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내리는 눈을 바라보며 '진눈깨비'라는 글로 시작할게요.

삶은 누구에게도 특별히 호의적이지 않다.
그 사실을 알면서 걸을 때 내리는 진눈깨비.
이마를, 눈썹을, 뺨을 물큰하게 적시는 진눈깨비.
모든 것은 지나간다.
그 사실을 기억하며 걸을 때, 안간힘을 다해 움켜쥐어 온 모든게 기어이 사라지란 걸 알면서 걸을 때 내리는 진눈깨비.
비도 아니고 눈도 아닌 것.
얼음도 아니고 물도 아닌 것.
눈을 감아도 떠도, 걸음을 멈춰도 더 빨리해도 눈썹을 적시는, 물큰하게 이마를 적시는 진눈깨비.
#흰#한강#난다

오후 6시 47분쯤이었나
태양이 노곤히 잠들 준비를 하기에
몰래 그 저녁하늘을 갈아서
티백에 조심스레 모아두었어요
태양이 지고나서 따뜻한 물에 우려내니
찻잔 속에 스멀스멀 노을이 지더라구요
노을 아래 앉아있기 좋아하던 당신이 생각나서 마냥 찻잔에 우러나는 그대를 바라보고 있었어요
그리운 그 때의 노을 같은 글귀에
잠시나마 현실의 고통을 망각하고자 한다.
#루이보스#시밤

서가 사이에 갇힌 채 책의 균형을 맞춘다.
하루에 나의 손을 거치고 간 책은 수백권에 이르나 정작 안을 들여다 볼 틈조차 없다.
비가 내려서일까
차분히 내려앉은 앞머리 만큼이나 마음이 가라앉는다.
낮아진 나의 시선에 걸린 '경애의 마음'
나의 마음과 그녀(혹은 경애하는 당신)의 마음의 접점은 있을까_너와 나의 안녕
#경애하는 마음#김금희#창비

장거리를 달리는 버스의 매력 중 하나는 이동시간 동안
향유할 수 있는 좌석 크기만큼의 고립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같은 곳으로 가고 있다는 것 이외에는 서로 그 무엇도 알지 못하는 타인들 속에서 혼자인 채 할당된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건, 어떤 면에서 우리의 삶과 매우 흡사하죠.
좌석 크기만큼의 고립감은
때론 외로운 채로
때론 한숨을 토해내며
때론 한없이 멍해진 채로 할당 된 시간이 소비된다.
#빛의 호위#조해진#창비

나는 거대하고 높고 빛나는 것들보다는 작고 나지막하고 안쓰러운 것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햇빛이 미끄러져 내리는 나뭇잎의 앞면보다는
뒷면의 흐릿한 그늘을 좋아하고 남들이 우러러보고 따르는 사람보다는 나 혼자 가만히 가까이하고 싶은 사람을 더 사랑한다.
나 혼자 가까이하고 싶은 사람
#안도현 잡문#안도현#이야기가 있는 집

''삶은 종종 그런 것이다.''
체념도 아니고 단념도 아닌 이 말.
받아들이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나오는 무심의 말 같아서
가볍든 무겁든 누구나 짊어지고 있는 운명의 짐을 벗어 버리려고 했던 날을 다시 생각해보게돼.
그리고 벗어 버리고 싶은 나날을 영위하는 게 나의 삶이기도 하다.
#고흐씨 시 읽어줄까요#이운진#사계절

그렇게 맑은 날이었다
#속도의 무늬#함주해#위즈덤 하우스

어디에도 없고 언제나 있는 것들에 대하여
#너는 어디에도 없고 언제나 있다#이윤학#문학과 지성사

오늘 같은 날은 설탕 커피를 마시고 싶습니다.
햇살 한 움큼 쏟아 넣고 따끈한 바람으로 휘저어 체온만큼의 한 잔.
햇빛은 따스했고 광장 속 사람들은 들떠있었다.
'들뜰 수 밖에 없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다.
작은 수첩에 그 때의 기분과 생각을,
그들의 기쁨과 나의 기쁨을 적어내려갔다.
그 틈 사이로 역사의 커피는 내 몸 속으로 들어왔고
몸은 따뜻해졌다.
#길을 잃어도 당신이었다#백상현#이다북스

달콤한 인생
당도 높은 인생의 이면에는
적당한 염도가 깔려 있기 마련이다.
#한뼘한뼘#강예신#예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