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vid0579
5+ Views

5월중순 인천항에 입고되는 높이 1800 여인상과 높이 1900 성모상 입니다. 천연대리석 화이트칼라로 만들어져 고급스러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천연대리석 전문기업 다비드컴퍼니 입니다.


#다비드컴퍼니
#로마풍여인상
#성모상
#대리석작품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2D와 3D의 조화 : 신타로 오하타(Shintaro Ohata)의 작품세계
1975년 일본 요코하마 출신의 이 작가는 우리나라에도 꽤 알려졌는데요. 인상적인 2D 배경에 3D 조각을 전경에 배치하여 2D와 3D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경탄을 금치 못하게 하는 그의 작품 세계를 함께 감상해 볼까 합니다. 「風船」”Balloon”,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10/10) 먼저 소개드리는 10개의 작품은 순수한 2D 평면의 아크릴화입니다. 그가 처음부터 2D와 3D를 접목시킨 것은 아니고 이처럼 평범한(?) 애니메이션 풍의 작품을 작업하다가 아마도... 어느날 문득 떠오른 영감에 이끌려 폴리스티렌 조각을 도입할 생각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2D 작품들의 느낌도 2D+3D 작품의 분위기와 매우 흡사한 것을 알수 있거든요. (4/4) ''2'', 2011,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얼핏 보면 평면적인 회화같지만 감상자의 감상 지점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볼수 있어요. (6/6) 「アジサイ」/ ''Hydrangea'', 2009,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6月の雨上がり」”after rain in June”, 2015,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작품에는 주로 외롭고 소외된 소녀 혹은 소녀와 함께 하는 동물 정도가 교감을 나눕니다. 그녀 주변에 있는 어른들은 그녀에게 관심도 없고 아무런 정서적 연결고리를 느낄수 없습니다. 이 시대의 고독한 청소년의 스케치라고 할까요. (9/9) 「星空」/ ''starry sky'', 2006,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ひこうき」/ ''Airplane'', 2007,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ひこうき雲」/ ''vapor trail'', 2007,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happy birthday?'', 2012,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각각의 제목과 상황은 그리 행복하게 만나지 않습니다.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소녀는 바라보지 못하고 편의점에서 산 도시락이 들어있음직한 비닐 봉지를 들고 쓸쓸히 고개를 숙이고 있을 뿐이고.. 비행기나 비행운의 제목을 가진 작품도 도심에서 떠나는 꿈을 꿀 따름입니다. 행복해야 할 생파에는 케익만 놓여있을 뿐 그녀의 탄생을 기뻐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네요. (9/9) 「さよなら三角」/ ''SAYONARA SANKAKU'', 2008,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loop'', 2010,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おはようせかい」”Good morning,world”, 2013-2015,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歩く」/ ''walking'', 2012,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6/6) 「風船」”Balloon”,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逆上がりの空」”Sakaagari no Sora”, 2014, painting, polystyrene based sculpture 감성적이고도 신선한 시각적 충격을 주는 신타로 오하타의 작품들.. 잘 감상하셨나요? - 혜연 (추가로 보면 좋은 추천 카드) 2D와 3D를 혼재하여 작업한 인상적인 미국 작가 중에는 Alexa Meade라는 작가가 있습니다. 빙글 초기에 올렸던 카드인데 관심있는 분은 참고바랍니다. 실재와 재현 사이의 진지한 고민- 알렉사 미드(Alexa Meade) 그리고 신타로 오하타의 색감은 Benjamin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신타로 오하타의 경우가 보다 부드럽고 감성적이지만요.. 젊은 날의 고뇌와 아픔의 스케치 - Benjamin Zhang Bin(本杰明)의 작품들(1/3)
솔직히 피카소 그림 완전 이상하지 않음???
<The Dream>, Pablo Picasso (1932) 피카소의 작품인 <꿈>이다. 소파에 잠들어 있는 여자를 그린 이 그림에 당신은 얼마를 지불할 수 있는가? 천만 원? 1억? 10억? 100억? '그래도 피카소인데...'라며 호기롭게 100억을 부른 사람일지라도 이 그림의 가격을 들으면 놀랄지도 모르겠다. 이 그림의 가격은 1800억이다. 피카소는 많은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화가다. 아니, 이 잠자는 여자 그림이 뭐라고 1800억이나 한단 말인가? 이 그림이 뭐길래? 아니, 애초에 피카소가 뭐길래!! '잘 그렸다'고는 죽어도 못할 그림만 그리는 피카소에 왜 사람들은 열광하는가? 저 그림 나부랭이에 왜 누군가는 1800억을 갖다 바치는가? 분노 비슷한 감정과 함께 밀려드는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결해 보자. [I have an apple] 세상은 사과가 바꾼다. 세상을 만들고, 세상을 바꿔온 사과들을 우리는 '인류의 3대 사과'라고 부른다. 인류의 3대 사과 중 첫번째는 이브의 사과이다. 이브는 신의 명령을 어기고 선악과를 먹는다. 이로 인해 에덴동산에서 신처럼 살던 아담과 이브가 인간계로 쫓겨나고, 인류의 역사는 시작된다. (고 전해진다.) 두번째는 뉴턴의 사과이다. 사과나무에서 떨어진 사과를 보고 뉴턴은 만유인력을 발견한다. (고 전해진다.) 세번째는 세잔의 사과이다. "사과 한 알로 파리를 정복할 것이다."라고 외친 화가, 폴 세잔이 그린 사과로 인해 큐비즘이 탄생하고 피카소가 괴상한 그림을 그린다. 그리고 그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이딴 게 무슨 작품이야!!'라며 혼란에 빠진다. <Table Corner>, Paul Cezanne (1895~1900) 세잔이 그리는 '사과가 있는 정물화'의 대표적인 유형의 그림이다. 동네 미술학원만 가도 이정도 그림은 발에 채일텐데 이건 또 왜 3대 사과인걸까? 그렇게 잘 그린 것 같지도 않은데 말이다. 게다가 눈썰미 좋은, '이과본능' 투철한 빙글러라면 발견할 발암 포인트들도 상당하다. 1. 빨간 화살표 - 빛의 방향이 다 제각각이다. 빛의 방향이 맘대로다보니 그림자의 방향이 다 다르다. 미대 입시 현장이었다면 찢어버려야 할 그림이다. 2. 파란 선 - 테이블의 끝 선이 맞지 않는다. 테이블이 멀리 있다가 가까이 있다가 한 것처럼 테이블과 시야 사이의 거리가 제각각이다. 미대 입시 채점관이 본다면 뒷목 잡을 그림이다. 3. 노란 선으로 표시한 각도 - 접시가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져있다. 저정도 기울어져 있는 접시라면 과일이 다 쏟아지는 게 정상이다. 선배 사과인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의 법칙, 중력도 모르는건가? <Parrot tulips, carnations, columbine, marigolds and other flowers in a woven basket, with shells, peaches, cherries, cranberries, plums, a grasshopper and other insects, on a stone ledge>, Van der Ast 반면 이 그림을 보자. 16세기 네덜란드 화가가 그린, 기가 막히게 사실적인 그림이다. 빛의 방향도 정갈하게 일치하고, 구도도 매우 안정적이며, 모든 물리법칙들도 충실히 구현되어 있다. 그야말로 '잘 그린' 이 그림은 세잔의 그림으로 어지러워진 우리의 심신을 달래주는 느낌이다. (그림 제목이 무식할 정도로 드럽게 긴 것만 빼면 완벽하다.) 빛 방향 엉망, 거리감 엉망, 시야 엉망 물리적, 미적, 조형적 완벽 왜 저런 좋은 그림을 놔두고 세잔의 이상한 그림을 3대 사과에 껴주는 걸까? 세잔의 그림은 한 시점에 나올 수 없는, 제각각인 빛의 방향 때문에 이상하고, 제각각인 거리감 때문에 이상하고, 제각각인 각도 때문에 이상하지 않은가? 이런 불만에 세잔은 대답한다. "한 시점이라고 한 적 없는데??" [진, 선, 미] 미술계에서 당연히 한 시점으로 그리는 걸로 약속됐는데 지 혼자 맘대로 그걸 깬 것이 대단하다는 건가? 아니다. 세잔의 가치는 '한 시점으로 그리는 걸 약속 한 적이 없다'는 걸 깨닫게 해줬다는 데에 있다. 미학의 목표는 예쁘게 그리자가 아니다. 미학의 목표는, 과학과 철학(혹은 윤리)의 목표와 같다. 인간과 세상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목표이다. 진/선/미는 고대로부터 인류가 추구해온 가치이다. 무엇이 진리인가? (진) 무엇이 옳은가? (선) 무엇이 아름다움인가? (미)에 대한 탐구가 하나의 세트라는 것이다. 미학은 과학&철학과 세트로 세상의 본질을 파헤치는 것이 목적이고 가치의 근원이다. 따라서 화가는, 그리고 미학은 '한 시점으로 예쁘게 그리자'를 약속한 적이 없다. '세상의 본질을 파헤쳐서 드러내자'를 약속한다. 그 본질과 이치를 잘 표현하던 수단이 예전에는 빛의 방향이었고, 원근이었고, 물리적 안정이었다. 그게 '실제'고 '진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런 세계적 생각의 흐름을 '사조'라고 한다. 당대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던 사조에 의문을 던진 게 세잔이다. 진짜 이렇게 생겼어? 이게 진리가 맞아? 그리고 그림을 통해 조곤조곤 질문한다. "본질인데 왜 한 면만 보여줘야해? 여러 면에서 보아야 본질에 더 가깝잖아" "본질인데 왜 한 순간의 모습만 담아? 다음 순간에는 변하는데 그 본질은 왜 표현 안 해?" "저렇게 정적으로 가만히 있다고? 안움직여? 움직이면 다 바뀔텐데?" 세잔은 테이블이 멀 때의 모습도 그리고 가까울 때의 모습도 그린다. 그래서 테이블 끝 선이 맞지 않고 삐뚤빼뚤하다. 세잔은 이쪽에서 본 모습도 그리고, 저쪽에서 본 모습도 그린다. 그래서 과일의 여러면이 다 그려져있고 빛의 방향과 그림자의 방향이 제각각이다. 세잔은 멀리서 비스듬히 본 모습도 그리고, 인스타 음식샷처럼 수직으로 본 모습도 그린다. 쏟아질듯한 접시의 모습은, 비스듬한 전체 구도와 다르게 위에서 내려다 본 접시의 모습을 그렸기 때문일지 모른다. 시간의 변화, 시점의 변화, 장소의 변화, 구도의 변화까지 담아냈다. 좀 더 본질과 진리에 가까우려면 시간, 시점, 장소, 구도의 변화까지도 담아내야 한다는 얘기다. '예쁘진' 않을 지 몰라도 '사조를 바꿔낸' 이 그림이 주장하는 바는 강력하다. 우리가 '사실적'이라며 입이 마르게 칭찬한 그림이 오히려 '진실'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 [세잔이 쏘아올린 작은 사과] 세잔의 기법은 많은 화가들에게 충격과 영감을 준다. 화가들 중에서도 세잔의 말에 격하게 공감하며 "인정? 어 인정!"을 연발하던 화가가 둘 있었다. 그 두 명의 화가가 '브라크'와 '피카소'(드디어!)다. 브라크는 세잔이 이야기한 '본질'을 찾는 방법으로 '기하학적 도형'에 주목한다. 그는 눈에 보이는 그대로가 아니라, 세상의 본질과 진리를 추적하다보면 세상은 결국 기하학적 도형으로 환원된다고 믿는다. '공'하면 축구공, 농구공, 볼링공, 낡은 공, 무거운 공, 노란 공 등등 여러 공을 이야기하지만 본질은 '원'이듯이 말이다. '집'하면 아파트, 주택, 한옥, 양옥, 원룸, 오피스텔, 큰 집, 작은 집 등등 여러 집이 있지만 본질은 '직육면체' 이듯이 말이다. 이런 사상을 가지고 있는 브라크에게 '집'을 그리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 알록달록 예쁜 집을 그릴 리는 절대 없다. 이런 그림이 니온다. <Houses at Estaque>, Georges Braque (1908) '잘 그렸냐'고 묻는다면 '절대 아니다' 라고 대답하겠지만, 솔직히 집 느낌은 어마무시하게 나는 이 그림이 브라크의 대표작이다. 으음-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으면 좋겠는 이 그림을, 1908년 브라크는 당당하게 살롱 도톤이라는 전시회에 출품한다. 살롱 도톤은 보수적인 미술전에 반발해 시작된 진보적 작품을 위한 미술전으로, 이 미술전의 주최자 중 한명인 마티스는 진보적 미술의 아이콘 같은 사람이다. 하지만 이 진보적인 미술의 아이콘 마티스도 이 작품은 진짜 어처구니가 없다는 듯 이렇게 평한다. "야 이건 그냥 큐브 쌓아 놓은 거 아니냐??" 브라크의 작품을 낙방시키면서 한 마티스의 평은, 입체파(큐비즘)이라는 말의 어원이 된다. 이렇게 용어가 정립되기 바로 한 해 전, 기존의 미술 관습에 정면으로 도전하며 3차원적 그림으로 세상에 충격을 안겨 준 화가가 바로 피카소다. 세잔의 그림이 조곤조곤 의문을 제기하는 느낌이라면 피카소는 아예 고래고래 소리를 지른다. 피카소가 지르는 소리를 자세히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소재 <Venus of Urbino>, Tiziano (1537~1538) 여성의 누드를 소재로 한 그림은 많지만, 대개 이런 느낌이다. 실제로는 베네치아의 한 귀족을 그린 것이지만 제목은 '우르비노의 비너스'이다. 신화 속 여신 '비너스'를 그렸다는 명분은, 누드를 그려도 속되지 않고 신성한 그림으로서 인식될 수 있게 해 준다. 몸의 곡선과 질감 또한 극도로 이상화된, 여성적 아름다움의 전형을 담고 있다. 이러한 관습에 먼저 돌을 집어 던진 건 '마네'다. <Olympia>, Manet (1863) 마네는 우르비노의 비너스를 모방하며, 여신이 아닌 창녀의 나체를 그린 그림 <올랭피아>를 내어 놓는다. 매혹적인 고개 각도와 표정으로 유혹하듯 바라보는 여신 대신, 세상 귀찮은 표정을 하고 있는 여인을 눕혀 놓았다. 몸의 비율과 형태도 굉장히 사실적이다. 여신이 있던 자리에 드러누운 여성은, 파리의 밤풍경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현실에 없는 여신 대신 현실에 있는 창녀가 누웠다. 그림은 좀 더 '진실'에 근접해졌다. 여기에 피카소는 더 큰 짱돌은 집어던진다. < Les Demoiselles d'Avignon>, Pablo Picasso (1907) 피카소의 작품 <아비뇽의 처녀들>이다. <우르비노의 비너스>에 그려진 누드와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여성들도 <올랭피아>와 같이 사창가의 여성들이다. 바르셀로나 아비뇽 인근 사창가의 여성들을 소재로 삼은 것이다. '여신의 누드'라는 비현실적인 소재는 '사창가 창녀들의 누드'라는 기분나쁠 정도로 현실적인 소재로 치환되었다. 2. 표현 <올랭피아> 속 여인은 캔버스 밖 관람자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왼쪽 아래로 흘러내려가 버린 시선은 '도발적인 소재에 비해 위협감을 느낄 정도는 아닌'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아비뇽의 처녀들> 속 여인들은 괴상한 눈으로 관람자를 똑바로 쳐다본다. 기괴한 모습의 처녀들의 삐뚤빼뚤한 눈이 나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상황은 강렬한 위협을 선사한다. 도발적인 소재의 도전정신이 최대한 발현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아비뇽의 처녀들>은 최초의 입체주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입체주의 작품답게, 멀리서 본 얼굴, 가까이서 본 얼굴, 먼 배경, 가까운 배경, 측면에서 본 모습, 정면에서 본 모습 등등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 대상이 가지고 있는 3차원 적인 모든 속성을 쭈욱 늘어놓고, 2차원적 캔버스 안에 재구성한 것이다. 보기 예쁜 것과는 별개로, 기존의 표현양식이 다룰 수 없는 대상의 본질과 진실에 대해 실컷 표현한 작품인 것이다. 기하학적 도형으로의 환원도 드러난다. 그림의 맨 앞에 표현된 과일접시는(처녀들의 모습과는 다르게 위에서 수직으로 내려다 본 인스타 음식샷으로 그려졌다) 도형으로 환원되어 표현된다. 입체주의의 시작을 쩌렁쩌렁 알리는 매우 시끄러운 효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3. 모티프 '기존의 미술이 표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것!'을 찾아 해메던 진보적 화가들에게 '아프리카'는 그야말로 영감의 보고였다. 피카소도 아프리카 미술에 크게 영향을 받은 작가 중 한 명이며, 특히 아프리카 조각 모티프는 그의 회화 곳곳에서 활용되었다. 다양한 시점이 혼합되어 기괴한 느낌을 자아내는 5명의 처녀 중 우측 두명의 임팩트는 특히 남다른데, 이는 아프리카 조각을 처녀의 얼굴형태에 직접적으로 차용한 효과이다. 도전적 소재의 적극적인 활용, 당대의 사조를 때려 뿌수는 표현의 확장, 새로운 영감과 모티프의 활용을 통해 쩌렁쩌렁한 소리를 내지른 피카소. 입체주의를 탄생시키며 회화 역사의 달력을 한 장 넘긴 피카소의 가치에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브라크가 일관성 있게 분석적 큐비즘의 작품세계를 구축한 것과는 다르게, 피카소는 시대와 본인의 멘탈에 따라 다양한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여러가지 '색'으로 구분되는 피카소의 파란만장한 작품세계에 대해서는 이후에 서술하기로 한다. **쉽고 재미있는 예술 이야기 ArtStroy Collection 팔로우
💊상황별 추천 영양제 6가지
# 뼈건강 - 칼마디 뼈와 치아를 구성하는 칼슘 칼슘은 체내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뼈건강을 신경쓰신다면 영양제로 보충하시는게 좋습니다. 칼슘의 흡수를 도와주는 마그네슘 마그네슘은 신경과 근육기능 유지에 필요합니다. 마그네슘 결핍은 낮은 골밀도, 골다공증 위험도와 연관되어있기 때문에 꼭 신경써야하는 영양소입니다. 한국인의 90%는 비타민D 부족이라고 하죠. 갈수록 야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이 많아지는게 원인인듯 합니다. 비타민D는 '뼈 호르몬'으로 불리며 뼈건강에 중요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수년전부터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암·심혈관질환·우울증 등 각종 질병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발표되면서 비타민D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Sbp9l # 혈행건강, 염증개선 -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오메가3는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 지방산이지만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합니다. 혈중 중성지방 감소와 같은 혈행건강을 비롯해서 다양한 장점이 있는 영양소인데요. 특히 오메가3에 들어있는 다가불포화지방산(n-3 PUFA)이 과체중, 중년 및 노인의 체내 염증을 감소시켜 광범위한 건강상의 이점을 가져다 준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흡수율과 순도가 높은 rTG 오메가3를 권장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SbvP4 # 얇아진 모발 - 비오틴 비오틴은 유독 모발이 얇아졌을 때 도움이 되는 영양제입니다. 머리카락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케라틴이 비오틴과 만나면 모발의 탄력을 높이고 조직 생성에 중요한 필수 영양성분이기 때문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Sbw44 # 장건강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라는 이름으로 익숙한 프로바이오틱스. 장건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한데요.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환경을 유익균으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변비, 설사, 복부 팽만감 증상이 있을 때 꾸준히 프로바이오틱스를 복용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https://link.coupang.com/a/Sby9g # 간 건강 - 실리마린 밀크시슬 추출물인 실리마린은 활성산소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평소 간 건강이 걱정되거나 피로감을 많이 느낀다면 실리마린을 꾸준히 복용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SbAJK # 눈 건강 - 루테인 루테인에는 산화 방지제 효능이 있어서 눈의 피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시력이 저하되거나 눈이 침침하고 피로감이 들 때 복용하면 좋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SbBUy 이전 게시물도 보러가기 ▼ https://vin.gl/p/5520578?wsrc=link 바쁜 일상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챙기기 힘드실겁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상황별로 도움이 되는 영양제를 추천해드렸습니다. 영양제는 무조건 많이 먹는다고 좋은게 아니라는거 아시죠? 오히려 악영향이 될 수 있으니 각자 건강상태에 맞게 선택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파트너스 활동으로 커미션 받을 수 있습니다.
1930년대 지어진 전주폐가 리모델링 레전드
저는 오래 전부터 기와집에 살아보고 싶다는 막연한 로망을 가지고 있었어요. 그러던 중 우연히 아주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던 기와집을 보게 되었습니다.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 같았지만 여기야말로 꿈만 꾸던 그 집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고치겠다는 마음을 먹은 후, 차근히 완성해나간 집을 지금부터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폐허처럼 변해버린 적산가옥 제가 마주했던 첫 모습입니다. 긴 시간을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폐허로 있다보니 무너지기 일보 직전 처럼 보였어요.  어떻게 고쳐야하나 심란한 마음 뿐이였죠. 보시다시피 전문가도 기피할 것 같은 상태여서 골조만 살리고 나머지는 거의 새로 지어야 했습니다. 다시 짓는다고 해도 이 집이 가지고 있던 고유의 느낌은 최대한 살리기로 했습니다. 원래의 모습을 너무 파괴하면 제가 이 집을 선택했던 이유가 없었거든요.  쓸 수 없는 기와는 모두 걷어내고 보수공사를 시작했습니다. 원래 기와와 비슷한 걸 구해 남아 있는 기존 기와와 함께 사용해 지붕을 만들었어요. 16평 주택의 재발견, (직접 그린 도면) 평수로 치면 크지 않는 크기여서 방을 다 오픈해 공간이 전부 이어지도록 미리 스케치한 후 시공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주거형태 상 겨울엔 추위를 완벽히 막을 수는 없어 이를 감안해 거실엔 냉난방기를 두고 방엔 보일러를 깔아 보온을 최대한 유지하려고 했어요.  나무 자체만으로 오랜 시간을 머금은 듯한 분위기를 풍겨 철거를 하면서 나온 목재들은 버리지 않고 문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문 앞에 놓여 있는 디딤돌도 철거에서 나온 돌을 재활용해 흔적들을 조금씩 남겨두었어요. 문을 열면 드르륵 정겨운 소리가 들릴 것 같은 중문.  시간이 얽힌 거실 거실에서 바라본 마당 모습입니다. 마당 앞 툇마루처럼 생긴 곳엔 옛날 교실 바닥 자재를 깔아 거실과 공간을 분리하면서 통로의 느낌을 더 강조했습니다. 거실 안쪽까지 햇살이 깊숙히 들 수 있도록 큰 창은 철을 사용해 현대적인 느낌을 가미했어요.  살랑거리는 바람을 맞으며 차를 마시기에 딱 좋은 툇마루. 오죽과 감나무를 마당에 심어 겨울이 되면 다니 단 홍시를 먹을 수 있는 재미. 이런 즐거움이 마당 있는 집의 매력인 듯 해요. 사계절을 가장먼저 느낄 수 있는 작은 뜰.  복도 끝에 자리잡은 화장실.  낡은 것들이 모여 편안한 분위기를 주는 거실. 작은 심야식당 지인이 놀러와 얼굴을 보며 요리를 할 수 있도록 11자 형태의 아일랜드 주방으로 시공했습니다. 그리고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편히 오갈 수 있도록 식당 주방처럼 싱크대와 테이블 사이에 작은 문을 만들었습니다.  주변과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고재를 사용한 주방.  노출 천장엔 인더스트리얼 조명을 달아 스타일리쉬함을 더했다. 거실 큰 창으로는 이곳까지 햇볕이 닿지 않아 주방 천장 가운데를 뚫어 창문을 만들었습니다. 매일 아침 들어오는 아침 햇살과 비가오는 날이면 천장 유리를 통해 들리는 빗소리가 고요한 집 안을 더욱 운치있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들게 해요.  주방에서 바라본 모습.  운치 가득한 사랑방 탁- 트인 시야가 시원한 유리문 너머엔 쉼을 위한 침실입니다. 폴딩도어문을 설치해 공간이 이어진 듯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날씨가 더운 여름엔 활짝 개방해두고 추워지는 겨울엔 도어를 닫아두어 온도를 최대한 밖으로 나가지 않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외국에 살았던 기억을 되살려  침실은 아늑하게 꾸몄습니다. 조명은 간접조명으로 대체하고 유리창문을 통해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독특해보이는 침대는 나무를 사러 갔다가 얻은 텃밭 상자를 이용해 침대 프레임 만들었습니다.  기성용품이 주는 획일화된 분위기를 좋아하지 않아서 대부분 직접 만들거나 리폼한 가구들이에요.  느긋하게 책을 읽기에 좋은 곳. 자연의 소리가 들리는 곳  작은 휴양지. 낡은 질감의 나무문을 열고 나오게 되면 작은 테라스가 나타납니다. 늦은 점심 은은한 바람과 따뜻한 햇살이 있을 때면 해먹에 누워 낮잠을 자곤 해요. 몸과 마음이 풀리는  개인 야외온천 개인적으로 가장 애정하는 공간 욕실.  평소 반신욕을 좋아해 인테리어를 하면서 욕실에 힘을 가장 많이 주었어요. 꽉 막혀 있는 것 보다 자연풍경이 눈 앞에 보여지면 더 좋을 것 같아 통창을 내고 밖엔 단풍나무를 심었습니다.  창을 낼 때는 옆집 주변과 시야가 차단될 수 있는 높이를 고려하는게 가장 중요했어요. 여기에 누워 반신욕을 하다보면 가을엔 단풍나무가 겨울엔 소복이 쌓이는 눈을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계절의 변화를 몸소 느끼는 것 같아 너무 좋아요. 야외 온천에 온거 같기도 하고요. 은근한 나무냄새가 베일 것 같은 욕실 벽. 라이프 스타일을 담아,  저는 집을 고치거나 꾸밀때 항상 제가 뭘 좋하하는지 생각하고 저의 라이프 스타일이 어떤지를 생각해서 반영하려고 하는거 같아요. 그래야지 집에 있는 시간이 행복하고 편한거 같아요.  이제는 이사를 생각하는데 이번에는 조금 마당이 넓은 집으로 가고 싶어요. 요즘은 내가 뭘 좋아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를 생각하고 있어요. 이번에 새로 이사를 가면 집에서 시간을 조금더 생산적으로 쓸수 있고 또 좋아하는 걸 하면서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출처 와 감각이 대단하시네요 *_* 금손 재능러 저 폐가가 이렇게 다시 태어날줄 누가 알았을 까요 ! 지금은 또 새로운 집으로 거처를 옮기신 것 같은데 인스타 구경 갔다가 저도 모르게 팔로우 하고 왔어요 :) 인스타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
'이것'이 먼저다…내 집 살 때 고려요인 순위 보니 [친절한 랭킹씨]
많은 사람들에게 '내 집 장만'은 인생 최대 소비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관련 세금·수수료·대출 등에 비용도 많이 나가고 그 과정도 무척 복잡할 텐데요. 그렇기 때문에 매수자들은 성공적인 '내 집 장만'을 위해 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들을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도 사람마다 각각 다를 것입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주거시설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내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이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실시한 ‘2022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살펴봤습니다. 주거시설 구입 시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바로 평면 구조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평면 구조를 바꾸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 잘 선택해야 하는데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에 랭크됐습니다. 최근에는 신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편리한 부대시설과 아름다운 조경시설을 자랑하는 주택이 많아지는 추세인데요. 많은 입주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밖에도 전망/조망, 단지배치/향 등 입지와 관련된 요인이 있었으며, 빌트인가구/전자제품, 인테리어/스타일 등 거주하면서 변경이 가능한 내부 인테리어 요인도 순위 안에 들어왔습니다.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주택 형태도 주택 구입 시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일 텐데요. 그렇다면 주택 구입 시 매수자들이 가장 희망하는 주택 형태는 무엇일까요? 1위는 '아파트 공화국'답게 바로 아파트가 차지했습니다. 무려 83.7%라는 비율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요. 그다음으로는 연립/다세대/빌라가 3.4%, 주상복합이 3.2%로 뒤를 이었습니다. 복잡한 아파트보다는 조용하고 여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전원주택이나 타운하우스를 선택한 경우도 있었는데요. 각각 2.4%로 공동 4위에 올랐습니다. ---------- 이상으로 내 집 장만 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누구에게나 필요한 집. 일반적으로 집을 사면 적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 동안 그 집에서 살아가게 됩니다. 그만큼 처음 살 때 조건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러분은 집을 살 때 어떤 것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 글·구성 : 박희원 기자 parkheewonpark@ 그래픽 : 홍연택 기자 ythong@ <ⓒ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코너명 및 콘셉트 도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