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후 이 홍콩 선수는 1년간 하스스톤 그랜드마스터즈 참가 자격을 박탈당하고 상금 역시 받지 못하게 되었으며,
당시 중계를 했던 해설진들도 모두 해고된 아이러니한 상황
현재 게임계, 영화계에 투자되고 있는, 혹은 매출의 상당수가 중국발 자본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중국의 눈치를 본다는 사실은 암암리에 알려져 있었으나 이렇게 노골적인 수준의 '중국 편 들기'는 처음 있는 일이다.
심지어 블리자드가 더 욕 먹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애초에 정치적 발언(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으나)과 관련한 대회규정은 전무하였으며
블리자드가 여태껏 걸어온 길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행동이었기 때문이다.

블리자드는 자사의 게임에 PC(정치적 올바름)와 관련된 컨셉들을 자주 채용하기로 유명했다.
스타크래프트 2의 메인 키워드를 '자유'로 잡거나, 오버워치의 캐릭터들에 성소수자 설정을 붙여넣기도 했으며, 숏컷과 근육질의 여성을 등장시키는 등 여성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려는 시도도 계속되었다. WOW(월드오브워크래프트)에선 여성 캐릭터 최초로 호드의 수장이 되는 등(스토리가...망했긴 지만) 수많은 PC요소를 게임에 집어넣고 있었다.
이러한 행보에 유저들의 호불호가 갈리곤 했으나 그럼에도 사회 정의와 올바름을 추구한다는 나름의 곤조가 있는 기업임은 분명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결국 여태까지 그들의 행보가 진정 PC를 추구하기보단 '돈이 되는 장사'를 추구한 결과였음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 상원에서는 이례적으로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 모두 블리자드를 비판하며 "미국 문화계를 잠식하고 검열하는 중국 자본"에 대해 언급했다.
게다가 이후 진행된 다른 하스스톤 대회에서는

현지 시간으로 어제 열린 하스스톤 북미 대학 챔피언쉽 경기 도중에
American University 선수들이 경기 막판
"FREE HONG KONG BOYCOTT BLIZZ(홍콩 선수 닉네임)"라는 피켓을 들었고

블리자드 측에서는 바로 화면을 승자인 Worcester Poly로 돌렷다.
이후 Worcester Poly vs American University 경기만 삭제되었고 해당 클립 역시 삭제.
이러한 행보에 실망한 유저들은 블리자드의 계정 탈퇴를 시도하지만



블리자드 아이디 탈퇴하려면 신분증이나 여권이나 전화번호든 어떻게 인증을 해야되는데 4가지 전부 다 막혔다ㅋㅋㅋㅋㅋㅋㅋ
얘네들만 그런게 아니라 북미/유럽 전부 탈퇴안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재 블리자드 유튜브 댓글창 근황

"모든 돈은 소중하다" - 블리자드 2019
(블리자드 계명 Every voice matters(모든 의견은 소중하다)를 풍자)

블리자드: 세상엔 더 많은 영웅이 필요해요!
게이머: 독재정권을 반대합니다
블리자드: 아니 그렇겐 말고

2018: 님들 폰 없음?ㅋ
2019: 님들 인권 없음?ㅋ

중국에 대한 재밌는 농담 하나 해줄까?
[삭제됨]

중국이 이 영상 올려도 된다고 허락함?

그래서 다음 확팩엔 곰돌이푸 황금카드 나옴?
(곰돌이 푸가 시진핑을 닮았다는 밈이 유행하자 중국에서는 곰돌이 푸 자체를 금지시킴)

-천안문 사태-
해외도 똑같은 반응 ㅋㅋㅋㅋㅋㅋㅋㅋㅋ
-3줄 요약-
1. 블리자드가 홍콩 민주화 운동 외친 하스스톤 프로게이머의 상금&자격을 박탈시키고 캐스터들은 해고시킴
2. 그동안 정치적 올바름을 부르짖던 블리자드가 블좆자드가 되어버림.
3. 온갖 사람들에게 조리돌림 당하는 중. 그 와중에도 정신 못차리고 똑같은 짓 또 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