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iciousfood
10,000+ Views

요새 유부남들에게 핫한 술게임

모두가 지고싶어한다...ㅋㅋㅋㅋ
8 Comments
Suggested
Recent
@qudtls0628 @Eolaha 먼저 와이프한테 전화오는 사람이 술값 내는 게임이요ㅎ
저것이 뭐하는 건데요??
차라리 카운터에서 쥔장이 고르는 복불복이 공정함‥
어떻게 하는게임?
울 신랑 1등 각인데~~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MT가서 하기 좋은 단체 게임 3탄 (feat.피츠)
다음날 목소리 안나와도 책임 안짐 우리가 어떤 민족이냐고? 술이 있으면 음악이 빠지지 않는 음주가무의 민족! 흥겨운 리듬 타다보면 어느새 만취하게 되는 단체 게임을 준비했다. 꿀잼보장이니까 따라하기만 해! 1. 퐁당퐁당 1) 어릴적 부르던 '퐁당퐁당' 동요에 맞춰 진행되는 게임 2) '퐁당 / 퐁당 / 돌을 / 던지자 / 누나 / 몰래 / 돌을 / 던지자'와 같이 박자에 맞춰 1, 2, 3, 4, 3, 2, 1 순으로 팔을 들면 된다. 3) 시작은 보통 오른손으로 시작하며 왼쪽으로 돈다. 4) 왼 팔을 들 경우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한다. 2. 마주치는 눈빛이 1) 리듬킹의 '마주치는 눈빛' 노래를 플레이 한다. 2) 박자에 맞춰 술병을 돌린다. 3) '마주치는 눈빛이' 가사가 나오면 술병을 들고 있던 사람이 술을 마신 후 계속 이어서 진행한다. 4) 마지막 박자에 웃긴 표정을 지으면 더욱 꿀잼 3. 디제잉 게임 1) 출제자가 가수 이름을 말한다. 2) 해당 가수 노래를 한소절 이상 부른다. 3) 마지막에 남는 사람이 걸리는 게임. 4) 출제자가 가수 이름을 말하지 못해도 술을 마셔야 한다. 4. 세젤깔 피츠 1) '피츠 수퍼클리어 세상에서 제일 깔끔한 맥주'라는 가사를 앞 사람보다 높게 부르면 된다. 2) 음이 올라가지 않으면 탈락! 대학내일X피츠 이벤트 1. 친구들과 피츠를 마시며 '세젤깔 피츠 게임 영상'을 촬영한다 2. SNS에 #세젤깔피츠 #피츠 #Fitz 해시태그와 함께 영상을 올린다 3. 댓글에 해당 게시글 링크를 인증한다 tip. 다양한 SNS에 올릴수록 당첨 확률 UP! 경품 ㅣ 최우수상(2팀) MT지원금 30만원 / 우수상(5팀) MT지원금 10만원 이벤트 기간 ㅣ 8/29(화) ~ 9/10(일) 당첨자 발표 ㅣ 9/13(수) *영상 내 피츠 맥주 단독 노출 필수! *MT지원금 지원 방식 : 롯데마트 온라인 상품권으로 지급 예정 Editor 김꿀 Cast 국민대 경영학부 떼울림 대학내일 김꿀 에디터 hihyo@univ.me [대학내일] 20대 라이프 가이드 매거진
소멸 직전인 국내 박제 기술
기린 박제는 제주도에도 있고 아주 적지는 않은 숫자가 국내에 존재하고 있음 그 중 서울대공원에 있는 이 새끼 기린의 이름은 "엘사" 임 엘사짜응 ㅠㅠ 엘사는 서울대공원이 8년만에 얻게 된 귀중한 새끼 기린이었는데, 2016년도에 앞서가던 기린 세 마리를 서둘러 따라가려다가 넘어져 다리가 부러졌음 ㅜㅠ 그래서 의족을 부착하고 재활치료 하던 도중 또다시 넘어지며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폐사해 버렸음 ㅠ 이처럼 동물원에서 폐사한 동물들을 박제로 만들어 표본 보존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 가면 볼 수 있는 이 아시아 코끼리도 어린이 대공원에서 키우다 폐사한 개체로 얘도 어린 개체인데, "코코"라는 이름으로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개장 즈음에 갑작스럽게 급사하여 박제로 보존처리 됨 그리고 이건 유일한 한국 호랑이 표본. 쪼꼼 진지한 내용이니까 말투 진지하게 하겠음 박제 기술이란 이처럼 생물 종에 대한 표본적 자료를 반 영구적으로 보존시켜 후대에 전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국내 박제 기술은 현재 사실상 사장된 수준이며, 소멸까지 시한부 단계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원래는 박제사 국가 공인 기술 자격증까지 있었는데, 이 자격증 보유자는 50명 가량밖에 되지 않는다. 원래는 연구,전시 등을 위한 박제사를 양성하는 학원, 학과까지 존재했지만 19년 이후로는 국내에 박제 기술을 교육하는 학과가 단 한 개도 남아있지 않는다. 박제는 유독 화학약품을 엄청나게 사용하는데다 아주 고된 작업이고, 사람들이 기피 하는 공정이 많이 들어가다 보니, 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도 없고, 따라서 현재 박제사들 사이에서는 "한국의 박제 기술의 대가 끊기기 직전이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 현재 남아있는 박제사 분들은 절대다수가 노인분들이시고, 후계로 들어오는 제자가 없다보니 국내 박제 기술은 십수년 내로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런 상황에서 나타난 한줄기 빛 국내 유일 동물원 소속 박제사 윤지나 박제사 보기 드문 젊은, 그것도 여성 박제사 분인데 실력이 어마무시 하시다. 아래는 윤지나 박제사님이 참여한 표본들을 소개한다. 어린이대공원 1호 시베리아 호랑이 박제 "낭림" 옆의 윤지나 박제사 낭림 박제작업 과정 한눈에 봐도 고된 작업의 흔적이 보인다. 역동적인 모습이 인상적인 코아와 한울 서울대공원의 네 번째 호랑이 표본 "강산" 마치 살아있는것만 같은 고퀄리티한 모습이다. 말승냥이(회색늑대) 박제 역시 윤지나 박제사가 직접 제작하였다. 설표 박제를 작업중인 윤지나 박제사 수달과 올빼미 등등 다양한 표본 제작에 참여하셨다 그저 빛 윤지나 박제사님 감사합니다!! 출처 : 지구촌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