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1930년대 지어진 전주폐가 리모델링 레전드
저는 오래 전부터 기와집에 살아보고 싶다는 막연한 로망을 가지고 있었어요. 그러던 중 우연히 아주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던 기와집을 보게 되었습니다.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 같았지만 여기야말로 꿈만 꾸던 그 집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고치겠다는 마음을 먹은 후, 차근히 완성해나간 집을 지금부터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폐허처럼 변해버린 적산가옥 제가 마주했던 첫 모습입니다. 긴 시간을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폐허로 있다보니 무너지기 일보 직전 처럼 보였어요.  어떻게 고쳐야하나 심란한 마음 뿐이였죠. 보시다시피 전문가도 기피할 것 같은 상태여서 골조만 살리고 나머지는 거의 새로 지어야 했습니다. 다시 짓는다고 해도 이 집이 가지고 있던 고유의 느낌은 최대한 살리기로 했습니다. 원래의 모습을 너무 파괴하면 제가 이 집을 선택했던 이유가 없었거든요.  쓸 수 없는 기와는 모두 걷어내고 보수공사를 시작했습니다. 원래 기와와 비슷한 걸 구해 남아 있는 기존 기와와 함께 사용해 지붕을 만들었어요. 16평 주택의 재발견, (직접 그린 도면) 평수로 치면 크지 않는 크기여서 방을 다 오픈해 공간이 전부 이어지도록 미리 스케치한 후 시공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주거형태 상 겨울엔 추위를 완벽히 막을 수는 없어 이를 감안해 거실엔 냉난방기를 두고 방엔 보일러를 깔아 보온을 최대한 유지하려고 했어요.  나무 자체만으로 오랜 시간을 머금은 듯한 분위기를 풍겨 철거를 하면서 나온 목재들은 버리지 않고 문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문 앞에 놓여 있는 디딤돌도 철거에서 나온 돌을 재활용해 흔적들을 조금씩 남겨두었어요. 문을 열면 드르륵 정겨운 소리가 들릴 것 같은 중문.  시간이 얽힌 거실 거실에서 바라본 마당 모습입니다. 마당 앞 툇마루처럼 생긴 곳엔 옛날 교실 바닥 자재를 깔아 거실과 공간을 분리하면서 통로의 느낌을 더 강조했습니다. 거실 안쪽까지 햇살이 깊숙히 들 수 있도록 큰 창은 철을 사용해 현대적인 느낌을 가미했어요.  살랑거리는 바람을 맞으며 차를 마시기에 딱 좋은 툇마루. 오죽과 감나무를 마당에 심어 겨울이 되면 다니 단 홍시를 먹을 수 있는 재미. 이런 즐거움이 마당 있는 집의 매력인 듯 해요. 사계절을 가장먼저 느낄 수 있는 작은 뜰.  복도 끝에 자리잡은 화장실.  낡은 것들이 모여 편안한 분위기를 주는 거실. 작은 심야식당 지인이 놀러와 얼굴을 보며 요리를 할 수 있도록 11자 형태의 아일랜드 주방으로 시공했습니다. 그리고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편히 오갈 수 있도록 식당 주방처럼 싱크대와 테이블 사이에 작은 문을 만들었습니다.  주변과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고재를 사용한 주방.  노출 천장엔 인더스트리얼 조명을 달아 스타일리쉬함을 더했다. 거실 큰 창으로는 이곳까지 햇볕이 닿지 않아 주방 천장 가운데를 뚫어 창문을 만들었습니다. 매일 아침 들어오는 아침 햇살과 비가오는 날이면 천장 유리를 통해 들리는 빗소리가 고요한 집 안을 더욱 운치있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들게 해요.  주방에서 바라본 모습.  운치 가득한 사랑방 탁- 트인 시야가 시원한 유리문 너머엔 쉼을 위한 침실입니다. 폴딩도어문을 설치해 공간이 이어진 듯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날씨가 더운 여름엔 활짝 개방해두고 추워지는 겨울엔 도어를 닫아두어 온도를 최대한 밖으로 나가지 않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외국에 살았던 기억을 되살려  침실은 아늑하게 꾸몄습니다. 조명은 간접조명으로 대체하고 유리창문을 통해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독특해보이는 침대는 나무를 사러 갔다가 얻은 텃밭 상자를 이용해 침대 프레임 만들었습니다.  기성용품이 주는 획일화된 분위기를 좋아하지 않아서 대부분 직접 만들거나 리폼한 가구들이에요.  느긋하게 책을 읽기에 좋은 곳. 자연의 소리가 들리는 곳  작은 휴양지. 낡은 질감의 나무문을 열고 나오게 되면 작은 테라스가 나타납니다. 늦은 점심 은은한 바람과 따뜻한 햇살이 있을 때면 해먹에 누워 낮잠을 자곤 해요. 몸과 마음이 풀리는  개인 야외온천 개인적으로 가장 애정하는 공간 욕실.  평소 반신욕을 좋아해 인테리어를 하면서 욕실에 힘을 가장 많이 주었어요. 꽉 막혀 있는 것 보다 자연풍경이 눈 앞에 보여지면 더 좋을 것 같아 통창을 내고 밖엔 단풍나무를 심었습니다.  창을 낼 때는 옆집 주변과 시야가 차단될 수 있는 높이를 고려하는게 가장 중요했어요. 여기에 누워 반신욕을 하다보면 가을엔 단풍나무가 겨울엔 소복이 쌓이는 눈을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계절의 변화를 몸소 느끼는 것 같아 너무 좋아요. 야외 온천에 온거 같기도 하고요. 은근한 나무냄새가 베일 것 같은 욕실 벽. 라이프 스타일을 담아,  저는 집을 고치거나 꾸밀때 항상 제가 뭘 좋하하는지 생각하고 저의 라이프 스타일이 어떤지를 생각해서 반영하려고 하는거 같아요. 그래야지 집에 있는 시간이 행복하고 편한거 같아요.  이제는 이사를 생각하는데 이번에는 조금 마당이 넓은 집으로 가고 싶어요. 요즘은 내가 뭘 좋아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를 생각하고 있어요. 이번에 새로 이사를 가면 집에서 시간을 조금더 생산적으로 쓸수 있고 또 좋아하는 걸 하면서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출처 와 감각이 대단하시네요 *_* 금손 재능러 저 폐가가 이렇게 다시 태어날줄 누가 알았을 까요 ! 지금은 또 새로운 집으로 거처를 옮기신 것 같은데 인스타 구경 갔다가 저도 모르게 팔로우 하고 왔어요 :) 인스타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
'이것'이 먼저다…내 집 살 때 고려요인 순위 보니 [친절한 랭킹씨]
많은 사람들에게 '내 집 장만'은 인생 최대 소비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관련 세금·수수료·대출 등에 비용도 많이 나가고 그 과정도 무척 복잡할 텐데요. 그렇기 때문에 매수자들은 성공적인 '내 집 장만'을 위해 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들을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도 사람마다 각각 다를 것입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주거시설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내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이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실시한 ‘2022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살펴봤습니다. 주거시설 구입 시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바로 평면 구조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평면 구조를 바꾸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 잘 선택해야 하는데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에 랭크됐습니다. 최근에는 신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편리한 부대시설과 아름다운 조경시설을 자랑하는 주택이 많아지는 추세인데요. 많은 입주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밖에도 전망/조망, 단지배치/향 등 입지와 관련된 요인이 있었으며, 빌트인가구/전자제품, 인테리어/스타일 등 거주하면서 변경이 가능한 내부 인테리어 요인도 순위 안에 들어왔습니다.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주택 형태도 주택 구입 시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일 텐데요. 그렇다면 주택 구입 시 매수자들이 가장 희망하는 주택 형태는 무엇일까요? 1위는 '아파트 공화국'답게 바로 아파트가 차지했습니다. 무려 83.7%라는 비율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요. 그다음으로는 연립/다세대/빌라가 3.4%, 주상복합이 3.2%로 뒤를 이었습니다. 복잡한 아파트보다는 조용하고 여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전원주택이나 타운하우스를 선택한 경우도 있었는데요. 각각 2.4%로 공동 4위에 올랐습니다. ---------- 이상으로 내 집 장만 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누구에게나 필요한 집. 일반적으로 집을 사면 적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 동안 그 집에서 살아가게 됩니다. 그만큼 처음 살 때 조건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러분은 집을 살 때 어떤 것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 글·구성 : 박희원 기자 parkheewonpark@ 그래픽 : 홍연택 기자 ythong@ <ⓒ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코너명 및 콘셉트 도용 금지>
LH·K-water, 2023년도 조경공사·용역발주 9356억 규모
https://youtu.be/1HHBRIihV00 LH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올해 조경공사와 용역발주 규모가 9356억여 원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LH는 지난해에 이어 공공기관 최대 규모인 10조 원의 건설 공사 용역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중 조경공사 용역발주는 8000억 원 규모입니다. 발주 계획도 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의 사업계획 수립이 지연되지 않도록 지난해에 비해 두 달 앞당겨 발주가 이뤄진다고 LH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전체 발주 예정 금액에서 조경공사 용역 발주는 101건으로 8% 규모를 차지합니다. 현재까지 미발주로 있는 794억 원 규모의 화성동탄2 경부직선화 상부공원 조경공사를 비롯해 행정중심복합도시 6-3생활권 2공구 29억 원, 평택고덕국제화계획 Aa53블록 아파트 100억 원, 고양창릉 1공구 671억 원, 고양장항 공공주택지구 조경공사 398억 원 등 조경공사 발주가 계획돼 있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올해 물품구매를 제외한 조경공사 용역 발주는 총 1356억 원 규모입니다. 공사발주는 1312억3300만 원, 용역발주는 44억1600만 원이며, 물품구매는 15억 9700만 원입니다. 주요 공사발주로는 223억 원 규모의 부산 에코델타시티 2단계 3공구 조경공사를 비롯해 4공구 242억 원, 5공구 242억 원, 송산그린시티 서측지구 543억 원 계획입니다. 용역발주로는 송산GC 서측지구 1단계 구역 기본 및 실시설계 24억7000만 원, 8억 원 규모의 부산 에코델타시티 조경 3구역 실시설계 등이 계획돼 있습니다. 공사 용역 발주계획은 Landscape Inside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첨부파일(K-water)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내용은 해당 공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LH #한국토지주택공사 #K_water #한국수자원공사 #조경공사 #발주계획 #조경시공 #조경설계 #조경디자인
영국의 문들을 찍어 보았다+_+ #예쁨주의
이왕 온 김에 반가워해 주시는 분들도 (아주 조금) 계시니까 저도 반가운 마음에 더 올려 봅니다 옛날에 아주 먼 옛날에 예쁜 창문 모음 시리즈 올렸던 거 기억하는 분 호옥시 계신지 모르겠지만 그 때 많은 분들이 좋아해 주셨던 기억이 나서 오랜만에 문 시리즈를 가져와 봤어영! 요런 느낌으루다가 아니면 요런거! 그 때는 이런걸 올렸더랬져 다시 봐도 예쁘구만 오늘은 위에서 본 사진들과 같이 Bella Foxwell라는 사진 작가가 찍은 런던의 현관문 사진들을 보여 드릴 예정이에여 +_+ 우리나라와는 일반적인 주거 형식이 다른지라 집주인의 취향껏 꾸며진 현관문들 함께 보실까여? 아니 이건 마치 동화 속... 예쁘다...+_+ 여기까지만 봐도 컨셉이 보이는게, 작가의 의도는 웨스 엔더슨의 영화 속에 나오는 것 같은 문들을 찍었다고 해여. 잠시 웨스엔더슨이 누군지 알려 드리자면 ㅋㅋㅋㅋ 요런 분 ㅋㅋㅋ 한국에서도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과 문라이즈킹덤으로 유명하시져 동화적인 색감으로 유명하신 분+_+ 계속 보실까여? 영화 배경 같은 문들을! 너무 많나 싶어서 좀 빼긴 했는데 그래도 많아서 뭘 더 빼지 고민하다가 다 예뻐서 그냥 에라 몰라 넣어 부렸어요 ㅋㅋㅋㅋㅋㅋ 더 많은 예쁜 문들이 보고 싶으시다면 이 사진 작가분의 인스타그램으로 가보시길! 여기입니당 +_+ 그럼 오늘도 눈요기거리 드리기를 완료했으니 진짜 이만... 언젠가 (어쩌면 곧) 또 올게여!
정원이 있는 카페, 퍼걸러·정박형 카라반 주목
최근 들어 정원이 있는 카페들이 전국 곳곳에 부쩍 등장하고 있습니다.인스타, 페이스북, 빙글 등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새로운 아이템을 장착하거나 감성적인 시설물을 배경으로 많은 사진들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특히 퍼걸러와 정박형 카라반은 필수적인 퍼실리티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퍼걸러는 전통정자와 서양식 정자가 있는데, 요즘 서양식 정자형의 퍼걸러는 정원이 있는 카페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추세입니다.버튼 한 번만 누르면 지붕이 개폐가 되거나 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루버 또는 블레이드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접 무드등을 지붕 주변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또는 날씨에 따라 자신의 기분을 무드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사이즈는 공간에 따라 달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문의해서 실측 체크를 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제품은 국내 생산 제품과 해외에서의 수입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가격에 대한 차이는 발생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TIW7jBPryes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가로 3미터, 세로 4미터 정도를 기준으로 750만원에서 900만 원대로 주문이 가능합니다.다만 여기에 시공비는 별도인 곳도 있어서 약 150만 원정도 추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해외에서 수입되는 제품은 약 2000만 원대로 만날 수 있습니다. 캠핑은 이제 일상적인 여가생활로 자리하고 있는데요.캠핑카는 일반인들에게는 로망으로 다가가고 있는 만큼 간접적 체험으로 정박형 캠핑카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요즘에는 정원이 넓은 카페에는 이제 정박돼 있는 캠핑카를 보기도 합니다. 정박형 카라반은 이동도 가능하지만 안정적으로 정박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때로는 정원이 있는 카페에 이국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디스플레이용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기도 합니다.일반 펜션에서는 여타의 공간과는 차별화를 줄 수 있어 정박형 카라반이 찾는 여행자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정박형 카라반의 크기도 제품에 따라 여러 디자인이 있습니다. 안으로 들어서면 전면 대형 페어유리가 개방감 넘치게 자리하고 있어 경관이 좋은 곳에서는 로맨틱함이 더해 질 수 있을 거 같습니다.입구 측면에는 TV가 설치돼 있는데 옵션으로 AV시스템을 장착할 수도 있습니다.침실에는 에어컨이 설치돼 카라반 전체에 시원함이 전달되고, 침실 양측면에 대형 수납장이 있어 넉넉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바스룸은 샤워시설도 있어서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주방도 넉넉해서 행복한 캠핑의 즐거움을 보낼 수 있을 거 같습니다.무드등이 있는 제품의 경우 신혼이나 연인들에게는 로맨틱한 오후 시간을 제공해 줄 거 같습니다. 알리고 싶은 소식이 있으면 Landscape Inside 홈페이지 또는 앱(App),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Landscape Inside 오늘의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따뜻한 육체를 얻은 대리석 - 21C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고전 조각품에 대한 오마주
그동안 피그말리온/갈라티아 신화에 대한 인간의 욕망의 기저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했었어요. 하나는 피그말리온이라는 조각가가 자신의 이상적인 여성상을 갈라티아라는 조각상으로 만든 것은 스스로의 꿈/욕망의 형상화로서 자기애(나르시즘)에 가깝다는 것과 그것이 육화되어 생명을 가질 때 수반되는 필연적인 결과인 시간의 지배를 받게 된다는 유한성의 한계.. 또 하나는 욕망이 투사된 물신숭배의 궁극적 승리(dreams come true)가 그것인데요.. 오늘은 바로 피그말리온의 욕망을 실현시켜준 갈라테이아 조각상을 모티브로 무명의 러시아 사진작가가 펼친 Marble(대리석) 시리즈를 같이 감상해 보도록 할께요.. 이 시리즈의 발상은 위에 말씀드린대로 조각가의 간절한 염원에 의해 대리석 조각상이 따뜻한 온기가 감도는 인간으로 바뀐다는 것에서 시작되었고, 실제 이미지의 구현은 각 미술관에 있는 조각상과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모델의 이미지를 포토샵을 통해 합성해 만들어냈습니다. 싱크율이 대단한 것은 차차 보시면 알게 되실거에요. 앞선 카드의 장 레옹 제롬의 작품을 참고하세요. 그림에서도 갈라테이아(여성)의 하반신은 아직 대리석의 회색빛이 남아있고 상체부터 인간 여성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키스하느라 다소 불편하지만 유연한 자세로 키스를 나누고 있는 걸 알수 있죠. (급했다 급했어....) (오리지널 조각 작품 정보 : <Pygmalion and Galatea> by Etienne Maurice Falconet. 1763. Louvre, Paris) <Siesta> by Denis Foyatier. 1848. Louvre, Paris (2/2) 원작을 먼저 보여드리고 육화한 모습을 보여드리는 게 효과적인지, 그 반대가 효과적인지 모르겠지만.. 대단한 싱크로지요? 그동안의 패러디/재현이 단순히 형태와 분위기를 비슷하게 맞춰가며 오마쥬를 표하는 것에 그쳤다고 한다면 이 작품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간 개념이라고 보입니다. <Three graces> Roman copy of a Hellenistic original. 2nd century AD. Louvre, Paris 그리스 신화의 삼미신을 묘사한 조각품의 로마시대 복제품에 대한 오마쥬입니다. 이번엔 오마쥬와 원작의 순서를 바꿔서 보여드렸구요.. 신기하게도 어떻게 삼미신 중 뒤돌아서 있는 여신의 엉덩이 모양까지 비슷한 모델로 섭외했는지... 디테일이 존경스럽네요. (포샵으로 수정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Secret> by Francois Jouffroy. 1839. Louvre, Paris 원래는 오른쪽에만 있는 조각상인데.. 왼쪽에 실제 모델을 합성해서 균형을 맞춘 작품입니다. 피그말리온의 기적(?)에서 조금 벗어나기 시작하는 콘셉트인데 균형감이 뛰어난 작품이네요.. Dirce by Lorenzo Bartolini. 1834. Louvre, Paris 조각품이 단지 이상적인 신체의 비례만을 따른 것이 아니라 현실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Diana with a Stag attributed to Jean Goujon, near 1550. Louvre, Paris 조각과 현실의 여체를 비교해 보면 허리의 길이가 차이가 나는 것을 알수 있는데요. 일부 작품들은 조각 뿐만 아니라 회화에서도 실제 인체 해부학보다 허리를 길게, 즉 척추 한 두 마디는 더 들어갈만큼 늘여서 표현한 작품들이 있습니다. 보다 안정적이고 우아한 곡선미를 강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지요. 아마 왼쪽 현실의 모델이 없었다면 오른쪽 조각이 너무나 우아해 보였을 거에요. Psyche by Jean-Jaques Pradier. 1824. Louvre, Paris 큐피드의 연인이었던 프시케(사이키)의 모습인데요.. 원본 조각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Baigneuse by Joseph-Charles Marin. 1805. Louvre, Paris  이 작품의 원본은 아래처럼 생기신 분입니다.. Sleeping Hermaphrodite, Roman statue, 2d century AD. Louvre, Paris 헤마프로디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자웅동체의 존재인데요.. 이 작품은 위에서 보여준 좌우의 미러 이미지를 응용한 상하 미러 이미지가 되겠습니다. 원본 조각상은 아래에 있고, 스튜디오 모델을 위에 배치했네요. 다만 원본 조각상을 앞쪽에서 보면 풍만한 여성의 유방에 남성기가 달려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죠. 남녀의 기쁨을 모두 아는 이상적인 존재인지 저주받은 존재인지.. 되보지 않고는 모르는 거겠죠? Nymph with a Scorpion by Lorenzo Bartolini. 1845. Louvre, Paris 작가의 창의성과 테크닉이 어우러진 멋진 오마쥬 작품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여체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표현하기도 했구요. 즐감하셨기 바랍니다. - 혜연 참고 링크 사랑의 이상형은 자기 욕망의 또다른 모습 - 피그말리온에서 <좁은 문>을 떠올리다..
현미경으로 봐야 감상할 수 있는 불가사의한 조각
성경에는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기는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보다 어렵다" (이 표현의 진짜 뜻은 해석이 분분하니 여기서는 넘어갑니다) 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이 조각품 낙타는 한 마리도 아니고 9마리나 여유롭게 바늘귀를 통과하고 지나고 있습니다. 앞뒤로 밀착하면 10마리도 넘게 통과하겠네요. (5/5) 이런 말도 안되는 마이크론 단위의 수작업 조각을 하는 예술가가 있는데요. 1957년생 영국의 윌러드 위건(Willard Wigan) 이라는 조각가입니다. 어렸을 때 기억력 장애, 독서 장애 등이 있어 학교 생활에 적응을 못했는데요. 학교를 가는 척 하고 집에 있는 헛간에서 개미들을 보다가 개미집을 만들어 주고 싶어 깨진 유리로 나무조각을 베어 초미니 집을 만들었는데, 진짜 개미들이 모여들었고 개미들을 위한 시소나 쳇바퀴, 모자, 신발 ㅎㅎ 을 만들어주면서 자신의 독특한 재능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7/7) "저에게 이런 재능이 있다는 걸 알고난 후에 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에 대해 연구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죠. 이 세상엔 우리 주변에서 보는 큼직한 것들 이상의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말이죠. 그래서 이 분자 수준의 작은 세계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커서도 계속 했지요. 언젠가 어머니께 제가 만든 것을 보여드렸더니 어머니께서는 "더 작게 만들어라" 라고 하시더군요." (9/9) 윌러드는 이 정교한 작업을 위해 심장박동을 느리게 유지하도록 훈련했고, 심장이 뛰는 사이의 1.5초의 시간을 이용해 작업을 이어간다고 합니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데는 5주~7주가 걸린다고 하네요. 눈으로는 이 작품을 볼수 없고 현미경을 이용해서야만 볼수 있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이 모든 작품들이 바늘 구멍 사이에 있다는 것을... (10/10) "경마차는 금으로 만들었고요. 저한테 24캐럿의 금반지가 있었는데, 얇게 한 조각을 긁어 내어서 자르고 구부리고 해서 이 경마차를 만들었죠. 그리고 이 말은 나일론으로 만들었고요. 말의 고삐는 거미줄로 만들었습니다." (10/10) "색칠하는 것은 조각을 다 마친 후에 하지요. 그래서 제가 실험삼아 죽은 파리 머리에서 털을 뽑아 내어서 붓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죠. 하지만 살아있는 파리로는 절대로 그럴 수 없더라구요.) 파리가 고통스럽게 "아아아아야! 아퍼!" 라고 하는 것이 들리는 거에요. 파리가 아무리 사람을 귀찮게 해도 살아있는 곤충을 죽일 수는 없더라고요. 어느 찬송가엔가 "살아있는 모든 크고 작은 생명..." 이란 구절이 있잖아요. 그래서 결국에는 제 얼굴에 있는 솜털을 뽑아서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그것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고 붓으로 사용했죠. 그리고 색칠할 때에는 굉장히 조심해야 합니다. 물감이 뭉쳐서 얼룩이 되버릴 수도 있고 그리고 굉장히 빨리 마르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신속하게 작업해야 하죠. 그러지 않으면 원래 의도와는 전혀 다른 작품이 될 수도 있거든요." 윌러드의 작품은 현재 2억원이 넘는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합니다. 작품의 희소성으로 따지면 정말 독보적이겠죠.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과 찰스 황태자도 직접 그의 전시장을 찾았고, 작품도 의뢰했다고 하네요. 복제와 재현이 불가능한 작품들.. 진정한 아우라가 살아 있는 작품들입니다. 가히 경이롭다고 밖에 표현할 수 없네요. - White 혜연 그에 대해 좀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TED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www.ted.com/talks/willard_wigan_hold_your_breath_for_micro_sculpture?language=en
2D와 3D의 조화 : 신타로 오하타(Shintaro Ohata)의 작품세계
1975년 일본 요코하마 출신의 이 작가는 우리나라에도 꽤 알려졌는데요. 인상적인 2D 배경에 3D 조각을 전경에 배치하여 2D와 3D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경탄을 금치 못하게 하는 그의 작품 세계를 함께 감상해 볼까 합니다. 「風船」”Balloon”,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10/10) 먼저 소개드리는 10개의 작품은 순수한 2D 평면의 아크릴화입니다. 그가 처음부터 2D와 3D를 접목시킨 것은 아니고 이처럼 평범한(?) 애니메이션 풍의 작품을 작업하다가 아마도... 어느날 문득 떠오른 영감에 이끌려 폴리스티렌 조각을 도입할 생각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2D 작품들의 느낌도 2D+3D 작품의 분위기와 매우 흡사한 것을 알수 있거든요. (4/4) ''2'', 2011,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얼핏 보면 평면적인 회화같지만 감상자의 감상 지점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볼수 있어요. (6/6) 「アジサイ」/ ''Hydrangea'', 2009,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6月の雨上がり」”after rain in June”, 2015,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작품에는 주로 외롭고 소외된 소녀 혹은 소녀와 함께 하는 동물 정도가 교감을 나눕니다. 그녀 주변에 있는 어른들은 그녀에게 관심도 없고 아무런 정서적 연결고리를 느낄수 없습니다. 이 시대의 고독한 청소년의 스케치라고 할까요. (9/9) 「星空」/ ''starry sky'', 2006,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ひこうき」/ ''Airplane'', 2007,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ひこうき雲」/ ''vapor trail'', 2007,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happy birthday?'', 2012,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각각의 제목과 상황은 그리 행복하게 만나지 않습니다.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소녀는 바라보지 못하고 편의점에서 산 도시락이 들어있음직한 비닐 봉지를 들고 쓸쓸히 고개를 숙이고 있을 뿐이고.. 비행기나 비행운의 제목을 가진 작품도 도심에서 떠나는 꿈을 꿀 따름입니다. 행복해야 할 생파에는 케익만 놓여있을 뿐 그녀의 탄생을 기뻐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네요. (9/9) 「さよなら三角」/ ''SAYONARA SANKAKU'', 2008,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loop'', 2010,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おはようせかい」”Good morning,world”, 2013-2015,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歩く」/ ''walking'', 2012,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6/6) 「風船」”Balloon”,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逆上がりの空」”Sakaagari no Sora”,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감성적이고도 신선한 시각적 충격을 주는 신타로 오하타의 작품들.. 잘 감상하셨나요? - 혜연 (추가로 보면 좋은 추천 카드) 2D와 3D를 혼재하여 작업한 인상적인 미국 작가 중에는 Alexa Meade라는 작가가 있습니다. 빙글 초기에 올렸던 카드인데 관심있는 분은 참고바랍니다. 실재와 재현 사이의 진지한 고민- 알렉사 미드(Alexa Meade) 그리고 신타로 오하타의 색감은 Benjamin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신타로 오하타의 경우가 보다 부드럽고 감성적이지만요.. 젊은 날의 고뇌와 아픔의 스케치 - Benjamin Zhang Bin(本杰明)의 작품들(1/3)
집8
집8(옷방) 제목 옷방.. 크으.. 으으 찢었다... 살면서 옷방이라는걸 가져보는게 꿈이었음. 옷방이 있다는 건 집이 크다는 것이고, 집이 크다는 것은 새마을운동과 한강의 기적 등을 거쳐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대한민국에서 나름 살만하다는 반증이되기 때문이다 고로 좁디 좁은 10만 km²면적의 남한에서 옷방이 있는 집에 산다는 건 그만큼 여유와 부유함이... "에?? 네?? 뭐요? 이자를 내라구요?" "아... 15평 전세집에 살면서 옷방을 억지로 만든 내가 실로 미친놈이구나." 싶었다. 하지만 인생은 미친놈이 제일 잘사는 법이라고 했다. (역시는 역시, 그건 내가 말했다) 자 그럼 닥치고 옷방을 만들어보자. 짜자잔 오늘 옷방의 재료는 무리한 금액 가용으로 말도 안되는 물건들을 시켰다.(30만원쓴듯 ㄷㄷ) 하지만 나의 손은 가차없이 장바구니의 녀석들을 우리 집으로 초대했으며, 이녀석들의 웅장한 자태는 퇴근한 우리집 문앞을 수놓고 있었다. 사설이 길었다. 만들어보도록하자 일단 나무 자체가 조금 고급지다. 그레이로 하고싶었지만 빌어먹을 바닥이 월넛인가 멀바우인가 이런색이라 강제로 색을 맞출 수 밖에 없었다. 뚝딱 뚝딱 뚝딱딱 하면 슝슝 완성되는거 아시죠? 네네 3시간 30분 걸렸습니다... 유튜브에 영상 없었으면 출근 못할 각이었음...ㄷㄷ 그래서 이게 무어냐? 말했잖수 옷장이올시다. 크으으으으.. 무려 드레스룸 옷장입니다요.. 거기다 코너장을 구매해서 옷입는 공간을 구분해서 옷방이지만 나머지 공간은 또 다른 곳으로 남겨둘 요량. 거진 이세돌의 알파고 대전 4국 78수급 신의 한수 친구들한테 자랑자랑을 했고 이 모습은 대부분 인정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자랑타임 555오오ㅗ오오ㅗㅗ오오 잘어울령 ㅎ 근데 목재에 철제다리는 너무헤비해 보여서 1번자랑사진 사이에 덩굴 조화랑 2번사진에서는 눈에띄는 가랜드를 하나 걸어줌 마치 흙속의 진주요, 용의 여의주이자, 봉황의 부리와 같다고 여겼으나, 발견한 지인들은 개때같이 달려들어 미친놈이냐며 나를 헐뜯었다. 그렇다. 그들은 사실 정답을 알고 있었다. 데헷~☆ 그래서 옷방은 여기서 끝? ㄴㄴㄴㄴㄴ 소인의 택배는 아직 끝나지 않았소만... (택배사진이 안올려짐.. 뭐지??? 나만그래?) ㅇㅇ 너만 그래 생략하고 또 뚝딱 뚝딱 딱딱딱!! 아 근데 만드는데 철제도 휘어있고.. ㅠㅠ 합판 뜯어진거 나오고.. 모서리 다 까짐 ㅠㅠ 합판은 밑부분이라 봐줬다... 아 물론 상품평에 호되게 혼쭐을 내줌. 돌려서돌려서 돌림판위에 올려서 그냥 지구본마냥 돌려깟더니... 다음날 전화를 5번을 하셨더군요... 바빠서 못 받았어요... 저도 일하는 사람인데 왜 다들 일과시간에 전화하세요...ㅠㅠ 근데 또 생각해보면 그게 맞긴 맞음. 각자 업무시간에 본인의 일에 열중했을 뿐인 우리는 그렇게 끝끝내 서로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지... 아련하다...아련해... 어쨋든 쟤들도 다 만들어서 침대밑에 러그를 훔쳐와서 땅바닥에 놓고 물건들을 타다다닥 올리면? 짜자잔 나만의 작은 카페도 완성됨. 물론 저기 의자는 옷걸이로 활용됨. 다들 120만원짜리 런닝머신(브랜드 이름일까?) 옷걸이를 쓰길래 그것보다는 저렴한 걸로 샀음. 그래서 전혀 부담스럽지 않았음. 인생은 상대적이고 나는 6만6천원에 의자1+1으로 기똥차게 샀으니깡 ㅎㅎㅎ 야호 아 그리고 악세사리 선반도 만들고 보니 밑에부분이 안보여서 용서해주기로 했음. 근데 중요한건 전등을 가려서 해지면 옷장이 어두워서 무서움... 따로 센서인식 조명을 달아줘야겠음..ㄷㄷ 나중에 아예 옷방 조명을 바꿀 계획 (누구나 그럴싸한 계획이 있다. 처맞기전까진.. - 마이크 타이슨 - ) 마지막으로 인스타갬성 자랑 사진임. 아 물론 인스타같은거 안함. 늙어서 할줄 모르는 건 아ㄴ.. 콜록 코..ㄹ.로 록 오오크허엄 ㅇ크으으 흠흠 ...비염인가? 이게 말로만 듣던 미세먼지 인가봄. 어쨋든 오늘은 대충 쓰고 옷방 자랑함. 너무너무너무너무 힘들날이었음. 생애 첫 폭설같은 눈길 운전에 사고도 났음. ㅜ부산 가고싶다...ㅠㅠ 생전 눈길 운전을 해봤어야 말이쥬.. 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