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회전 장쿠션 횡단샷의 경우는 그 유명한 플로리다 백업시스템이 있다.
그런데 생각만 해도 스마트폰의 도움을 받아야만 할것 같은 복잡성에 가장 복잡한 시스템으로 분류했었다.
짠~ 그런데 유튜브의 양빵당구(최원준프로)에서 다루어진 무회전 N자형 횡단샷을 보고 놀랐다.
이런게 간단한(?)것이...
그래서 한번 비교를 해 봤다. 플로리다 백업시스템과 무회전N자형 횡단샷을 직접..
그랬더니.. 놀라지 마시라 똑같이 들어온다는...
자 그럼 새로운 이론을 학습해 보고 다음은 유명하면서 복잡한 플로리다 백업시스템과 비교까지 들어가보자..

이런 배치를 해결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었다.
그런데 10, 8(십팔) 일사천리로 도망을 가네.. 이렇게 외우면 참 쉽다.
수구는 1, 4, 7 ,9 로 되어 있고, 3쿠션 지역은 중앙이 10, 처음이 8
그래서 십팔 14천리로 도망가게로 표현했다.

그리고 수구수와 (수구수) * (3쿠션) = (제1쿠션수)
여기서 3쿠션수는 프레인포인트를 향해 들어간다는 거..

자 이제 비교 들어가신다..
플로리다 백업시스템과 N자형 횡단샷

1) N자형 횡단샷 : 10 * 5 = 50, 10*6=60 사이에 있는 공이다.
2) 플로리다백업 : 30 - (2*4) = 22
어떠한가? 정말 놀랍지 아니한가?
더군다나 플로리다 백업에서는 다루지도 않는 영역까지 모두 샷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제 이런배치가 나오면 (십팔) (일사천리)로 보내버리자..(10, 8) (1, 2,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