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ubon
100+ Views

В СССР секса нет

월요일은 역시 냉전이지. 이 문장은 “소련에는 섹스가 없다”는 의미인데, 이 문장이 유명해진 계기가 있었다. 공유한 링크에서는 너무 간단한 설명만 나오는데, 사실 1986년, 고르비 취임 이후 개혁 개방을 추진하던 소련은 미국과의 공동 방송을 계획한다.

그래서 6월 28일, 레닌그라드-보스턴 공동 기획, “여자들이 여자들과 말하다(Женщины говорят с женщинами)”는 제목으로 진행됐었다. 지금의 상페테르부르크와 보스턴의 스튜디오가 동시에 각자의 진행자를 두고 소련과 미국 여자들이 만담을 펼치는 토크쇼였다.

해당 영상은 아래 링크에 나온다.

В СССР секса нет (1986): https://youtu.be/0V-FSjUhxZk

소련측에서, 미국 여자들에게 아이를 기를 때 어떤 문제가 있는지 물었고, 미국측은 텔레비전 광고에 섹스가 가득하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웃었었다. 그러자 소련측에서, “소련에는 섹스가 없어요. 완전히 반대하죠.”라는 말(«Секса у нас нет, и мы категорически против этого»)이 나왔었다. 레닌그라드는 물론 보스턴 스튜디오가 모두 다 이 말에 벙쪄서 웃음꽃이 피어났고 말이다.

한 소련 청중은 “우리는 광고가 없지 섹스는 있어요”라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발언덕분에 분위기가 한결 가벼워졌고, 모두가 웃었었다.

물론 맥락은 좀 달랐다고 한다. 소련측은 원래 섹스가 없고 사랑이 있다고 표현하려 했었다고 하는데, 너무나 강려크한 문장으로 모두가 웃는 바람에 제지하거나 진행시킬 수가 없었다는 후문이다.

유튜브 링크 보시면 온갖 개드립이 만발하고 있으니 언어 공부 겸 보시기 바란다.
casaubon
3 Likes
1 Share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체르노빌/Chernobyl(2019)
체르노빌에서 일어난 일을 그대로 그려낸 영화나 드라마가 아직까지 없었다는 점이 좀 의아하기는 했는데, 다시 생각해 보면 이해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워낙에 인류 전체의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차라리 괴물이 나오는 게임이나 영화로 하는 편이 더 마음이 편해지지 않았을까. 물론 나도 체르노빌의 상황은 콜오브듀티 모던 워페어의 잠입 미션으로 배웠… 이, 이게 아니고 HBO가 이 드라마를 매우 잘 만들었다. 고증 오류가 물론 없지는 않은데(참조 1, 2), 이 복잡한 사건을 그나마 알아볼 수 있게 해 준 공이 크다. 뭣보다 우리가 이렇게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 영웅들이다. 이를테면 그냥 불 끄는 게 일이니까 달려갔다가 화를 당한 소방수와 그를 끝까지 쫓아가 임종을 지켜봤던 그의 아내, 펌프를 작동시키겠다면서 자살 행동임을 알고 발전소 하부에 진입하기를 지원한 세 명의 엔지니어들, 자기가 직접 보고 태도를 바꿔서 모든 걸 지원했던 고위 간부, 묵묵히 옥상에 나아가 폐기물들을 40초 동안만 해치웠던 “바이오 로봇”들. 그리고 뭣보다 과학자들의 활약이 돋보인다. 물론 주연급의 울랴나 코뮤크(Ulana Khomyuk/Ульяна Хомюк)는 실존 인물이 아니지만 당시 레가소프(Валерий Алексеевич Легасов)를 도왔던 수 많은 과학자들을 상징하며, 또 여성이기도 하다(참조 3). 학자들의 양심이 레가소프의 마음을 더 움직인 것은 분명할 수 있겠다(참조 4). 의외의 인물로, 마지막화에서 검찰 역할을 했던 배우(Michael McElhatton)가 반가웠다. 왕좌의 게임에서 볼튼 가문의 수장을 맡았던 그 배우다. -------------- 참조 1. 가령 광부들 장면에 대한 오류는 아래와 같다. Chernobyl: The real-life heroes of nuclear disaster watch TV hit(2019년 6월 4일): https://news.sky.com/story/chernobyl-the-real-life-heroes-of-nuclear-disaster-watch-tv-hit-11734773 광부들의 보드카 음용 -> 보드카는 언제나 업무 후에 마심 광부들의 나체 -> 몇몇 사례는 있지만 전체는 아님 총을 겨누고 광부를 모집 -> NO. 2. 그 외에도 꽤 많은 오류가 있기는 하다. 당사자의 직접 증언을 들어 보자. 이를테면 집 안의 동물들을 쏘는 장면은 극화를 위해 만들어졌다. What HBO got wrong: Chernobyl general gives hit TV show a reality check(2019년 6월 8일): https://www.rt.com/news/461348-chernobyl-disaster-tarakanov-hbo/ 3. Ulana Khomyuk From 'Chernobyl' Is Not Based On A Real Person, But Emily Watson's Character Is Important All The Same: https://www.bustle.com/p/ulana-khomyuk-from-chernobyl-is-not-based-on-a-real-person-but-emily-watsons-character-is-important-all-the-same-17304139 당시 화학 쪽 Ph.D.의 여성 비율이 소련은 40%에 육박했다고 한다. 마지막 화에 나온, 소련 과학 아카데미 학자들이 모인 재판장에서도 보면 대략 4:6 정도의 비율이다. 4. 다만 레가소프의 자살 원인은 좀 불명확스러운 부분이 있다(참조 2). 드라마에 나온대로 왕따가 된 것은 맞는데, (BBC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그의 주장/제안에 따라 소련식 원자로의 흠결을 당국이 인정하고 수정에 나서기는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드라마에는 나오지 않은 아들의 문제(사람을 죽였다)도 겹쳤고 해서 상당히 불안한 심리 상태였던 것만은 분명할 것이다. 실제로는 오디오테이프를 숨기지 않았고 그냥 남겼으며, 자살한 장소에 대해서는 (정확한 경찰 기록이 없어서인지) 논란이 좀 있다. 5. 사진은 아래 사이트에서 가져왔다. 옥상의 핵폐기물을 치우는 liquidator(ликвида́тор)들의 모습이다. 70만 명이 동원됐다고 한다. Chernobyl, remembering brave Firemen and forgotten heroes(2019년 4월 18일): https://www.emergency-live.com/news/chernobyl-remembering-firemen/
냉전기 핀란드의 조선산업
월요일은 역시 핀란드 아닐까요? 그래도 좀 심각하게 현대 한국과 핀란드의 관계를 말하자면 빠뜨릴 수 없는 주제가 바로 빌푸… 아 아닙니다. 조선업이다. 현대이든 대우중공업이든 간에 핀란드로부터 수입하는 필수 기자재(가령 엔진/발전기 세트나 전력시스템, 추진기와 기어 등등)가 없다면 한국 조선업이 스톱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겠습니다. 1970년대 이래 일본을 시작으로 한국은 유럽 주요 국가들의 조선업을 붕괴시켜온 주범이었는데, 유독 핀란드가 상업 조선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무엇이 핀란드의 조선 산업을 유지 발전시켰을까요?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겁니다. 그래서 나온 맞춤형 논문이 하나 있습니다(참조 1). 바로 스웨덴 예테보리에 소재한 샬메스 대학교 경제사 박사 Saara Matala(참조 2)가 쓴 책(…)이기는 한데 많은 의문을 해소할 수 있었다. 자, 가 봅시다. 핵심 질문은 사실 아래 한 가지이다. 핀란드는 어째서 오일쇼크+동북아시아의 공세를 버텼을까? 여기에 대해 한 마디로 답을 하자면, 소련 덕분입니다… 당연히 상식 선에서 맞다 생각하실 텐데,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소련은 핀란드의 공산화를 결코 원하지 않았다. 소련이 아무리 우주 기술과 핵을 갖고 있다 한들, 일반적인 제조업 기술이 워낙 뒤쳐졌기 때문이었다(도대체 수출규제를 뚫고 소련에 디지털 선반을 수출한 일본은…). 안정적으로 서구 기술/제품이 들어오는 민주주의 핀란드(참조 3)가 소련에게도 절실했다. 두 번째, 그래서 소련의 주문량은 많았고, 핀란드는 고용 유지와 함께 소련으로부터 나오는 자원/자본이 중요했고, 보드카는 양국 모두 풍부했다. 이게 무슨 의미냐, 정치적으로 결정되는 주문이 많았다는 의미다. 세 번째, 덕분에 핀란드는 거대한 소련 및 동구권 시장에서, 자본주의 국가로서 거의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누린다. 특히 쇄빙선과 화물선, 여객선 부문에 있어서 말이다. 북극해 혹은 북극에 바로 접한 영토/영해가 없는 핀란드인데도 불구하고, 소련은 극지 항해를 위한 선박을 핀란드가 만들어주기 바랐다. 네 번째, 미국은 이를 묵인한다. 핀란드 경제가 튼실해야 핀란드가 소련 블럭에 넘어갈 위험에 처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세 번째와 관련, 소련은 극지 개발에 대한 노하우와 정보 및 기술도 아낌 없이 핀란드에게 제공하거나 같이 개발한다. 핀란드 조선업이 더 발달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여섯 번째, 따라서 핀란드 조선소들은 은행 보증이 없이도 소련의 네 차례에 걸치는 확실한 지불 절차(계약 서명, 설계, 건조, 완성에 각각 25%씩) 대금 수납의 장점을 누렸고, 정부도 핀란드-소련 지불 시스템을 양자 조약에 기초(참조 4)해서 만드는 등 편의를 많이 제공했다. 일곱 번째, 핀란드 정부는 각 조선사들이 수출과 관련하여 카르텔이 형성되는 것을 오히려 권장했다. 그러니까 핀란드는 선박 수출에 있어서 일종의 국가 자본주의, 하나의 단일체처럼 움직였다는 의미이다. 물론 소련이 이념적 이유로 ‘카르텔’과 거래하는 걸 마뜩잖아 했기 때문에, 좀 간접적으로 움직이기는 했다. 그래서 핀란드 조선업이 쇄빙선과 같은 특정 부문 혹은 첨단 기술 엔지니어링 면에 있어서 계속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겁니다. 물론 소련이 붕괴됐을 때, 안정적으로 작동하던 동방무역 메커니즘도 같이 무너진다. 핀란드 조선업의 유지 및 부활을 위해서 핀란드는 서방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고, 특히나 조선업에 있어 온갖 정부 보조금을 뿌리는 유럽 국가들에 맞서기 위해 핀란드 스스로 EC/EU에 결국 가입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 책/논문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소련이 이빨을 드러낼 때마다 주변 국가 좋은 일을 많이 해줬다는 사실이다. 전쟁 보상 및 소련의 기술부족이 핀란드 경제 체제를 바꾸고 오히려 키워줬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인데, 소련과 러시아는 유럽의 다크나이트 역할일까? 월요일에 어울리는 핀란드 조선업에 대해 궁금한 분들에게 이 책/논문을 강력하게 권합니다. ---------- 참조 1. A history of cold war industrialisation: Finnish shipbuilding between east and west : https://www.perlego.com/book/2567146/a-history-of-cold-war-industrialisation-finnish-shipbuilding-between-east-and-west-pdf 2. 이름으로 보면 핀란드인인 듯 하다. https://research.chalmers.se/en/person/matala 3. 전쟁 직후 전쟁보상을 소련은 공작기계, 선박 이런 걸로 원했기 때문에 그 이유로라도 핀란드는 공업국가로 탈바꿈할 수밖에 없었다. 보상을 다 한 이후에도? 소련은 핀란드를 통한 안정적인 자본주의 기술 도입을 원했다. 4. 기본적으로는 물물교환 시스템에 양국의 중앙은행을 갖다 붙인 꼴이었다. 현재 러시아와 인도가 하는 무역 거래보다 좀 더 세련된 형태이다. 5. 짤방은 논문에서 인용된 신문 만평(1989년 10월 25일)이다. 핀란드를 방문한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고기나 생선 등 소비재를 쳐다보고 있는데, 코이비스토 핀란드 대통령은 바르질라 조선소의 노동자들을 쳐다보고 있다. 소련이 주문을 계속해줘야 고용이 유지된다는 의미다. 만평작가, Kari Suomalaisen(1920-1999)의 작품이다.
타르투 컴퓨터
사진은 내가 에스토니아 점령 및 자유 박물관(Vabamu)에서 촬영한 것이다. 이것이 무엇이냐,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1980년대 에스토니아에서 제작했던 개인용 컴퓨터, 타르투(Tartu, 사진은 소련에서 양산된 버전의 이름으로 쓰여 있다)의 모습이다. 그 이름처럼 타르투 대학교에서 개발했고, 원래 대학교 내에서 프로그래밍 교습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었다. 그러나 엄한 곳에 자본주의를 도입하는 소련의 성격상(참조 1), 에스토니아 SSR은 교육기관용 컴퓨터에 경쟁을 붙였고 여기에 컴퓨터 세 가지 종이 등장한다. Entel과 Juku 그리고 이 Tartu이다. 엔텔은 에스토니아와 인텔의 합성어인데 당연히 냉전 시기 인텔 칩을 그대로 들여올 수는 없었고, 인텔 칩(8080A) 클론을 사용했었다. 하드웨어 자체는 당시 노키아가 만들던 개인용 컴퓨터, Mikko 1을 본땄고 말이다. 그런데 이 컴퓨터의 최대 특징은 핀란드의 문자다중방송(텔레텍스트) 수신이었다. 그래서 이 컴퓨터를 이용해 서방 문자방송을 보는 사람들이 좀 있었다고 한다 유쿠 또한 8080A 클론이다. 교육기관 조달 경쟁에서 승리한 컴퓨터가 바로 유쿠이기는 했는데, 생산량이 조달을 충분히 할만큼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신뢰성 있는 부품 생산이 워낙 부족해서였다. 그래서 타르투 대학측이 타르투의 생산을 강행했던 것. 이 타르투는 엔텔이나 유쿠와는 좀 달랐다. 애플 II가 사용하는 자일로그 CPU 클론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다만 결국 소련 전체에서 승리한 것이 바로 이 타르투가 됐다 이 말씀입니다. 소련 전체에서 이 “타르투”를 “이스크라 1080 타르투/Искра 1080 Тарту”라는 개인용 컴퓨터로 채택하여 쿠르스크에서 생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좀 이상하게 생각하셔야 할 사항이 하나 있겠다. 도대체 왜? 소련과 같은 사회에서 에스토니아는 어째서 개인용 컴퓨터를 만들었을까? 그걸 풀어주는 국제정보처리연합의 에세이(참조 2)가 하나 있기는 하다. 이 에세이에 따르면, 소련은 당시 컴퓨터를 A 및 B의 두 범주로 나눠 개발했었고, A가 바로 국방과 우주개발에 필요한, 그러니까 “안보용” 고성능 컴퓨터가 그 목표였으며 여기에 자원과 인력이 무한대로 제공됐었다. B는 안보용이 아닌 모든 것이었고, 그에 따라 지원이 좀 적었다. 에스토니아와 같은 변방 SSR이 바로 이 B를 맡았던 것. 그런데 이게 오히려 개인용 컴퓨터 발전에 더 도움이 됐었다. 안보용이 아니니 서방, 특히 중립국 핀란드와의 인물/기술 교류가 활발히 이뤄졌기 때문이다. 발트3국이 이른바 “Soviet West”를 구성했기(참조 3) 때문이다. 그래서 이는 에스토니아 외에 라트비아 및 리투아니아의 냉전시기 IT 산업을 들여다볼 필요를 주는 셈인데, 그 이야기는 다음에 풀어보도록 하자. ---------- 참조 1. 소비에트 인테르니옛(2018년 7월 8일): https://www.vingle.net/posts/2439487 2. Computing and Computer Science in the Soviet Baltic Region : https://dl.ifip.org/db/conf/hinc/hinc2007/Tyugu07.pdf 3. 탈린의 미크로라욘(2022년 6월 21일): https://www.vingle.net/posts/4539785 4. 에스토니아의 세 컴퓨터 이야기 유쿠 : https://et.wikipedia.org/wiki/Juku_%28arvuti%29 타르투 : https://et.wikipedia.org/wiki/Tartu_(arvuti) 엔텔 : https://et.wikipedia.org/wiki/Entel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저 (지극히 주관적인 제 생각을 쓴 글입니다.) 한 편의 블랙코미디를 보는 것 같다. 이 소설은 이반 데니소비치(슈호프)라는 한 인물이 수용소에서 하루를 보내는 모습을 아무런 치장 없이 그대로 그려 내고 있다. 마치 식탐 많은 어린아이처럼 멀건 귀리죽 한 그릇을 놓고 다투는 죄수들의 모습은 웃긴 동시에 슬픔과 분노를 불러온다. 서로 상반된 감정을 한 문장으로 동시에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 이 책의 존재 이유를 설명한다.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소설이다. 전쟁에 참여해 훈장을 받기도 했던 그였지만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 쓰인 스탈린에 대한 조롱이 문제가 되어 소련의 정치범 수용소 굴라크로 보내져 8년간 수용소 생활을 겪었고 그 기간 동안 보고 듣고 겪은 것을 바탕으로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제1원에서>, <수용소 군도> 등의 작품을 써냈다. 이렇듯 파란만장한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인생에 비추어봤을 때 이 소설의 흠잡을 데 없는 현실감과 사실성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리 길지 않은 이 소설의 내용은 별다를 것이 없다. 수용소 죄수인 이반 데니소비치가 아침에 일어나 밤에 잠들 때까지 겪은 일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 하루 동안의 이야기가 솔제니친의 인생과 결부되면 그 무게가 달라진다. 허구의 인물,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에 대한 이야기지만 작가가 8년 동안 수용소 생활을 직접 겪은 인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이 소설 속 이야기가 허구를 이용해 현실을 묘사하려는 목적으로 쓰인 작품임을 깨닫게 된다. 그 지점에서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는 그 무엇에도 비할 데 없는 블랙코미디가 된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행동을 보면 웃음이 피식 새어 나온다. 추운 날씨에 일하기 싫어 어떻게든 핑계를 만들어 의무실에서 쉬고 싶어 하는 모습이나(물론 그 추운 날씨가 영하 40도를 넘나들긴 한다.) 담배 한 개비에 행복에 겨워하는 모습, 어떻게든 멀건 죽 한 그릇을 더 차지해보고자 다투고 아부하고 거짓말하는 장면, 몰래 시트에 숨겨 놓은 빵껍질이 사라질까 불안해하는 모습까지. 특히 그중에서도 멀건 귀리죽 한 그릇을 더 먹게 되자 행복감에 물들어 경건하기까지 한 자세로 죽을 말끔히 해치우는 모습은 마치 사탕 하나를 더 받고 너무나 기뻐하는 어린아이를 연상케 한다. 그러나 이야기가 점점 진행될수록 담배 하나를 얻어 피우고자, 혹은 건더기는 보이지도 않는 죽 한 그릇을 더 먹고자 이반 데니소비치가 기울이는 필사의 노력들을 마냥 유머로 받아들일 수만은 없게 된다. 의문이 들고 마는 것이다. 왜 이들은 이 열악한 수용소에서, 바깥에서는 먹지도 않을 멀건 죽 한 그릇을 먹기 위해서 이토록 필사의 노력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형식적으로 말한다면, 슈호프가 수용소에 들어온 죄목은 반역죄이다. 그는 그것이 사실이라고, 또 일부러 조국을 배반하기 위해 포로가 되었고, 포로가 된 다음 풀려난 것은 독일 첩보대의 앞잡이 노릇을 하기 위해서였다는 사실도 인정했다. 그러나 어떤 목적을 수행할 계획이었는지는 슈호프 자신도, 취조관도 꾸며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냥 목적이 있었다는 것만으로 결정을 내렸다.' (p.83) 이반 데니소비치는 자신도 이유와 목적을 모르는 반역죄를 뒤집어쓰고 이 수용소에 수감되어 온갖 열악한 환경과 불합리한 대우와 고된 노동을 감수하며 10년의 형량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 10년의 형량이 끝나고 수용소 밖으로 나갈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며, 온 힘을 다해 수용소 생활을 견뎌내고 있던 이반 데니소비치. 죽 한 그릇에 거의 목숨을 거는 이반 데니소비치의 모습은 분명 기묘하고 웃기지만 그 행동의 밑바탕과 근원에 깔린 당시 러시아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상황이 되고 만다. 독자는 스탈린의 독재 체재 아래 얼마나 많은 이들이 누명을 쓰고 수용소로 보내졌는지, 열악한 수용소에서 죄 없는 이들이 몇이나 죽어 나갔는지, 불합리하고 비정상적이고 말도 안 되는 일들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자행되어 왔는지를 이반 데니소비치와 수용소 안 인물들의 하루를 통해 들여다보게 되는 것이다. 이 소설이 고전이자 명작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독자들이 당시의 러시아 상황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방식에 있다. 솔제니친은 자신이 8년간 수용소 생활을 겪었음에도 당시의 분노와 좌절, 복수심을 접어두고 철저히 객관적인 거리에서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그린다. 만약 글 속에 스탈린의 독재에 대한 통렬한 비판, 불합리하고 비정상적인 공산주의 독재 체제에 대한 분노, 억울한 수용소 생활에 대한 복수심이 직접적으로 거론되었다면 이 소설은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고전으로 남아 있지 못했을 것이다. 솔제니친은 담담하게 한 수용소 죄수의 하루를 그림으로써 독자들이 스스로 당시의 소련 상황에 대해 생각하고 의문을 제기하고 판단하도록 만든다. 말하자면, 잘못을 저지른 누군가에게 당신이 한 일은 잘못됐다고 날 선 비판의 말을 쏟아내는 것이 아니라 그가 저지른 일로 인해 벌어진 결과를 그대로, 가감 없이 눈 앞에 보여준 것이다. 전자와 후자 중 어떤 방법이 당사자가 자신의 잘못을 돌아보도록 만드는 데 더욱 효과적인지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후자이며, 솔제니친은 그보다 더 치명적일 수는 없는 비판을 후자의 품위 있는 방식을 통해 당시 소련의 권력자들, 정치인들, 그리고 스탈린에게 가한 것과 다름없다.(소련 정부와 소련 작가 연맹은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솔제니친에게 노벨상을 포기하던가, 아님 전향이나 추방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경고하는 찌질함을 보여준다. 솔제니친은 결국 소련을 떠나 노벨상을 수상한다.) 작가로서 당시 소련 사회에 세련된 방식으로 통렬한 비판을 가한 그의 인생에 박수를 보낸다. 위에 인용한 소설 속 문장을 보면 이보다 더한 블랙코미디가 있을까 싶다. 아무도 반역의 목적을 모르는 반역죄라니. 심지어 죄를 지은 당사자조차도 모른다. 더 웃픈 건 이러한 일들이 고작 100년도 안 된 과거에 수없이 벌어졌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는 늘 눈을 뜨고 귀를 열고 주변을 살펴야 한다. 언제 내가, 혹은 당신이 이반 데니소비치가 될지 모른다. 소설 속 한 문장 봐라, 지금 슈호프는 사백 그램의 빵과 이백 그램의 빵을 차지한 것이다. 게다가 침대 시트에 이백 그램짜리 빵이 하나 더 있다. 더 이상, 뭘 더 바랄 것인가? (p.184)
실루엣
사진은 에스토니아의 디자인 박물관에서 촬영한 에스토니아 SSR, 그러니까 구소련에 속했던 시절의 패션 잡지인 Siluett을 촬영한 것이다. 에스토니아가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부분이 이런 곳에서 나온다. 여러번 이야기하지만 여기가 바로 “Soviet West”에 속했기 때문이다. 당연히 공산진영의 패션 중심지는 소련/러시아였고, 그중에서도 레닌그라드(참조 1)였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넓은 소련 땅에서 딱 레닌그라드만? 하는 의문도 들 수 있을 테고, 소련은 애초에 연맹패션하우스(Общесоюзный дом моделей одежды)라는 조직체를 세우고, 각 SSR 혹은 대단위 지역별(가령 레닌그라드)로 하부 패션하우스들을 설립해서 소비재 진흥을 추진했으니 당연히 “튄” 사례가 있었으리라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에스토니아 탈린패션하우스(Tallinna Moemaja)가 딱 그 사례였다. 여러가지 우연이 겹친 사례인데, 한 번 봅시다. “소비에트 웨스트”가 지리적으로도 그렇고, 주관적으로도 소련 내 나머지 사람들이 그런 인상을 가졌다는 면부터 지적하겠다. 에스토니아의 주류를 구성하는 에스토니아인들은 장신의 금발이 많다. 뭔가 북유럽스러운 이미지라는 얘기로서 에스토니아 모델들이 소련 내 곳곳에 가서 러시아어를 말할 때 놀라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제는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소련은 서구 문화를 동경했다는 사실을. 두 번째, 에스토니아 지역 자체가, 당시 핀란드의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었으며, 특히 더(이 부사를 쓰는 이유를 여기서는 생략하겠다) 특별한 중립국 관계인 핀란드로부터 관광객을 자유로이 받았었다. 최신 트렌드를 관찰하기 쉬웠다는 얘기다. 심지어 잡지 실루엣은 핀란드인 패션 사진사를 고용하여 사진촬영을 하곤 했었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세 번째, 러시아계도 러시아계이지만 에스토니아계의 유럽 내 디아스포라가 만만치 않았다. 이게 다 세계대전의 업보이기는 한데, 이들이 보내는 잡지나 물품들이 많았다. 그런데 소련 치하 당시라면 검열을 하지 않았을까요? 물론 했습니다. 여기서 탈린패션하우스의 영리한 선택이 하나 나온다. 에스토니아 관세당국과 결탁한 것이다. 뭔가 사상적 불손함이 있는 잡지나 물품이 있으면 패션하우스 직원이 출동해서 압수하는 것으로 말이다. 게다가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의 에스토니아 역시 관리자급까지 가면 거의 씨족사회에 가깝다(현재 인구는 약 140만명). 서로서로 다 안다는 이야기이며, 부탁을 거절하기 힘들다. 요행히 반출이 된 잡지나 물품들은? 때가 되면 다들 버리지 않고 중고품점에 갖다 팔던 때가 바로 소련 시절의 에스토니아였다. 워낙 물자가 귀하기도 했거니와, 서구에서 가져왔다 하면 높은 값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탈린패션하우스는 정기적으로 중고품점에 직원들을 돌려서 모조리 다 관련 잡지나 물품을 사들였다. 이런식으로 행동을 하니, 검열을 거친 이후에나 서구 잡지의 열람을 허용하는 모스크바 중앙 패션하우스의 통보를 기다릴 필요가 없었다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이 사실은 소련 내에 이미 좀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에스토니아처럼 할 여력이 없는 이들은 자기네 SSR에 있는 패션하우스 직원들을 탈린으로 출장보내기 일쑤였다. 레닌그라드나 모스크바가 아니고 말이다. 그래서 탈린패션하우스가 내놓은 대표적인 히트상품이 바로 이 잡지 되시겠습니다. 공산권의 패션하우스들이 아주 소수 엘리트들의 오트쿠튀르 역할을 한 것 외에, 아무리 노력해봤자 성과급이 나오지 않은 체제인지라 각자 다른 것으로 수입을 좀 올려야 했었고, 탈린패션하우스 입장에서 잡지는 가장 잘 선택한 수단이라 할 수 있었다. 위에 말한 이유들 외에, 사진에서 보시면 아시듯, 실제 착용 사진과 함께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다. 이는 DIY가 필수적인 소련 내 소비자들을 위해서라 할 수 있었다. 잠깐, 소련 소비자라고요? 동 잡지 실루엣은 에스토니아어 판과 함께 러시아어판도 동시에 제작됐었고, 한창 시기에는 에스토니아어판 5만 부에, 러시아어판 30만 부까지 이르렀었다고 한다. 물론 소련 당국의 “어른의 사정”에 따라 러시아어판 제작 부수에 제한(러시아 패션지인 МОДЫ보다 전체 부수가 적어야 했다)이 있었지만 말이다. 그러니 “소비에트 웨스트” 아니겠습니까? 머나먼 극동에서도 문의 서한이 오고, 불가리아에서는 동시에 발간이 됐으며, 동독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심지어 쿠바에도 수출됐었다. 그렇다면 수익이 많았겠네? 탈린패션하우스 수익의 60% 이상을 실루엣이 벌어들였다고는 하지만, 그 수익이 실루엣의 진짜 매출에 따른 수익은 아니었다. 정부 부처인 경공업부에서 모든 수입을 정리한다음 나눠주는 수익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구조는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 실루엣을 지속이 불가능하게 몰아갔다. 모든 수입이 완전히 끊겼기 때문이었으며, 실루엣은 그때 이후로 등장하지 못한다(참조 3). 문 닫을 때까지 거의 수작업에 의존했다고 하는 실루엣에 경의를 표한다. 마지막으로 소련이 탈린패션하우스의 잡지 제작을 좀 관대하게 봐줬던 이유 중에 하나가 유머에 가깝다. 잡지 발간(1958년)부터 오래 편집장을 지낸 사람 이름이 Anita Burlaka였기 때문이다(참조 4). 믿거나 말거나죠. 주말 특집이었습니다. ---------- 참조 1. 패션 레닌그라드(2021년 1월 15일): https://www.vingle.net/posts/3538253 2. 탈린패션하우스 이야기는 다음의 책에서 많은 내용을 인용했다. Fashion Meets Socialism: Fashion Industry in the Soviet Un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By Jukka Gronow and Sergey Zhuravlev (Helsinki: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15. 303 pp. $28.00) -> 지금은 $45에 팔고 있다… 3. Siluett aitas Nõukogude Eestis naiseks jääda (1)(2003년 12월 6일): https://elu.ohtuleht.ee/149963/siluett-aitas-noukogude-eestis-naiseks-jaada 4. 부를라카(Бурлака)가 러시아 혹은 우크라이나 계열 성씨이기 때문이다. 아니타 부를라카는 러시아인이 아니고 남편이 우크라이나인이어서 성을 부를라카로 바꿨을 뿐이었다. 소련 당국에서는 “러시아인”이 수장으로 있으니 알아서 잘 하겠거니… 했을 것이라는 의미다.
소련의 마지막 흔적, .su
https://www.inverse.com/article/8672-the-bizarre-afterlife-of-su-the-domain-name-and-last-bastion-of-the-ussr?fbclid=IwAR0P9wAMznxW2COywsfR3ZZVPou0UfNXOZTUL300OyaX13kBDaXTlinFaiw 역사는 이상한 방식으로 그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 이번 주말 특집은 지금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국가, 소련의 최상위 인터넷 도메인 .su의 이야기이다. 나라 이름에 따른 인터넷 주소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산하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에서 지정한다. 이 IANA는 1988년에 설립됐으며, 곧바로 여러 나라들에게 이 주소 저 주소를 할당하기 시작했었다. 그래서 소련도 1990년 9월 19일, .su 주소를 받는다. 당연히 소비예트 유니온의 준말이다. 소비예트 유니온의 준말이라니, 차라리 .ussr이 낫잖을까 싶기도 한데, 애초에 .su 도메인을 제안했던 인물은 소련인도 아니고 19살 먹은 한 핀란드 대학생이었다고 한다(참조 1). 그런데… 그로부터 15개월 후, 소련이 분리되어버린다. 정말 막바지까지 그 강대한 제국이 무너질지는 아무도 예상치 못 하던 차였다. 그런데 이 su 주소는 끈질기게 지금도 살아남아 있으며 실제로 작동은 물론 새로운 주소 등록도 받고 있다(참조 2). 잠깐, 그때 무너진 국가는 소련만이 아닐 텐데요? 좋은 지적이다. 유고슬라비아는 .yu, 동독은 .dd(독일민주공화국의 약자다, 서독은 참고로 독일연방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는 .cs였다. 이들 모두 사라졌으며, 신규 등록을 받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su 도메인은 어떻게 살아남은 것일까? 러시아의 음모일까? 의외로 살아남은 이유는 행정지체(…) 및 저항(!)이었다. 러시아의 도메인인 .ru가 1994년이나 되어야 등장했기 때문이다. 즉, 소련 붕괴 이후 인터넷 사이트를 만들려는 구-소련계 주민/법인들은 어쩔 수 없이(?) .su 도메인을 이용해서 등록해야 했으며, 이왕 살아 있으니 계속 살려야 한다는 IANA 내 러시아계 직원들의 저항 때문이었다. 게다가 러시아 내 인터넷 주소 할당을 위해 2001년부터 활동한 러시아공공네트워크연구소(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звития общественных сетей (РосНИИРОС))는 .ru는 물론 .su도 관리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현재 .su를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주소는 119,423개소가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라도 없는데 누가 이 .su를 사용하고 있느냐, 쏘오련에 대한 향수를 갖고 있는 이들인가(참조 1의 .su 도메인), 아니면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단체의 웹사이트인가(참조 3), 그것도 아니면 푸틴을 옹호하는 외곽 청년조직, “우리들(Наши, 참조 4)”인가? 수많은 사이버 범죄단체들이 이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참조 5). 스팸과 DDoS 공격, 인터넷 사기범들이 사용한다는 얘기다. 이들의 활동은 단순 사기에 그치지 않고 미국 선거 개입도 한 모양(참조 5). 가령 Exposed.su는 트럼프와 밋 롬니, 미셸 오바마 등의 신용 내역을 누출했다고 한다. (사이트는 현재 사라졌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su 주소가 사라지는 일은 러시아가 있는 한, 없을 것 같다. 생각해 봅시다. 발해 부흥운동은 거의 200년을 갔었다. 영국인들의 .eu 도메인 요구 또한 20년은 더 갈 수 있으며(참조 6), 소련에 대한 향수는 분명 대를 넘길 것이다. -------------- 참조 1. Юбилей Рунета: 10 лет назад финн Петри Ойала зарегистрировал домен .su(2000년 9월 19일): https://web.archive.org/web/20140102191207/http://netoscope.narod.ru/news/2000/09/19/312.html 애초 소련의 유닉스/데모스(ДЕМОС) 망은 중립국(!) 핀란드를 통해서 서방과 연결됐었고, UUCP(전송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소련과 세상을 이어준 것이 바로 핀란드 대학생, Petri Oyala였다. 참고로 실제 관여자들의 증언은 다음의 사이트에 자세히 나온다. (.su 도메인!) 

http://news.demos.su/private/demos.html 2. 새로운 su 주소 등록, 1년에 PayPal로 $29.95 밖에 안 한다!: https://www.register.su 3. 새로운 로씨야! https://novorossia.su 4. 원래는 http://www.nashi.su 이지만 사이트는 현재 사라졌다. 열람을 원하시면 아카이브를 통해서 보셔야 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120313181921/http://nashi.su/ 5. USSR's old domain name attracts cybercriminals(2013년 5월 31일): https://phys.org/news/2013-05-ussr-domain-cybercriminals.html 6. UK citizens might lose .EU domains after Brexit(2018월 3월 30일): https://www.engadget.com/2018/03/30/europe-brexit-eu-domains/
러시아의 1917년 성평등 혁명
여성의 날 특집, 러시아 혁명이다. 보통 러시아 혁명 하면 1917년에 두 차례(2월과 10월) 있었던 혁명만을 기억하지만, 한 가지가 더 있었다. 성 혁명이다.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이, 20세기 초의 시각에서 볼 때 정식으로 여군을 조직하고 그에 따른 지원태세를 국가적으로 갖춘다는 생각을 다른 나라들은 별로 안 했기 때문이다. https://www.calvertjournal.com/features/show/8302/revisiting-revolution-sea-change-female-sailors-gender-1917 이게 무슨 말이냐, 당시 막 태어났던 사회주의 러시아는 케렌스키(Александр Фёдорович Керенский)의 명에 따라 러시아군, 심지어 해군 내에 여군으로 이뤄진 부대의 설치를 해낸다. 러시아에 여군이 없었던 바는 아니다. 이미 예카테리나 시절에도 여군으로 이뤄진 중대가 1787년 설립됐다고는 하지만 오래가지는 못 했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자원 형식으로 수 많은 여군이 전선에 참여했었다. 즉, 이 정도 했으니 정식으로 군대에 여자를 받아들여도 되겠다는 인식이 당시 소련 사회에 있었다는 의미다. 그래서 여군을 위해 바지 착용도 허용된다. 비슷한 시기 자전거를 타는 여자들의 바지 착용도 프랑스 사회에서 문제삼았음(참조 1)을 아시면 놀라울 정도인데 당시 러시아는 해군 군복을 사이즈만 좀 조정해서 그대로 여군용으로 만들었었다. 얼핏 보면 남녀가 구분이 안 갈 정도였다. (휘장/cocardes과 견장/epaulette만 안 달았다고 한다.) 이들은 지금도 러시아 북방함대 기지가 있는 북극 근처의 콜라 만(Кольский залив)으로 배치됐는데, 일단 대중의 호기심을 받은 덕분에(?) 전문 기자가 배치되어서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다행히 사진으로 남겼다. 그런데 이건 좀 사연이 있었다. 다른 해군 기지들이 여군을 안 받으려 했기 때문에, 만성적으로 자원자가 부족한 북극 근처로 보낸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해 10월에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 때문에, 여군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은 불가능했다. 케렌스키에서 레닌으로 정권이 바뀌었으며, 기존의 여군은 유니폼을 반납하고 비서나 잡역, 요리사가 되었다. 그래도 한 가지는 증명됐다. 여군을 훈련시켜서 군대에 배치하는 실험이 성공했다는 점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이 여군을 얼마나 잘 활용했는지는 잘 아실 것이다. 공산당이 정권을 접수한 1920년대 이후, 소련은 정식으로 여군을 해군 사관학교에서도 받기 시작했고 실제로 그들을 함선이나 해군항공기 조종사로 배치시켰다. 이들은 공산주의가 애초에 그렸던 “여성의 아름다움”과도 맞았다. 남자의 옷차림과 같은 패션 및 헤어스타일도 인기를 끌었었다. 짧은 머리에 자유롭고 속박되지 않은 스타일, 모자, 가슴을 가리는 두툼한 재킷, 허리를 잘록하게 하는 가죽 허리띠… 그렇다. 그래도 20년대 소련 여자들이 치마만은 포기하지 않았다. 게다가 한 가지 더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면서 같은 해 동성애를 형법에서 폐지한 것이다. 심지어 정보 및 비밀경찰을 맡았던 소련 국가정치총국(ГПУ) 직원 중에, 남자 직원으로 등록해 들어온 여자 직원도 있었다. 그녀는 1918년부터 비밀경찰에 복무하면서 남자 옷을 입고 남자처럼 얘기했으며 동료들 중 누구도 그녀의 성을 의심하지 않았었다고 한다. 심지어 1922년에는 한 여자와 결혼하고 입양아도 한 명 들인다(참조 2). 게다가 불륜까지 저지르고, 여자인 점이 발각나서 “자연에 거스르는 죄”로 소송까지 당했지만, 당시 소련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결혼도 그대로 유지시킨다. 그녀는 술을 입에 대기 시작하고, 여러 여자들을 괴롭힌 죄로 체포도 여러 번 당한다(뭔가 러시아 남자스러운 결말이다). 여담이지만 동성애의 경우 스탈린이 다시 형법 안에 포함시켜서 유죄로 만들었고, 1991년 옐친 때 이르러서야 다시 형법상 죄에서 사라진다(참조 3). 즉, 1917년에서 스탈린이 집권하기 전까지, 여자는 물론 동성애 커뮤니티에서도 짧다면 짧다 할 수 있는 ‘혁명’ 기간을 거친 셈이다. ------------- 참조 1. 여성을 해방시킨 자전거의 힘(2019년 10월 18일):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15 2. https://books.google.co.kr/books?id=kF-CDAAAQBAJ&pg=PA121&lpg=PA121&dq=Evgeniya+Fedorovna&source=bl&ots=eUVq_I8noE&sig=ACfU3U2_EoDLQ7GnBcxpuph86KuYnY877A&hl=ko&sa=X&ved=2ahUKEwiY0Y_QnYroAhWJE4gKHWN5CakQ6AEwA3oECAoQAQ#v=onepage&q=Evgeniya%20Fedorovna&f=false 3. 1917 Russian Revolution: The gay community's brief window of freedom(2017년 11월 10일):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41737330
러시아의 경제정책 구조 연구
주말은 역시 논문이죠? 굉장히 좋은 논문을 하나 봤다. 원래 미국 서부의 Berggruen 연구소 연구위원, Yakov Feygin 박사(참조 1)가 영어로 쓴, “Persistent factors in Russian economic policy”라는 논문이 있는데, 저널 심사 중 프랑스의 고급(!) 웹진, Le Grand Continent가 프랑스어판으로 내버렸다(참조 2, 구독자 전용이다). 말그대로 러시아 경제정책의 구조가 어떠한지 역사적으로 보는 내용인데, 이게 우리나라에도 뭔가 궤가 맞다는 느낌적 느낌이 들더라 이거다. 이 논문을 요약해 보면 이렇다. 러시아 체제에는 두 가지 흐름이 존재한다. (1) 체제를 지탱하는 서구식 지식을 갖춘 공무원 집단과 (2) 특별한 문화와 전통을 가진 러시아로서, “경제 동원”을 하면 된다는 지도자들이다. 그리고 이 구분은 현대 러시아만이 들어가지 않으며, 제정 러시아와 소련, 현대의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일관성을 보이고 있다. 풀어 봅시다. 이게 다 러시아가 선진산업국가가 아니었고, 소련 당시도 아니었으며 현대의 러시아는 더더군다나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다. 쉽게 말해서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개념, 동도서기(東道西器)가 반드시 동아시아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러시아도 일종의 동도서기를 도입하기에 생겨나는 일이었다. 기존 체제를 흔들지 않은 채로 산업화를 하고싶어했기 때문이다. 이게 바로 푸틴이 나비울리나 총재(참조 3)를 계속 임용하는 이유 중 하나일 테고, 실제로 위의 범주 (2)에 속하는 반동주의자 임용을 푸틴 스스로가 거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경제 동원”을 거론하는 유력 인사들은 예전에도 많았고 지금도 많다. 그래서 푸틴이 어떤 모델을 따르고 있느냐. 사실 현대 러시아 지도자들이라면 모두가 그러하듯 결국 스탈린 모델이다. 고정자본에 대한 투자와 공공소비의 억제, 그리고 정치적 억압이다(바로 이 모델이 동아시아 국가들과 다르지 않다 이겁니다). 이를 위해 정치적으로 순수하게 위를 따르는 고분고분한 엘리트들이 필요했다(참조 4). 그러나 다들 아시다시피 스탈린이 구축한 소련 경제, 그리고 러시아 경제는 커다란 문제점을 안을 수 밖에 없다. 소련(그리고 러시아)은 흔히들 교과서에서 얘기하는 계획경제 체제가 아니었고 가격은 존재하되 몇몇 국영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하고 끊임 없이 정부가 개입하는 과점 체제였다. 뭔가 기시감을 느끼시겠지만 말을 하지는 맙시다. 이게 소련이 멸망하고 옐친이 집권한 초기에 기회가 잠시 생겼었다. 그러나 옐친은 곧 화이트하우스(러시아 하원)을 탱크로 포격한다. 이를 뒤이은 푸틴도 마찬가지, 결국은 제정 러시아 이래의 유구한 전통이 다시 재정립됐다. 경제 및 헌법에 자유주의적 사상이 들어가긴 했지만 그냥 텍스트가 들어간 것 뿐이라는 얘기다. 옐친과 푸틴은 지배 집단에 도전하지 않는 재벌들만을 허용했다. 중산층 이상의 엘리트들은? 영혼이 없이 살아야 했고 말이다. 이런 체제에서는 부패가 정권의 기능이자 국가의 윤활유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오직 허용되는 건? 특별한 문화와 전통을 가진 러시아를 향한 서구의 음모 강조이다(참조 5). 이를 위해 러시아 내 (모든 의미로서의) 자원을 “동원”해야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나비울리나 총재는 계속 일을 하고 있고, 역설적으로 푸틴은 “돌다리를 두들기고도 건너지 않는” 인물이다. 아직 “풀 동원”을 선택하지는 않았기 때문이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장기전으로 이끌면 된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여서다. 그래서 결론은? 이제까지는 잘 버텨왔는데, 앞으로는 모르겠다 이겁니다. 이전의 위기들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막말로 해외에서 러시아로 흘러들어가는 자본 때문에 버텼다. 하지만 올해 아마 하반기부터는 그게 정말 쉽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군사적으로 러시아가 이렇게 못싸울지 아마 자기들 스스로도 몰랐던 것 같다. 그렇다면 “풀 동원” 체제로 가야 할까? 자, 풀 버전은 아무래도 논문을 읽으셔야 할 텐데, 경제 체제 관점에서 러시아사를 보는 것 자체가 나로서는 대단히 신선했다. 게다가 “동원”에 대한 집착이 이게 꼭 러시아에만 해당되는 것만이 아닌지라 답답한 감정도 있었고 말이다. ---------- 참조 1. https://www.berggruen.org/people/yakov-feygin/ 2. Structure de la politique économique dans la Russie de Poutine(2023년 3월 8일) : https://legrandcontinent.eu/fr/2023/03/08/structure-de-la-politique-economique-dans-la-russie-de-poutine/ 3. 러시아산 가스대금 지불하기(2022년 5월 24일): https://www.vingle.net/posts/4475410 4. How Putin’s technocrats saved the economy to fight a war they opposed(2022년 12월 6일): https://www.ft.com/content/fe5fe0ed-e5d4-474e-bb5a-10c9657285d2 5. 이를테면 매들린 올브라이트가 러시아의 붕괴 계획을 비밀리에 세워놓고 실천하고 있다는, 전직 KGB의 심령학자(??) 증언이 있는데, 그런 음모론들이 진지하게 먹히고, 논의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Голоса в их головах(2015년 6월 24일): http://svpressa.ru/blogs/article/125815/ 6. 사진 출처, Le siège de la Russie provoque l'envolée du rouble(2022년 5월 23일): https://www.lesechos.fr/finance-marches/marches-financiers/le-rouble-la-devise-forte-dune-russie-assiegee-1408839 아무래도 이 사진이 나비울리나 총재의 제일 간지 넘치는 사진이다. 사실 참조 3번 링크의 사진과 동일하다.
탈린의 미크로라욘
사진을 보자. 에스토니아 탈린에 있는 건축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으로서, 탈린 도시건축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사진이다. 이게 무엇이냐, 바로 미크로라욘/Микрорайон이 에스토니아에서 처음 등장한 구역의 조감이기 때문이다. 사진을 좀 더 설명하자면(실제 조감에는 러시아어만 쓰여 있다), 1959년에 디자인하고 1962년에 만들었으며, 탈린의 Mustamäe 지구의 건축 계획이라 쓰여 있다. 바로 여기가 에스토니아 미크로라욘의 첫 번째 대상으로서, 이상적인 소비에트 모더니즘 건축의 출발지점이라 할 수 있었다. 이 지구는 9개의 미크로라욘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중앙에 거대한 학교와 운동장을 놓고, 중앙을 중심으로 거주지역과 4-6개의 유치원, 우체국과 상점, 공중 사우나 등을 포함한 상업지구와 놀이터를 포함한 녹지가 뻗어 있다. 이 소련의 미크로라욘에는 원칙이 하나 있었다. 모두 걸어갈 수 있는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미리 제조된 콘트리트(Soviet -1-464 표준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었다. 그래야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건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크로라욘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1920년대였으며, 전쟁 이후인 195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확장하는데, 이때가 마침 소련 경제 부흥기였고, 아파트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소련 당국은 여기저기 SSR에 미크로라욘을 건설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바로 에스토니아 무스타마에 지구가 등장한 것. 탈린 시 중앙은 지은지 천 년이 넘는 중세 타운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크로라욘 대상지구는 중심지로부터 좀 남쪽으로 떨어져 있다. 소련이 얼마나 이 미크로라욘에 열정적이었냐 하면, 당시 건축가들이 (중립국가들인) 핀란드나 스웨덴에 가서 배워오도록 출장을 허용하기도 했었다. 그래서 에스토니아 건축연맹 회원 절반이 핀란드를 다녀왔다고 한다. 핀란드 건축가들도 에스토니아를 갔었고, 결국은 영국에서 태어난 전원도시운동(Garden City movement)이 발트 국가들에도 전달됐었다. 그러나… 이 미크로라욘은 사회주의 개념이다. 그래서 인당 거주면적이 정해져 있었고(9.5 제곱미터) 대부분은 5층짜리 건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했지만 모든 사회서비스 및 상업지구가 걸어서 500m 안에 있어야 했다. 현재의 탈린시를 생각하면 미크로라욘 개념이 더 나았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인데, 올드타운 및 지금 당장 우후죽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중인 해안가 아파트단지 사이가 너무 넓기 때문이다. 참, 한 가지 특징은 지금도 남아 있다. 상업지구 건물들이 모두 보도블럭 안에 모여있다는 점인데, 주된 도로와 좀 떨어져 있는 형태다. 이건 서울 성수동과 매우 유사한 분위기의 탈린 핫 플레이스인 Creative City(중앙기차역 부근이다)도 마찬가지더라. 다만 내가 아직 에스토니아 가정을 방문해본 적은 없어서… 아파트가 실제로 어떤지는 잘 모르겠다. 소비에트 개념이 남아 있다면 공공 구역은 극대화되고, 개인 구역은 최소화시키는 방식일 텐데 아마도 독립 이후에는 달라졌을 듯 싶다. 결론은, 에스토니아를 비롯하여 발트 지역 국가들이 주택단지 조성에서부터 서방의 영향을 꽤 많이 받았다는 점이다. 비록 구역 구분 자체는 소련의 개념인 미크로라욘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말이다. 즉, 발트 3국이 소련 입장에서 일종의 “Soviet West”를 구성하고 있고, 그 때문에 소련 붕괴 이후 급속도로 서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겠다. ---------- 참조 1. 사진 촬영 장소는 에스토니아 건축박물관 : https://www.arhitektuurimuuseum.ee/en/ 2. 논문은 두 가지를 참고했다. Housing Estates in the Baltic Countries 안에 있는 “Collectivist Ideals and Soviet Consumer Spaces: Mikrorayon Commercial Centres in Vilnius, Lithuania and Tallinn, Estonia” :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030-23392-1_14 A Soviet West: nationhood, regionalism, and empire in the annexed western borderlands :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0905992.2014.956072?journalCode=cnap20 3. 위키피디어 및 기사 무스타메 지구 도시 개발 : https://et.wikipedia.org/wiki/Mustamäe_linnaosa_linnaehituslik_kujunemine 현대 무스타메 지구의 개발 : Mustamäe uus tulemine ja jätkuvalt kõrged ehitusmahud(2021년 3월 4일): https://favorte.ee/uudised/mustamae-uus-tulemine-ja-jatkuvalt-korged-ehitusmahud 마이크로라욘 : https://en.wikipedia.org/wiki/Microdistrict
위성을 훔쳐라
주말은 역시 소련이죠. 주말 특집, 저 위성을 훔쳐라이다. 이게 무슨 비유법처럼 뭔가 다른 의미가 있는 문장이 아니다. 말그대로 인공위성을 훔친다는 이야기인데, 때는 1950년대 냉전 시기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미국은 소련의 인공위성을 훔쳤다. 말그대로. 도대체 이게 무슨 이야기인가, 폰 브라운 등등이 미국에 건너가서 우주개발을 해 준 것 아니었느냐라 할 수 있을 텐데 2019년까지는 다들 그렇게 알고 있었다. 드디어 기밀 해제가 되어(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불명확한 부분이 많이 있다) 세상에 알려졌고, 그 내용을 MIT Technology Review에서 보도했었다. 한 마디로, 인공위성을 훔친 덕분에 미국은 우주 개발에서 중대한 진전을 거둘 수 있었다. 기사 링크(구독자 전용이다) , Lunik: Inside the CIA’s audacious plot to steal a Soviet satellite(2021년 1월 28일): https://www.technologyreview.com/2021/01/28/1016867/lunik-cia-heist-steal-russian-satellite-space-us-ussr/ 1957년 스푸트니크 1호(Спутник-1)가 성공한 이래 미국은 우주개발에 있어서 계속 죽을 쑤고 있었다. 사건이 있었던 1959년 그 해에도 달 탐사선, 루나-3호(Луна 3)가 달로 가서 달 뒷면 촬영 사진 17장을 보내오는 것까지 성공시켰었다. 이제 막 대기권에 위성 띄우는 것 정도만 성공했던 미국은 계속 패배감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고 말이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 공포에 사로잡혔다고 한다. 50년대 말 미국 시각으로 볼 때, 소련이 저렇게 자유자재(?)로 위성을 쏘고 한다면 결국 자유자재로 하늘에서 미국 본토를 폭격할 수 있지 않겠냐는 두려움이었다. 경보음이 울리면 책상 밑으로 몸을 숨기는 훈련을 하던 시절임을 기억하시라. 그런데 루나의 결과가 자랑스러웠던 소련은 위성을 갖고, 전세계 순회 전시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한다. 당연히 미국도 들리는 일정이었으며, 미국에서 전시했을 때, 이들이 전시한 “루나” 위성이 진짜임을 CIA가 확인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차마 미국 땅에서 위성을 훔칠 생각은 CIA도 못 했었다. 그러나 다음 행선지가? 멕시코였다. -------------- 멕시코라면 작전을 벌일만 하지. 당시 멕시코는 미소 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중이었으며, 따라서 미소 둘 다 스파이를 잔뜩 보내는 국가였다. 소련은 또한, 사회주의 소련의 위대함을 전시하기 위해 망치와 낫(…)은 물론 가죽코트, 현미경, 핵발전소와 가속기 모형(!) 등 온갖 물건을 다 갖고 왔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소련에게 발각되지 않은 채 인공위성을 훔치느냐… 당시 필름 카메라 플래시 기술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두운 곳에서의 촬영을 위해 강력한 플래시를 사용해야 하는데, 당시 플래시는 한 번 촬영을 하고 나면 30초 정도는 기다려야 다음 촬영을 할 수 있었다. 즉, 발각되지 않은 채 돌려주려면 밤-새벽 동안 확보해서 촬영을 여유있게 한 다음에 돌려주는 편이 최선이었다. 소련측은 전시회가 끝나는 마지막 날 밤에 호텔에서 성공 파티를 할 계획이었다. 그래서 CIA는 여기에 일단 미녀들을 단체로 투입, 칵테일에 집어넣을 LSD도 조달했다. 그러고나서 인공위성을 나르는 트럭을 납치해야 했었다. 다른 화물 트럭과 떨어뜨리기 위해? 일부러 교통체증을 유발시켜서 트럭을 납치했다. 소련 병사들은? 미녀들이 있는 호텔 파티장에 있었다. 성공리에 납치한 루나 우주비행체를 이제 대기하고 있던 CIA 엔지니어팀이 분해하기 시작했다. 유압기나 전자 시스템, 밸브, 유류 등등 그들이 연구해야 할 분야가 한 둘이 아니었다. 발자국을 남기지 않기 위해 그들은 신발을 벗고, 올라섰다. 촬영을 마친 필름은 대기하고 있던 자동차로 옮겨져서, 대사관으로 바로 향했다. -------------- 문제는 엔진실이었다. 플라스틱 실에 소련 도장이 박혀 있었던 것, 이건 현장의 CIA가 그 시간에 급조해낸다. 그들은 그날 사진 280장을 현상했고, 밸브 60개 정도를 훔쳐낸다. 유류 샘플도 남아있던 것을 확보했다. 서서히 아침이 밝아온다. 재조립에 확인까지 마친 그들은 트럭을 돌려보낸다. 아침 7시, 창고를 지키고 있던 소련 병사들은 운전사에게 왜 이제서야 가져오느냐 물었고, 운전사는 지시받은대로 병사들이 호텔로 놀러가버리는 바람에 창고가 문닫혀서 기다렸을 뿐이라 답했다. 그런데? 추가 질문 없이 그냥 트럭이 들어갔다! 대성공이었다. 대사관에서는 곧바로 자료를 챙겨서, 주멕시코 미국 대사가 직접 개인용 제트기를 타고 텍사스로 갔다. 이 작전?은 “루닉 납치(Kidnapping of the Lunik)”로 알려졌으며, CIA는 이를 납치라 부르지 않고 대여(borrowing)이라 부른다. 미국이 이 작전으로 얻은 것은 상당했다. 로켓 최상단부와 위성의 내부를 속속들이 알게 됐기 때문이다. 즉, 이 비행체를 분해하고 조사하면서 소련 ICBM에 대한 대략적이지만 구체적인 추정을 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이 조사 이후에서야 CIA의 CORONA 정찰위성 계획은 첫 성공을 거둔다.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국방부(공군)의 대대적인 예산 증액 요구(소련에 대적할 미사일 수만 기가 필요하다!)를 깎아버리는 근거로도 사용됐다. CIA가 “내가 뜯어봐서 아는데…”를 말하니 공군의 증액 요청이 힘을 잃은 것. -------------- 참조 1. 제목의 Lunik은 당시 미국 언론이, 소련의 루나 프로젝트의 성공이 가짜뉴스라면서 “루나”를 거짓말의 뉘앙스를 가진 “루닉”이라는 멸칭으로 불렀던 유래를 갖고 있다. 소련은 미국 언론의 보도가 나오자 기다렸다는 듯이 달 뒷면 사진을 타스 통신을 통해 뿌렸다. 2. 이 작전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사망했으며, 가족들은 뉴스에 공개된 정보가 나오기 전까지 그때 그양반이 멕시코에 갔는지도 모르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한 핵심인사의 아들은, 미국 최초(1961년)의 우주비행사였던 앨런 셰퍼드가 자기 아버지에게 어째서 서명된 사진을 줬는지 몰랐었다고 한다. 3. 소련도 어느 시점에서는 깨달았던 모양이다. 미국인지, 멕시코인지, 다음 목적지인 쿠바인지 소련도 처음에 헷갈렸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당시 주멕시코 소련의 서기관이 당시 멕시코 측 스파이를 1963년 한 공항에서 우연히 만나 말한 것이 있다. 결국은 뭐 다 알았으리라. “모스크바 광장에서 네 목을 매달 날을 기다릴 거다.” 4. 짤방은 1959년 당시 성공을 기념해서 나온 소련의 우표 출처 : https://ru.wikipedia.org/wiki/%D0%9B%D1%83%D0%BD%D0%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