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처럼 주식하자. - 2. 초보의 생각. 생각의 가치
앞에 5만원을 벌고, 5만원에 만족했다는 이야기를 했다. 만족의 이유는 간단하다. 우량주가 가지고있는 안정감. 그리고 내가 주식을 시작하면서 부터 가지고있는 마인드. 내가 생각하는 우량주의 안정감이란건 무척 단순하다. 우량주들은 정말 고점에서 구매한게 아니라면, 경제위기가 갑자기 찾아오지않는한 결국 원상복구가 된다는 믿음. 내가 우량주 구매를 판단하는건 정말 단순하다. 악재가 있고, 주식이 하락했다면, 매수한다. 그럼 매도는? 호재를 기다려 고점을 노린다? 난 그런건 모르겠다. 단순히 목표를 잡고, 4%든 5%든 올랐다면 그냥 익절한다. 고점계산하는건 전문가들이 하겠지. 주식은 시간이 이익이다. 조금이라도 빨리 이윤을 내고, 다른 주식에서 또 이익을 내야 더 큰 이익이 나온다. 내 방식은 너무 단순무식해서 이 시간에 대한 고려는 전혀 들어가있지 않다. 하지만, 이익보다 위에 있는건 내 마인드다. 내 가장 중요한 철칙은 "손해보지않는다" 이다. 시간이 지나도 복구만 된다면, 그건 손해본 주식이 아니다. 이익이 줄어든것 뿐. 내가 팔고 더올랐다 해도 상관없다. 시간으로 이익을 봤으니. 그럼 이익의 기준은 뭘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기준은 은행의 금리. 연 1%. 그럼 그다음은 뭘까. 지금은 왠만한 펀드 수익률을 고려하고있다. 연 10%. 5만원 벌어 놓고 무슨 웃긴이야기냐 할지 모르겠다. 그런데 200만원에 5만원이면 2.5%다. 10%면 1년동안 20만원만 벌면된다. 그럼 한달에 5%정도만 번다면 연수익은 얼마일까? 심플하게 60%가 나온다. 원금200만원이니 120만원. 현재는 이걸 목표로 하고있다. 그리고, 이익금은 재투자하면 복리가 된다고들 한다. 난 그런건 아직 생각하기 싫다. 주식을 팔고 통장에 들어온 잉여금은 꼬박꼬박 통장으로 1원단위까지 이체하고있다. 물론 이익금 + 손해(손절) 계산한 금액이다. 이체한뒤에도 주식계좌의 미판매된 주식을 구매한 원금은 항상 200만원을 유지하도록. 얼마나 걸릴지 몰라도 일단 원금 200만원이 통장에 다 들어가는 날까진 원금 200만원을 유지하고 이익금은 통장으로 보낼 예정이다. 실수로 200만원이 다 날아가더라도, 은행이자도 받으면서 그래도 손해는 안봤다고 말할 수 있게 말이다. 다시 말하지만, 내 최우선 목표는 많이 벌자가 아니다. "손해는 보지말자"다. 그리고 그 목표를 놓지만 않는다면, 투자는 실패는 하지않을거라 믿는다. 좀더 벌자고 욕심부리는건 생각없는 투자라고본다. 좀더 벌수도 있겠지, 그리고 크게 날릴수도 있을거다. 벌고 날리고 벌고날리고, 그러다가 크게 버는거다 하는데, 그러다가 크게 날릴수도 있는거다. 난 내 생각을 믿는다. 내 생각에는 그만한 가치가 있을거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