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포르투갈어로 가르치는 이름 한글로 적기 영상이다. 쌤 이름이 Rita인데, 포어 발음은 분명 /히타/가 맞지만 자기 이름을 어째서 “리타”로 적는지에 대한 설명이 아주 잘 나온다. 이유가 어렵지는 않다. 일반적인 한국인들이 알파벳으로 쓰인 이름을 보면 으레 영어로 짐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이름을 그냥 영어식으로 적는다는 것.
R 발음과 관련되어 또 한 가지가… 히우 지 자네이루, 즉 리오 데 자네이루라 표기하는 곳의 R 발음이다. 코멘트에 나오지만 Marcela를 상파울루 쪽은 /마르셀라/로 읽는데 반해, 이쪽 지역은 /마흐셀라/에 가깝다. 엔리케를 /엔히키/로 읽느냐, /엔리케/로 읽느냐하고도 유사한 문제겠다. 물론 이름이니만큼 자신이 좋아하는 표기법을 쓰면 된다.
그런데 그냥 영어식으로 적는 것이 문제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가령 São Paulo의 표기는 “상파울루”이다. 발음 그대로 표기한다면 “사우-ㅇ(발음이 거의 안 나게 발음한다)-빠울루” 쯤 될 것이다. 한글이 여러 외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없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겠으나, 결국은 사람들이 알아보라고 적는 것이 표기법이니 적당한 타협이 바로 “상파울루”인 셈이다. 브라질을 /브라지우/로 표기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다.
흥미로운 점은 아마도 불어권을 제외한(악상 없는 e가 /으/ 발음이다) 거의 모든 외국인들이 어려워할 모음인 “ㅡ” 발음이다. 일단 영어식 표기인 eu로 시작하기는 하는데, 여기서도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일 경우, 해당 음절을 뒤로 빼가지고 “ㅡ”를 붙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이 “ㅡ” 때문에 한국인들의 경우 자음에 별다른 모음이 없는 경우 뭔가 “ㅡ”를 집어넣지 않으면 어색해 한다(그래서 러시아어처럼 자음이 많이 이어지는 경우…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경우, 몇 가지 예외를 빼고는 습관적으로 한 음절의 끝 자음에 “ㅣ”를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그 차이가 상당히 재밌다. 이들은 가령 Wagner를 /바지네르/ 식으로 읽는다. (유럽 포어는 이렇지 않다.)
“ㄹ”이 받침과 후속 자음에도 이어지는 사례 또한 재밌다. Júlia를 그냥 /주리아/라 쓰지 않고 /줄리아/라 쓴다는 의미다. 일종의 연음 표기라 하면 될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