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에 인색하지는 않으나, 그 길에 늘 얼마간의 굴욕이 따른다는 것이 견디기 힘들다. 왜 담보되지도 않은 성장의 대가가 이리도 혹독한지 모르겠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을 생각한다. 그런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삶은 나쁜가? 물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삶이 나쁘다기보다는, 어떤 일이 일어나길 바라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문제겠지만, 왜 이렇게까지 하고 있는 건지, 왜 나를 궁지에 몰아넣지 못해 안달인지, 더 나은 나를 위한 것이 과연 이런 방법밖에는 없는 건지, 자문한다. 나는 앞으로 그려질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너무 쉽게, 함부로 지치고 있는 건가? 어느 것이 맞는 건지 판단력조차 흐려지고 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것을 알지만, 지나가기 전에는 나를 노골적으로 한없이 갉아먹는 이것들을 어째야 하나? 체감할 수 없는 타인들에게, 조언을 구할 수조차 없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라고들 하지만, 나는 인생을 건너면서 겪어온 몇 가지 굴욕들을 생각하면 아직도 자괴감이 든다. 26년 전의 굴욕, 16년 전의 굴욕, 12년 전의 굴욕, 그 외에 굴욕이라 이름 붙이기 모호한 여러 불미스러웠던 기억들. 나는 아마 결국 나를 개척할 수 없을 것 같다. 사력을 다해 바꿔도 그건 단단한 ‘껍질’에 불과할 것이고, 그 안에 있는 나는 그대로일 것이며, 결국 팔자를 벗어날 수 없을 거라는 느낌이 든다. 세상 모두를 속여도 결국 나를 속일 수는 없지 않은가. 나는 영원히 삶을 버벅댈 것 같다. 나를 이해하지도 못하고, 공감하지도 못하고, 위로하지도 못하는, 애초에 타인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고, 완전히 공감할 수 없고, 완전히 위로할 수도 없는 한 인간인 네가 새우를 먹자고 한다. 새우를 생각하면, 그것을 세는 단위를 생각한다. 새우 10 미에 2만4천 원. 새우 1 미, 2 미, 3 미. 그것을 세는 단위가 ‘미(尾)’라는 것이 귀엽다. 미라는 말도 귀엽지만, 그 한자의 뜻도 귀엽다. ‘尾’는 꼬리 미 자이다. 그러니까 꼭 새우를 세는 단위는 아니고, 물고기나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라고 한다. 그렇다면, 사람도 꼬리만 있었다면, ‘명’이 아니라 ‘미’라는 단위를 붙일 수 있었던 걸까. “어서 오세요. 몇 미세요?” “성인 3 미, 아이 2 미요.” 요즘은 혐오 발언으로 사람들이 자꾸 일군의 계층들에 ‘충(蟲)’ 자를 붙이는데, 그것을 악용하여 남발하는 것은 옳지 못한 것이다. 다만 누가 봐도 민폐이고, 너무 싫은 사람이 있다면 조용히, 완곡하게 읊조려주는 것이 좋겠다. “아, 참을 수 없는 저 1 미…….” 살아오면서 몇 미의 사람들을 본 걸까. 앞서 말했듯, 미(尾)의 사전적 정의에는 벌레를 세는 단위도 포함되므로, 적절한 쓰임새라 할 수 있겠다. 너는 오늘 저녁 새우를 몇 미나 먹을까. 어제는 감자탕이 먹고 싶어 집 근처 여기저기를 찾아보았지만, 적절한 곳을 찾지 못했다. 예전에 다니던 직장 근처에는 감자탕을 잘하는 집이 있었는데, 그렇다고 그걸 먹으러 거기까지 가는 것은 너무 서러울 것 같다. 헤어진 남자친구는 생각나지 않지만, 남자친구의 어머니가 해주던 갈비찜 맛을 잊지 못하겠다는 한 여자의 인터넷 게시 글을 본 적이 있고, 나는 그 느낌이 뭔지 정말이지 알 것 같다. 참고로 그 감자탕집은 딱 두 곳이 있고, 다른 지점은 이수(총신대입구)역에 있는데, 언젠가 권여선 작가를 우연히 본 곳이 그곳이었다. 그러나 이수역도 집에서 가깝지는 않다. 어째서 맛집이란 맛집은 죄다 먼 곳에 있는가. 그러고 보니 성인이 되기 전에는 감자탕을 먹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감자탕과의 첫 만남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감자탕의 존재를 모르던 그때까지는 거리를 지나다가 감자탕 집을 보면, 그것이 무슨 감자찌개 정도나 되는 줄 알고, 아니 외식을 하면 고기 정돈 먹어야지 굳이 감자 따위를? 했었을 가능성이 크다. 역시 뭐든 편견을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새우 1 미, 2 미 같은 게 중요한 게 아니다. 어릴 적에는 싫어했던 음식들이 성인이 되어서야 입에 맞는 경우가 있다. 가까운 경우에는 파김치가 그랬고, 그래서 이제 나는 어릴 적 싫어하던 콩국수에 도전해보려 한다. 지금 새우 몇 미가 중요한 게 아니란 말이다.
realrappy
500+ Views
41
Comment
Suggested
Re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