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Peppermint
1,000+ Views

나는 그가 걱정하기를 바랬습니다

그 사람의 왼쪽 전두엽에는 아주 커다란 무언가가 있었습니다. 누구도 그것이 무엇인지는 몰랐습니다. 그날 아침, 그의 이웃은 현관에서 소변에 젖은채로 혼란스러워 하는 그를 발견했고 그는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우리가 그의 알 수 없는 뇌 사진을 바라보는 동안 그는 자신의 침대에 가만히 누워 있었습니다. 한 레지던트는 이건 뇌졸중에 의한 세포의 괴사일리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 얼룩은 하나의 혈관이 만든 손상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컸습니다. 다른 레지던트는 이것이 다른 뇌의 부분들을 찌그러뜨리지 않은걸로 볼 때 암일 가능성도 낮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다른 부분의 형태가 비정상적이지는 않았습니다. 나는 마치 그가 자신의 뇌에 왜 커다란 하얀 얼룩이 있는지를 말해줄 수 있을 것처럼 그를 바라보았습니다. “당신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나요?” 그 역시 나를 바라보는 동안 나는 물었습니다. “나는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아요.” “어디에 있나요?” ‘그리고 당신의 머리속에 있는 건 무언가요?’ 나는 속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내가 있는 곳에 있지요.” 그가 “음성모방(echolalia)”에 걸려있다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그는 전두엽이 손상되었고 공허한 단어와 문장을 반복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당신은 병원에 있어요.” ‘그리고 당신의 MRI 사진은 마치 누군가가 커피를 쏟은 것 같답니다.’ “알겠습니다.” “당신은 왜 당신이 병원에 있는 지 알고 있나요?” “나는 왜 그런지 몰라요.” “당신은 당신이 병원에 있다는 사실이 걱정되나요?” ‘나는 그래요’ “나는 걱정되지 않아요.” 우리는 그가 암인지를 알기 위해 척수검사을 했습니다. 결과에는 일주일이 걸립니다. 그리고 척수액에 암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의 뇌에 있는 것이 암이 아니라는 보장은 되지 않습니다. 분명한 결과는 뇌의 조직검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그의 뇌를 열어 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의사들은 계획을 세웠습니다. 우리는 척수액의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그의 정신상태를 조심스럽게 관찰하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뇌졸중이었다면 그는 나아질겁니다. 암이었다면 나빠질겁니다. 며칠동안 우리는 그에게 여러 질문을 던질 것이고 작은 변화를 발견한다면 우리는 치료의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며칠동안 나의 질문을 듣던 그는 조금씩 다른 대답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신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나요?” 때로 그는 “큰 연구소”라든지, 다른 이름과 함께 “병원”이라는, 또는 “사무실 같은 곳”이라고 답했습니다. 어쨌든 그는 대답을 했고, 가끔씩 그것은 비교적 정확했습니다. 나는 그의 반응에 집착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한 말을 기억하고 전날의 말과 비교하게 되었습니다. “당신은 걱정하나요?” “나는 걱정합니다.” 이건 음성모방일까요? 아니면 감정의 표현일까요? 매일 나는 그가 걱정하기를 바랬습니다. 걱정이란 감정을 의미하며 이는 그의 전두엽이 회복되고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왜 당신은 걱정하나요?” “나는 모르겠군요.” 매일 매일 우리는 또다른 기초를 쌓는 일을 반복했습니다. 매일 매일 나는 그가 걱정하기를, 그리고 이유가 있기를 바랬습니다. “왜 당신은 걱정하나요?” ‘당신은 그렇게 보이지 않아요’ “나는 내가 아프기 때문에 걱정합니다.” “당신한테 무슨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나요?” “나는 모르겠군요.” 그는 여전히 묻지 않으면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절대 질문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지상실증(Abulia)”은 전두엽의 손상에 의한 것입니다. 하루는 그가 갑자기 내게 말했습니다. “나한테 뭔가 문제가 있어요.” 나는 정신이 바짝 들었습니다. “뭐가 문제인가요?” “나는 모르겠군요.” “그럼 뭔가가 문제라는 걸 어떻게 알았나요?” “왜냐하면 나한테 뭔가 문제가 있기 때문이지요.” 그는 병자이고, 자신이 병자라는 사실을 알았고, 그걸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인식에 있어 이런 극히 작은 진전은 그가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의사들은 희망적이 되었습니다. 간호사들은 그렇게 확신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여전히 화장실에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고 침대를 적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처음보다 덜 침대를 적시고 있었습니다. 드디어 그가 자신이 누워있는 병원의 이름을 말하는 날이 왔습니다. 그러나 같은 날 도착한 그의 척수검사 결과는 그가 악성종양임을 말해주었습니다. 나는 그의 방으로 돌아 갔습니다. 나는 나의 의사로서의 훈련에 내가 지금까지 생각지 못했던 면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것은 잔인함입니다. 나는 얼마나 많은 단어들을 그의 머리속에 집어넣었고, 그 단어들이 그의 것이라고 생각했을까요? “기분이 어떤가요?” “나는 괜찮아요.” “뭔가 당신에게 필요한게 있나요?” “나는 없어요.” “있으면 내게 말해줘요.” 나는 그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그뒤로 한 번도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그 며칠 동안 그의 답은 얼마나 바뀌었을까요? 나는 질문들을 바꾸었고 그가 답해야 할 내용들을 바꾸었습니다. 나는 그의 답에서 의미를 찾기를 바랬던 나머지 그의 인식에 나타난 작은 물결을 큰 파도로 생각했습니다. 나의 한 친구는 철학적인 말을 좋아합니다. “인생은 바다와 같지.” 우리가 그 표면을 따라 항해할 때, 우리는 바다의 깊이를 종종 무시합니다. 우리는 우리를 한 방향으로 이끄는 표면의 물결에만 주목합니다. 우리는 종종 표면의 작은 변화만을 모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환자의 회복의 물결은 그의 손상의 깊이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았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 물결에 집착하고 있었고, 이는 그것이 나아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을 따라가다가 나는 그 질병이 몇 킬로미터 깊이를 가졌다는 것을 잊고 말았습니다. 나는 그에게 그가 지금 어디있는지를 아는지 묻는 것을 멈췄습니다. 이제는 내가 알고자 했던 그 답을 알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제 그가 걱정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Scientific American) 원문 보기( http://blogs.scientificamerican.com/this-may-hurt-a-bit/2014/02/17/surfacing/ )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현재 우리나라가 극에 달한 심각한 현상.jpg
수도권 쏠림현상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역사상 처음으로 5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 오래 전부터 거론됐던 공공기관의 지방대 할당이 최근 더 구체화됨 (시행은 최대한 착오가 없게 몇년뒤라고 함 지금 준비하는 사람들은 날벼락 맞는일 없도록 한다고 함) 왜 지방대 기준이나면 지방대 하나가 폐교되면 주변상권들과 그 지역이 바로 위태로울 정도로  지방대 활성화는 굉장히 중요함 그래프처럼 취업과 교육환경 때문에 모두 수도권 서울로만 이동하고  지방에는 노인들만 남아 점점 인프라 투자도 보통이하로 내려가고 있음 특히 병원문제 심각함. 아파도 당장에 믿고 갈 수 있는 병원이 드물정도고 암환자들은 치료 때문에라도 수도권으로 옮겨야 함. 특히 아이가 아플때가 걱정돼서 지방을 꺼리는 부부들이 많아지고 이런 환경에서는 자녀가 컸을때의 교육적인 면에서는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어서 지방혐오가 점점 깊어짐. 인구가 없다, 이용할 고객들이 없다는 이유들로 예산도 떨어지지 않아 악순환만 계속돼서 특히 코로나 이후로는 지방소멸 위험지수만 계속 높아지고 있음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에 수도권만 남게되는게 자연스러울 정도 지금 이 위기와 동시에 부동산 문제, 인구분산도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책중 하나가 지방대 활성화 쉽게 말해 지방에 살면 취업도 잘되고 먹고 살 걱정없게 정책들을 만들어 지방으로 청년들이 돌아오게 만들어야 함 일각에선 역차별 문제로 반대의견들도 많지만 현실적으로 절대 피해갈 수 없고 가장 1순위로 적극적으로 밀어붙여야 하는게 지방대 할당채용 이종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