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896pc
10,000+ Views

[팔로워 1000기념] "입맛소수자" 관심사 창설

며칠 여행갔다오는 동안 빙글에 글을 전혀 올리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 영광의 순간만은 캡쳐로 남겨두었지요 후후
하 쒸바... 멋있는 거 봐라...

그 동안 빙글에 자료셔틀도 하고, 웹툰 프레지던트도 하고, 활동은 거의 못했지만 공포미스테리 에디터도 해보고...
(생각보다 무서운걸 제가 못보더라구요...그래서 부득이하게 광고, 스팸만 쳐냈습니다...이 자리를 빌어 죄송하다는 말씀 전하구 싶군녀 허허,,,)

빙글 시작한 진 한 삼 사개월 된 것 같은데 벌써 천명이라니...
아직 뭐 네임드네 어쩌네 하기에는 택도 없지만ㅠㅠㅠ

사실 우연히 시작하게 됐지만 뭐랄까 뭔가 한적~하고 건전~한 그런 공기 좋은 시골 느낌???ㅋㅋㅋㅋㅋㅋ이 나는 곳이라서 얼결에 정착해버렸습니다.
그래서 여기저기에서 재밌게 본 것들도 좀 나누고 하려고 자료들을 많이 퍼왔습니다.
그냥 순수하게 재밌는 것들도 있었고 좀 자극적인 이슈 위주의 카드들도 있었는데 대체로 다들 좋아해주시는 것 같아 다행입니다.
댓글로 몇 번 투닥거리기도...했지만...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제 카드들 좋아해주신 모든 분들께 아리가또...! 꼭 전하고 싶었습니다.
댓글로 태그도 해야징 헤헿


쨋든! 팔로워 1000명 기념으로 나도 무언가 해보려고 합디다!

며칠 전, 제가 올렸던 카드를 기억하시나요?


갠적으로 고수를 갱장히 좋아하지만...주변에서 다들 학을 떼면서 개질알하는 바람에 먹을 기회가 잘 없습니다...
그래도 빙글에는 고수를 좋아하시는 분들이 꽤 되더군요 ㅎㅎㅎㅎㅎ
물론 아닌 분들도 많았지만...
폄하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걸레빤 물 맛이라니....그건 그냥 폄하하는 거잖아요....

그러고 보면 고수처럼 호불호가 심한 음식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역겨운 풀내의 황태자 "오이"

콧구멍 브레이커 "홍어"

A Fake Dick "개불"

벌레의 패왕색 "번데기"

콧물같은 바다의 상한 우유 "굴"


그 외에도 수 많은 강자들이 있습니다.

악마의 열매 "가지", 바다 그 자체 "멍게", 누린내의 제왕"양고기", 오물저장소"곱창"...
입이 짧은 이들에게 이 음식들은 거의 원피스 최악의 세대를 방불케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모두 잘 먹습니다.
그러니까 좀 그거 먹는다 그러면 "헐 그걸 어케 머거???"같은 표정 좀 짓지마...
분명 빙글러에도 남들은 싫어하지만 뭐든지 잘 먹는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남들에게는 괴식박사처럼 보이겠지만 실은 그 누구보다 음식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해요.
우린 항상 핍박받아 왔습니다. 왜 우리가 편식쟁이에게 욕을 먹어야 하죠????
이제는 당당해져야 합니다. 우리의 음식 취향을 만천하에 알리고 공유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바로 "입맛소수자" 관심사를요.

앞으로 입맛소수자의 취향을 저격하는 여러 짤들을 올려볼 생각입니다.
또 저와 같은 입맛소수자 분들도 어서 놀러와서 자신이 먹은 음식들도 올려주시지요!
그리고 톡방에서는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나누는 거죠...
"하하하 오이소박이가 참 맛있는 걸"
"호호호 홍어에 탁주 한 잔 걸치니 정말 좋은 것 같아요"
"히히 굴을 먹으니 정력이 솟아나는 느낌이에요"
"...?"
생각만 해도 즐겁지 않나요 후후후
물론 편식이 심한 빙글러들도 놀러와도 된다구? 후후후후
편식하는 음식을 즐기는 방법을 A부터 Z까지 찬찬히 알려주면서...점차 그 음식의 매력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게... 만들어줄테니까 말이야.......후후후훟후훟ㅎ후훟......

많이들 놀러오라구... 기대하고 있을테니까...
81 Comments
Suggested
Recent
빙글에서 상주셔야 할듯..
동감입니다. 상 드려야함 ㅋㅋ
빙글도 유튜브 실버버튼처럼 뭐 줬으면 좋겠어요 퓨ㅠㅠㅠ
ㅋㅇㅋ 리얼님 골드플레이죠
제 카드에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을 한 번 태그해봤어요! 긁어오느라고 고생했네요ㅠㅠ 항상 제 카드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자주 자주 올릴테니 자주 만나자구용 (그리고 입맛 소수자에서도 잼께...놀자구요...) 여러분 덕분에 1000명 찍었네요 흐흐 앞으로도 오래오래 빙글에서 만나요! @assgor900 @shm7041 @qudtls0628 @Ryunwu @wens @donquixote87 @mandoojoa @Skella @evilen82 @KookHenry @banya0310 @GilOh @michaelxxx1076 @kara6840 @ericryu1 @roygi1322 @pureon @oliveartist @yabonobonoya @galux02 @bandalgisa @Steve0425 @hellofaust @kamiri @thinkplz @hg3150017 @tomato7910 @uruniverse @wjdaudghzzz @kangyh12 @dalbitplus @G102 @whakdwhs0101 @jinnom74 @Eolaha @flowerssam @intuithink0 @oloon616 @sh7682 @dreamhellea @KimSuhwa @lme1005 @fstar485 @underworld9179 @thourock93 @sasunny @vhvmflgid1 @Ustias @syj901109 @Gugugu99999 @bwh2o82 @pram0924 @nanmollang @newdlas @dongne9089 @Kellygo @JessicaM @gave1 @karma2513
내아이디가 첫째글에 있었어 이런 영광이....
전 없는데 왜 소환이????????
이분 대단한 분ㅋㅋㅋㅋㅋ👍👍👍
오~~~~~소환 된건가요????🤗🤗🤗깨알 아이디 입력 고생하셨겠어요 ㅎㅎ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입맛소수자도 마니 놀러오셔요
하 ..사진 너무 먹음직스럽게나왓다ㅜㅜ
특히 홍어랑 굴 진짜 예술... wens님도 자주 놀러오세요ㅋㅋㅋㅋㅋㅋ
네넹 ㅜㅜ 굴은 역시 아마존 굴이죠
개척하신분이 파이오니어 드세요 에디터하게요
완장욕심이 있으셨군요 후후... 파이오니어는 백명 넘으면 할꺼에요 그전까지 카드 마니마니 올려주시죻ㅎ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주르륵~ 근황 & 마트 & 냠냠
스피또 ~ 1월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ㅋㅋㅋㅋ 1만원 한번되고 그뒤로 천원 단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 계속 당첨되서 이어져내려오고 있어요 🤣 언제까지 이 릴레이가 계속 될지 ㅋㅋㅋㅋㅋ 오랫만에 코스트코~ 맨날 트레이더스 가다가 오랫만에 왔어여 금동이 전동칫솔 보러;;; 요즘 금동이가 충치가 생겨서 ㅜㅜ 치과에 다니고 있습니다 어린이치과 알아보다가 전화통화로 문의했는데 2-3곳 모두 너무 말투가 무섭고;; 쌀쌀 맞아 ㅜㅜ 어린이 치과라면서 좀 더 친절하면 안될까요 🥲 그냥 제가 다니던 치과에 갔는데 4개정로라 하나씩 천천히 치료하기로 했어요 애가 첨에는 너무 무서워해서 제대로 멀 할수가 없었는데 의사선생님이 기계도 보여주시고 거울도 직접 만져보라하고 그래서 조금 적응이 되긴했어요 충치라늬 ㅜㅜ 넘나 충격 트레블 세트 너무 귀엽..... 아무 쓸모없지만 ㅋ 귀엽 아롱사태 더더워지기 전에 한번 해묵기로 하고 구입 와터~ 야칠~ ㅋㅋㅋㅋㅋㅋ 봄이라 꽃나무들도 있었어요 앵두 복숭아 무화과 등등 ㅎ 한장판 봄원두 삼실에서 먹을라구 구입!!! 쭈꾸미 오일파스타 좋아좋아요~ 아롱아롱 수육으로 냠냠 남은고기는 다음날 회냉면과함께 냠냠 또 썸머가 ..... 같은것만 계속 나오는 짱구 벚꽃 만개;; 왤케 빨리 폈니;; 아직 목련도 다 못핀 나무들이 많은데 벚나무가 좀 성질이 급한편인가요 🤣 왜용이는 벚꽃은 잘 모르겠고 봄이면 딸기지~ ㅋㅋㅋㅋㅋㅋ 냠냠 봄딸기 🍓
한국인의 밥상 - 한우愛빠지다 1부
이번엔 입맛소수자들의 취향을 저격할만한 캡쳐본을 가져왔습니다. 몇 년 된 거긴 한데 정말 처음 보고 너무 센세이셔널해서... 아직까지도 한국인의 밥상 최애편 흙... 한국인의 밥상 - 한우愛 빠지다 편입니다. 아닌 밤중에 불러내어 언짢은 불암콩콩갑 전국 팔도 순례할 생각에 벌써부터 피곤해지는 불암갑. 쥐어지는 성의에 화색이 돈다. 오늘의 주제는 한우의 A to Z 그 여정은 구례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가는 길에 소를 태운 트럭을 발견한다. 도축하러 가는 길. 우연히 만난(척 하는) 사장님. 이분께 소고기의 부위를 배워보기로 한다. 살살 녹는다는 그 부위가 맞다. 안창살. 정말 커튼주름과 닮아있다. 정말 귀한 부위... 흔히 육회나 육사시미, 뭉티기의 부위로 사용되는 우둔살. 도축된지 몇 시간 안된 쇠고기에서만 나타나는 사후경련 현상. 이 모습을 보고서도 침이 나온다면 당신은 진정한 입맛소수자. 얇게 써는 모습만 봐도 쬰득해보인다. ZARA가 아닌 지라. 소의 비장 부위이다. 비장이란 왼쪽 신장과 횡경막 사이에 있는 부위로, 혈액속의 세균을 죽이고, 늙어서 기운이 없는 적혈구를 파괴한다. 별걸 다 먹는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맛이 상상조차 안되는 부위. 호불호가 극히 갈리는 소의 생간이다. 맛이 묵직해서 본인도 많이 먹진 못하지만 육회집에서 서비스로 나오면 이것만큼 고마울때가 없다. 소의 등골... 생전 처음보는 부위였으나 혹자는 치즈맛이 난다고 한다. 정말 맛있는 부위거나 치즈를 못먹어봤거나. 보통은 구워먹는 차돌박이도 이 곳에서는 생으로 신선하게 먹을 수 있다. 모듬 육사시미 한상차림. 유통마진이 빠지기 때문에 놀랍게도 2만원이란다. 이제 구이로 넘어간다. 흔히 곱창집에서 모듬구이를 시키면 몇 조각 나오는 염통(심장). 오래 익히면 질겨지기 때문에 가장 먼저 먹는 부위이기도 하다. 쫄깃함이 일품. 콩팥... 정이 갈 수 없는 비쥬얼... 먹기야 먹겠지만 처음엔 좀 놀랄 수 밖에 없다. 먹어본 빙글러가 혹시 있을까? 썰어서 펼쳐놓은 사진을 보니 꼭 손질 전의 닭똥집같기도 하다. 식감이 재밌다고 한다. 익힌 상태에서 아삭한 식감이 나는 부위라니. 문득 궁금해진다. 쉽사리 믿을 수 없다. 혹 그가 여태껏 먹어온 삶은 밤이 실은 콩팥 아니었을까? 눈가가 촉촉해보이는건 기분탓일까? 구례 투어를 마치고 서울로 컴백홈한 불암갑 말끝내기 무섭게 다시 홍성으로 소환당한다. 극악무도한 제작진들. 마장동에서 사온 소머리. 10만원 어치라고 한다. 소머리는 마당에서 삶기 시작한다. 부엌 안에서는 내장들을 삶는다. 소 양과 천엽이 보인다. 소의 새끼보(자궁). 깨물수록 단맛이 우러나온다고 한다. 돼지의 암뽕도 그렇고 특수부위들 중에서도 스페셜하게 취급받는 듯 하다. 마장동에서 사온 7만원어치 내장들을 푹 삶아준 뒤 다 익으면 고춧가루, 마늘, 소금, 간장으로 양념을 해서 무쳐낸다. ...그냥 저렇게만 먹어도 꿀떡꿀떡 넘어갈 것만 같다. 소주를 부르는 미친 비쥬얼. 그릇에 담고 육수를 부어주면 구수한 소 내장탕 완성. 헉헉 너무 길다....나머진 2편에서.... 빙글러분들은 다른 특수부위 먹어본 경험이 있나요? 여기와서 톢킹 어바웃 해보아요
직장인 맥주 배틀용 안주 만들기!
간만에 하루에 카드 두 개 쓰기! 어제 직장인 커뮤니티에서 맥주 배틀이 있었습니다. 무려 8캔의 맥주를 먹는... 대회였습니다... 말이 8캔이지 그럼 4000cc인 셈인데 호프집에서 3000시켰을 때 나오는 양을 상상해보면 정말 어마무시합니다. 근데 이 어마무시한 걸 해내는 사람들이 또 있더군요. 사케 6병 빌런... 블랑 11캔 빌런... 아마도 간이 쿼드코어이신 분들... 담에 또 할 때는 좀 더 분발해보겠읍니다.. 어찌 됐던 안주로 지난 번에 배송시키고 얼려둔 미국산 값싼 치맛살(이 부분 라임 뒤져서 볼드체로 써놓음)을 꺼냈습니다. 근데 분명 한 두 시간은 꺼내놓은 것 같은데 이 미친놈이 여전히 돌덩이였지 뭡니까. 그래서 급한대로 야채손질부터 시작하기로 합니다. 남은 당근과 남은 양파와 남은 대파와 남은 표고를 요로코롬 준비해줍니다. 표고는 물에서 불리는 중~ 그 사이에 이미 8시가 지나버려서 급하게 야채 손질을 하다말고 맥주를 까서 참전했습니다. 요리하면서 술을 마신다니... 마치 재야의 요리고수같지 않습니까? 얼어붙은 저주의 붉은 광석은 이렇게 적당한 크기로 길게 썰어줍니다. 더 얇게 썰고 싶었지만 정말 저주받은듯이 딱딱했기에... 이렇게만... 기름 두르고 후추와 다진 마늘 왕창 넣고 무조건 제일 쎈 불에서 볶아줍니다. 좀 질겨져도 상관 없습니다. 꽤 오래된 고기기도 하고 술안주는 원래 씹는 맛이 강한 편이 좋으니까 차라리 불맛을 내는게 더 이득입니다. 적당히 볶아주다가 제일 안 익는 당근을 투척하고 좀 볶아주다가 양파도...(흔들) 투척해줍니다. 물기 쫙 쫘준 표고버섯도 이맘때 투척해줍니다. 요로코롬 달달달달달 볶아주다가 진간장을 살짝 쪼로록 넣어주고 숨겨왔던 비장의 무기를 꺼내줍니다. 캬... 아시는 분은 다 아는 양꼬치 소스... 진짜 이 가루가 너무 먹고 싶어서 벼르고 벼르다가 쿠팡에 있길래 냉큼 샀습니다. 원래 아예 쯔란(큐민)만 있는 걸 사려다가 범용성이 너무 떨어질 것 같아서 패스...! 쯔란, 고수 씨앗, 후추, 고춧가루, (msg) 등등이 들어간 그야말로 이국적인 맛 한 번에 확 내주는 놈입니다. 심지어 그냥 맨밥에도 뿌려먹어봤는데 후리가케 저리가라입니다. 미쳐 아주... 그렇게 짠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이렇게 잔뜩 쏟아부어줍니다. 마치 백종원 설탕 부어버리듯이 나 자신을 놓아버립시다. 이거 하나만 있으면 이제 별 다른 간이 필요 없습니다. 진짜 마스터피스. 여러분 꼭 가정에 하나씩 구비해두세요 식탁의 평화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슷썰기한 파도 잔뜩 넣어줍니다. 이렇게 숨이 죽을 정도로만 아주 쎈 불에서 졸라빠르게 볶아내주면 이렇게 안주 완성입니다 하 사진보니까 또 먹고싶어지네요 양고기 소스만 있다면 그다지 어려운 요리도 아니니 여러분들도 꼭 한번 도전해보셨으면 합니다 진짜 맛있거든요 그리고 그렇게 꽐라가 되었고... 4캔에서 리타이어... 담에도 이런 이벤트 있었으면 좋겠네요 뭔가 랜선술집 느낌도 나고 좋은디?? 단 다음에는 주종 정해놓지 말구 달립시다 왜냐면 내 주 종목은 소주니까...! 지난 밤의 참혹한 현장은 이 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소멸 직전인 국내 박제 기술
기린 박제는 제주도에도 있고 아주 적지는 않은 숫자가 국내에 존재하고 있음 그 중 서울대공원에 있는 이 새끼 기린의 이름은 "엘사" 임 엘사짜응 ㅠㅠ 엘사는 서울대공원이 8년만에 얻게 된 귀중한 새끼 기린이었는데, 2016년도에 앞서가던 기린 세 마리를 서둘러 따라가려다가 넘어져 다리가 부러졌음 ㅜㅠ 그래서 의족을 부착하고 재활치료 하던 도중 또다시 넘어지며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폐사해 버렸음 ㅠ 이처럼 동물원에서 폐사한 동물들을 박제로 만들어 표본 보존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 가면 볼 수 있는 이 아시아 코끼리도 어린이 대공원에서 키우다 폐사한 개체로 얘도 어린 개체인데, "코코"라는 이름으로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개장 즈음에 갑작스럽게 급사하여 박제로 보존처리 됨 그리고 이건 유일한 한국 호랑이 표본. 쪼꼼 진지한 내용이니까 말투 진지하게 하겠음 박제 기술이란 이처럼 생물 종에 대한 표본적 자료를 반 영구적으로 보존시켜 후대에 전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국내 박제 기술은 현재 사실상 사장된 수준이며, 소멸까지 시한부 단계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원래는 박제사 국가 공인 기술 자격증까지 있었는데, 이 자격증 보유자는 50명 가량밖에 되지 않는다. 원래는 연구,전시 등을 위한 박제사를 양성하는 학원, 학과까지 존재했지만 19년 이후로는 국내에 박제 기술을 교육하는 학과가 단 한 개도 남아있지 않는다. 박제는 유독 화학약품을 엄청나게 사용하는데다 아주 고된 작업이고, 사람들이 기피 하는 공정이 많이 들어가다 보니, 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도 없고, 따라서 현재 박제사들 사이에서는 "한국의 박제 기술의 대가 끊기기 직전이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 현재 남아있는 박제사 분들은 절대다수가 노인분들이시고, 후계로 들어오는 제자가 없다보니 국내 박제 기술은 십수년 내로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런 상황에서 나타난 한줄기 빛 국내 유일 동물원 소속 박제사 윤지나 박제사 보기 드문 젊은, 그것도 여성 박제사 분인데 실력이 어마무시 하시다. 아래는 윤지나 박제사님이 참여한 표본들을 소개한다. 어린이대공원 1호 시베리아 호랑이 박제 "낭림" 옆의 윤지나 박제사 낭림 박제작업 과정 한눈에 봐도 고된 작업의 흔적이 보인다. 역동적인 모습이 인상적인 코아와 한울 서울대공원의 네 번째 호랑이 표본 "강산" 마치 살아있는것만 같은 고퀄리티한 모습이다. 말승냥이(회색늑대) 박제 역시 윤지나 박제사가 직접 제작하였다. 설표 박제를 작업중인 윤지나 박제사 수달과 올빼미 등등 다양한 표본 제작에 참여하셨다 그저 빛 윤지나 박제사님 감사합니다!! 출처 : 지구촌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