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smag
10,000+ Views

불후의 밴드 퀸, <보헤미안 랩소디> 흥행에 힘입어 ‘랩소디 투어’ 발표

퀸의 신드롬은 계속된다.
<보헤미안 랩소디>가 역대 음악영화 1위를 달성하며 유례없는 흥행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보답하듯 퀸의 ‘랩소디 투어(The Rhapsody Tour)’ 공연 소식이 발표됐다. 퀸은 2019년 7월 밴쿠버를 기점으로 로스앤젤레스, 토론토, 워싱턴 DC, 보스턴, 뉴욕 등 북미 지역 전역을 일주할 계획.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Brian May)와 드러머 로저 테일러(Roger Meddows Taylo)가 함께 하고 아담 램버트(Adam Lambert)가 프레디 머큐리(Freddie Mercury)의 리드 보컬 빈자리를 채울 예정이다. 티켓은 미국 현지 시각으로 오는 12월 7일 오전 10시 공식 웹 사이트(queenonline.com)를 통해 예매 가능하다. 아쉽게도 내한 공연에 대한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전설적인 퀸의 무대를 직접 체감해보고 싶다면 북미 투어 일정을 미리 체크해보도록.
더 자세한 내용은 <아이즈매거진> 링크에서
Comment
Suggested
Recent
사랑합니다,퀸... 그들의 희끗해진 머리칼에 울컥하네요..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퀸은 영화 배우 뺨치게 잘생긴 드러머를 제외하고는 볼 만한 게 없다
퀸이 초기 시절 어느 평론가에게 들은 말  '영화 배우 뺨치게 잘생긴 드러머를 제외하고는 볼 만한 게 없다' 에서 영화 배우 뺨치게 잘생긴 드러머는 로저 테일러! 만화 캐릭터도 이렇게 만들면 사기라고 할 것 같은데... 얼굴만 존잘이 아니라 본업까지 핵존잘 작곡 드럼 기타 베이스 보컬 다 가능한 레알 먼치킨 Radio Ga Ga(레디오 가가)를 만든게 로저♡ 거기에다 치대생 출신이고, 나중에 적성에 안맞아서 식물학으로 전과 아름다운 외모를 가졌지만, 성격은 존나쎄 그 자체인 로저 공연 전에 염색을 잘못 해서 머리가 녹색이 됐는데 프레디가 이걸로 내내 놀려먹어서 드럼 집어던짐ㅋㅋㅋㅋ 퀸 음악 악평한 롤링스톤지에 친필 쌍욕 편지도 보냄ㄷㄷㄷ 비행기 구토용 봉투에 편지를 써서 보내는 성질머리;; 기자가 콘서트 제대로 안보고 공연 전 음향체크만 듣고 후기 써서 씅질이 남! 씨익씨익;;; 180.3cm / 60.3kg의 슬랜더 프레디가 라이브때 키 낮춰서 노래해도 본인은 드럼치며 꿋꿋이 원키 고음 지른게 로저 예전에 고향에서 밴드를 했었는데 보컬이 나가고 보컬, 드럼을 동시에 맡은 경험이 있음ㅋㅋㅋㅋ 보컬도 제일 안정적인건 로저였다고 함 고음이 젤 높이 올라가는것도 로저! 로저 테일러에게 겸손함이란?| 전혀 없음ㅇㅇ (난 좀 짱이니까) 로저는 참지않긔. 우리 로저는 안 참고 찢어요 사기캐는 나이들어서도 존잘 관심좀 주세요.. 귀찮으실까봐 댓글 달아달라고 못하는데 클립과 하트 정말 좋아해요...♥
마블 <캡틴 마블> 새로운 예고편 공개
내년 3월 개봉 예정.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이하 MCU)의 첫 번째 여성 히어로 솔로무비 <캡틴 마블>이 티저 영상과 포스터로 한 꺼풀 베일을 벗은 가운데, 트레일러가 공개된 첫날 하루 내 조회수가 마블 역대 4위를 기록했다. 동시간대에 <블랙 팬서>보다 2천만 건 더 많은 수치인 총 1억 900만 뷰를 훌쩍 넘기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 역대 마블 신기록을 경신했던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의 위력을 능가한다. <캡틴 마블>은 MCU의 새 발판인 10년을 여는 분기점이자,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쿠키 영상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캐롤 댄버스가 닉 퓨리를 만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사상 가장 강력한 히어로 캡틴 마블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그리며, 영상에서는 우주 침공과 대규모 추격전 등 ‘범우주’ 스케일의 사건들이 줄줄이 예고돼 팬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영화 속에서 브리 라슨(Brie Larson)은 얼마나 강한 모습으로 등장할까. 위 트레일러 영상을 통해 미리 들여다보자.  업데이트 첫 티저에 이어 <캡틴 마블>의 새로운 예고편이 공개됐다. 전 영상에는 쉴드 국장인 닉 퓨리의 일반 요원 시절 모습과 함께 90년대 향수가 담겼다면, 2차에는 공군 장교 시절의 캐롤 댄버스와 캡틴 마블이 된 이후 모습이 자세히 그려진 하이라이트. 첫 예고편이 공개될시 케빈 파이기(Kevin Feige)은 “그녀는 우리가 지금까지 소개한 어떤 캐릭터보다 강합니다. 이번 예고편에서 닉 퓨리가 캡틴 마블을 원하는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영화에 더욱 기대를 모은다. 2019년 3월 개봉 예정. 더 자세한 내용은 <아이즈매거진> 링크에서
The Complex Sounds of Queen
No one can cover Queen's songs. Not even Panic! At The Disco, with their cover version of Bohemian Rhapsody for an overrated Hollywood movie, Suicide Squad. Panic! At The Disco have FAILED in reflecting the dark and despair of Bohemian Rhapsody.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Queen's music are three-part vocal harmonies, which are usually composed of the voices of Brian May, Freddie Mercury, John Deacon, and Roger Taylor. Besides vocal harmonies, Queen were also known for multi-tracking voices to imitate the sound of a large choir through overdubs. Freddie Mercury the lead singer of Queen, delivered most songs in the tenor range. His vocal range extended from bass low F (F2) to soprano high F (F6). He could belt up to tenor high F (F5). Brian May the guitarist of Queen, focuses on multi-part harmonies, often more contrapuntal than parallel – a relative rarity for rock guitar. Examples are found in Queen's albums. May explored a wide variety of styles in guitar, including sweep picking, tremolo, tapping, slide guitar, Hendrix sounding licks, tape-delay, and melodic sequences. Some of his solos and orchestral parts were composed by Mercury. In 1963, the teenage May and his father custom-built his signature guitar, Red Special. Aided by the uniqueness of Red Special, May was often able to create strange, unusual sound effects, and imitate an orchestra. He used his guitar to mimic a trombone, a piccolo, and several other instruments. Queen used a "No synthesizers were used on this album" sleeve note on their early albums to make this clear to the listeners. Queen's music was combination of acoustic/electric guitar extremes and fantasy-inspired multi-part song epics. Queen composed music that drew inspiration from many different genres of music, often with a tongue-in-cheek attitude. The genres they have been associated with include progressive rock, symphonic rock, art rock, glam rock, hard rock, heavy metal, pop rock, and psychedelic rock. Queen also wrote songs that were inspired by diverse musical styles which are not typically associated with rock groups, such as opera, music hall, folk music, gospel, ragtime, and dance/disco. Brian May referred to the Beatles as being "our bible in the way they used the studio and they painted pictures and this wonderful instinctive use of harmonies."  Bohemian Rhapsody (1975) Bohemian Rhapsody was written by Freddie Mercury. The song is highly unusual for a popular single in featuring no chorus, combining disparate musical styles and containing lyrics which eschew conventional love-based narratives for allusions to murder and nihilism.  Bohemian Rhapsody consists of sections, beginning with an introduction, then a piano ballad, before a guitar solo leads to an operatic interlude. A hard rock part follows this and it concludes with a coda. Brian May used his guitar to create the chime effect in Bohemian Rhapsody. This musical format of writing a song as a suite with changes in style, tone and tempo throughout was uncommon in most mainstream pop and rock music but common in progressive rock. The music of progressive rock was characterised by dramatic contrasts, frequent shifts in tempo and in rhythmic character from one section of a composition to the next. Bands from the genre had blended rock with classical music, its structural features and compositional practices, as well as using classical music instrumentation. Bicycle Race (1978) Bicycle Race was written by Freddie Mercury. It starts with a chorus unaccompanied by instruments. The song has an unusual chord progression with numerous modulations, a change of meter (from 4/4 to 6/8) in the bridge, and multitracked vocal and guitar harmonies. The lyrics are topical for the time and contain social, political and pop-culture references, such as religion, Vietnam War, Watergate, drugs, fictional characters, and the films Jaws and Star Wars. Don't Stop Me Now (1979) Don't Stop Me Now was written by Freddie Mercury. The song provides an example of Queen's trademark style of multitrack harmony vocals for the chorus lines. According to a study done by cognitive neuroscientist, Queen's 'Don't Stop Me Now' is The Most Feel-Good Song Of All Time. Musically the song builds on Mercury's piano playing, with John Deacon and Roger Taylor providing a bass guitar and drums backing track. The song also provides an example of Queen's trademark style of multitrack harmony vocals for the chorus lines. Under Pressure (1981) Under Pressure was written and recorded in collaboration with David Bowie. Under Pressure evolved from a jam session that Bowie had with the band at Queen's studio in Montreux, Switzerland. It was credited as being co-written by the five musicians. The scat singing that dominates much of the song is evidence of the jam-beginnings as improvisation. http://groti.blogspot.co.id/?m=1
:/
[스토리뉴스 #더] '범죄도시3' 개봉에 즈음해 보는 "속편 영화의 불편한 흥행사(史)"
영화 <범죄도시3>가 5월 31일 개봉한다. 전작 <범죄도시2>가 지난해 5월 개봉, 1269만명으로 코로나 팬데믹 최다 관객수를 기록한 지 딱 1년 만에 후속편이 찾아왔다. 이번에도 마동석(마석도 역) 유니버스는 대중의 발길을 끌어모을 수 있을까? 흥행 침체로 허덕대는 한국영화판이 이 액션 프랜차이즈 신작에 거는 기대는 크다. 속편 영화는 흥행 면에서 종종 높은 기대치를 부여받는다. 애초에 속편이 나왔다는 건 전작(들)의 평가나 인기가 나쁘지 않았다는 뜻. 그 전작의 인기 요인을 계승하는 만큼 호불호 관련 변수가 줄어드는 것이다. 실제로는 어땠을까? <범죄도시2>처럼 입이 귀에 걸릴 만한 성적표를 누가 또 받았을까. 우선 지난 20년간 1편과 속편이 영화관에서 개봉한 적 있는 한국영화들을 추렸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1편과 속편이 모두 영화관에 걸린 한국영화 시리즈는 14개다. 한 편이라도 전국 관객수 100만명 이상을 기록한 시리즈를 기준으로 했다. 영화 편 수는 총 31편. 2편을 넘어 3편까지 내놓은 프랜차이즈는 '타짜' '조선명탐정' '범죄도시'다.(이순신 트릴로지의 최종편 <노량: 죽음의 바다>는 올 12월 개봉 예정) 전작과 속편 개봉 간격이 가장 긴 건 '타짜' '명량' 그리고 '해적' 시리즈다. 다들 1편 이후 2편 등장까지 8년이 걸렸다. 텀이 제일 짧은 시리즈는 '신과함께'와 '범죄도시'로 각각 1-2편 및 2-3편이 해를 이어 개봉했다. 전체 작품을 계산해보니 전작과 속편 사이 평균 간격은 4.3년으로 나왔다. 이제 이들 영화의 박스오피스를 살펴볼 차례다. 대중과 비평가 의견도 중요하지만 주관적인 데다 범주가 너무 넓어 여기서는 흥행 결과로만 성패를 판단했다. 속편들은 과연 믿음에 부응했을까? 결과는 다소 의외다. 20년간 전편보다 더 흥행한 속편 영화는 <범죄도시2>와 <탐정: 리턴즈>가 유이했다. 대체로 1편이 성공한 뒤라 그 정도의 관객을 다시 끌어모으기가 쉽지 않았겠지만, 그렇다 해도 기대 대비 감소 폭이 만만찮다. 그중 최악은 <해적: 도깨비 깃발>이다. 134만명의 관객이 들어 1편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의 865만명보다 84.5%나 줄었다. 감소율 단연 1위. 감소 관객수는 731만명으로 <한산: 용의 출현>(<명량> 대비 1035만명↓) 다음으로 많았다. 단, <명량>이 우리나라 역대 관객수 1위 영화임을 감안하면 뼈가 아픈 쪽은 <해적: 도깨비 깃발>이다. 개봉 당시에도 감독과 출연진이 다 다른 '무늬만 속편'인 데다 졸작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나 알지?'를 미끼로 관객을 꼬드기다가 된통 당한 셈. 낯익음을 무기 삼을 때는 그만큼 높아진 기대치를 감당해야 한다. 흉내조차 제대로 못 내는 영화에 돈을 지불할 관객은 드물다. 이밖에 '공조'와 '마녀' 속편은 각각 10.7%, 11.9%씩 관객이 빠지기는 했어도 손익분기점은 무난히 넘기며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신과함께'는 1편과 속편이 모두 천만 관객을 돌파한 유일한 시리즈로 남아있다. 다시, '범죄도시' 차례다. '범죄도시'는 권선징악 유의 형사물에 배우 마동석이 수년간 쌓아온 '코믹하고 친근하되 호쾌한 한 방을 보유한 자' 캐릭터가 흡수된, 일명 한국형 액션 프랜차이즈다. 뻔한 듯 보여도 고유한 정서가 있다. 무자비하게 휘두르는 주먹과 손바닥은 마동석이라는 아이콘을 거치면서 폭력성이 휘발되고 통쾌함이 배가된다. 물론 여기에는 가해자 선처나 교화 따위에 치중된, 대한민국의 기형적 인권 시스템도 한몫한다. 현실 법체계에 대한 답답함을 선한 폭력이 '사이다'가 돼 달래준다. "진실의 방으로"는 인권유린이 아니라 (실제로는 불가능한) 범죄자 단죄의 유쾌한 현장인 셈. 주먹으로 말로, 보는 이의 눈과 귀에 타격감 한번 오지다. 이런 이유들로 <범죄도시2>는 관객이 전편 대비 85.3%나 늘어 수치상 역대 가장 성공한 속편이 됐다. 유니버스 확대를 위한 가속페달도 밟았다. 4편이 촬영을 마쳤고 5편과 6편은 시나리오 작업 중이다. 단, 안심은 곤란하다. <범죄도시2>도 흥행은 잘됐지만 악역을 비롯해 캐릭터 매력 구축이나 대립 빌드 업 작업 등이 1편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이 많았다. 실제로 영화는 짜임새보다 익숙한 개인기에 기댄 면이 없지 않았다. '질림'이 임계점에 도달하면 박스 오피스 곡선은 꺾이기 마련. '범죄도시' 프랜차이즈의 흥행사는 어떻게 새로 고침 될까? 개봉 박두다. 이성인 기자 silee@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