데 야외 생활시간이 낮고 실내 생활시간이 높을수록 근시 발생률이 올라갑니다 몽골인 중에 눈 좋은 사람들 많다는 말이 그럼 야외 생활을 많이 해서 그랬던 거였나요? 맞습니다 tv를 가까이서 보는 것도 물론 눈에 안 좋지만 더 근본적인 문제는 실내에서 보기 때문입니다 왜 야외에서 보는 게 근시를 덜 나쁘게  근시를 덜 생기게 하냐면 햇빛 때문에 그래요 밝은 햇빛에서 볼수록 말하자만 실내에도 밝기가 있잖아요? 형광등을 키면 밝잖아요? 형광등 불빛 같은 천 룩스(lux)정도의 밝기가 아니라 밝은 날 태양 우리 밖에 나가면 만 룩스 이상이 되거든요? 그 정도 밝기의 햇빛 아래서 볼 때 우리의 눈에는 도파민이라는 물질이 나와서 그 도파민이 우리의 망막의 여러 세포들과 작용을 해서 눈을 덜 나쁘게 만듭니다 그러니까 우리 어린이들은 훨씬 지금보다 더 야외생활을 많이 해야 돼요 그래서 이제 중국 대만 이런 나라에서는 소위 이제 교육부에서 초등학생들을 하루에 평균 2시간정도 씩은 야외에서 활동을 의무적으로 야외수업 시간을 만들어서 하고 있어요 그게 사회 교육 캠페인이에요 바로 햇빛 참고로 저 교수님 소아안과 부분에서 ㅈㄴ유명한 아산병원 교수님,, 햇빛이 중요할 거라곤 생각지도 못했어서 캡쳐해봄 ㅋㅋㅋ 성인도 하루에 2시간 이상씩은 야외 활동 하면서 햇빛 아래 생활해야 눈 건강 지킬 수 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