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스위스 시계의 위기
스위스의 대표적인 제조업 제품 중 일반에 제일 잘 알려진 것은 CNC… 아니 시계다. 물론 애플워치가 등장하면서 게임은 끝났다. 애플워치가 스위스 시계산업 전체 매출을 뛰어넘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스위스 시계 업계에 거의 cosmic horror가 애플워치인가… 하면 꼭 그렇지는 않다. 주말 특집, 스위스 시계업계가 겪은 위기들입니다. 스위스가 하필이면 시계 제조업을 발달시킨 이유 중 하나는 쟝 칼뱅에게 있을 것이다. 종교개혁의 그 칼뱅이 맞는데, 그가 모두들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는 이유로, 쥬네브 주민들에게 장신구를 금지시키면서, 쥬네브에 번성하던 보석 업자들이 시계 제작으로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독 쥬네브에서 시계 산업이 발달한 이유가 또 있다. 길드가 17세기 때부터 만들어졌고, 복제품을 막으려는 시도가 18세기 때부터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제도적인 도움 덕분인지 쥬네브는 아예 시계 산업의 중심지가 된다. 그래서 승승장구(참조 2)하던 스위스의 시계 산업이 첫 시련을 겪게 되는데… 첫 번째 위기는 아무래도 막 산업혁명을 시작한 미국이었다. 이제까지 장인들이 한땀한땀 수제로 만들던(참조 3) 스위스 시계에 비해, 미국의 American Waltham Watch Company가 처음으로 기계 제조 시계를 들고 나온 것이다. 단계별로 잘게 기업들이 쪼개어져 있는 스위스와는 달리 이 미국 회사는 수직통합 체계였다. 표준화와 부품 제조의 기계화 및 그에 따른 대량생산은 저렴한 시계를 낳았고, 미국은 결국 프랑스를 제치고 스위스에 이어 세계 2위의 시계생산국에 오른다. 당시 미국 업체들의 등장으로 스위스 시계업계가 입은 피해는 막대했다. 1877년 대미 수출액(350만 프랑)이 1872년 대미 수출액(1,830만 프랑)의 1/6 수준으로 격감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노동자 1명은 1년에 시계 150개를 만들었다. 스위스는? 40개였다. 당시 스위스는 어떻게 대응했는고 하니, 당연히 대형화밖에 없었다. 쥬네브와 쥐라 지역에 산재해 있던 시계 제조 체인망을 한곳에 모아놓고 집단적으로 제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분업 체계는 유지했지만 말이다. 하지만 품질은 다른 나라가 따르기 어렵다 하더라도, 저런 집단 공장 안에 미국 회사가 들어온다면? 실제로 미국의 Bulova가 스위스에다가 공장을 짓자, 스위스 업계는 체인망을 한 곳에 모으는 것만으로는 안 되겠다 싶어 “협회(Société Générale de l'Horlogerie Suisse, 1931)”를 조직한다. Bulova가 “마데 인 스위스”로 시계를 내게 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물론 스위스 종특(…), 이게 꼭 단일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Tissot와 Omega는 별도의 협회인 Société suisse pour l'industrie horlogère를 1930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이중 협회 체제가 한동안 유지가 된다. 일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두 번째 위기는 일본의 세이코였다. 보통 “쿼츠 위기(Crise du quartz)”라 부르는 시기(1975년-1985년) 동안 스위스의 시계 관련 업체는 2/3가 사라졌고, 종사자 수도 9만명에서 3만명으로 줄어든다. 이유는 단 하나, 스위스가 발명했지만 특유의 느린 체제로 인해 채택 안 하고 있던 쿼츠를 일본 세이코가 채용했기 때문이다. 미국이 야기했던 첫 번째 위기만큼이나, 일본이 야기한 두 번째 위기도 심각했다. 해법은? 역시 구조조정, 다른 누구도 아닌 UBS와 SBS라는 대형은행들이 이를 부추겼고, 두 협회는 통합된다. 그래서 새로이 협회(Société suisse de microélectronique et d'horlogerie)가 창설되고, 회장으로 니콜라스 하예크(Nicolas Hayek)가 오른다. 바로 스와치 그룹의 탄생이다. 스와치가 전반적인 스위스 시계 산업을 살린 것은 맞는데, 한편으로는 고급 브랜드들이 더욱 더 고급이 천착하게 만드는 계기도 된 것이 바로 쿼츠 위기였다. 그래서 파텍 필립이 “You never actually own a Patek Philippe. You merely look after it for the next generation”과 같은 광고 캠페인(참조 4)을 하는 것. 스위스 시계업계가 1차 위기는 업체들의 재편성으로, 2차 위기는 단일화 및 구조조정(물론 스와치 그룹에 속하지 않은 회사들도 여전히 있다)으로 이겨냈다. 애플워치의 위협으로 대표되는 3차 위기는… 위기로 생각하는지는 모르겠다. 애플워치가 워치라기에는 너무 거대한 무언가이기 때문에 스와치 정도만 죽이고 지나가 버릴 바람이라는 느낌? -------------- 참조 1. 짤방 출처, 사실 이 1949년 광고의 바슈롱 콩스탕탱은 스위스 시계 브랜드들 중에서 최초 급으로 수직통합을 이룬 기업이었다. 물론 여기 시계는 루이-나폴레옹의 으제니 황후를 광고모델로 쓸만큼 비싸기도 매우 비쌉니다요. Vintage 1949 Vacheron Constantin Oldest in Tradition Swiss Print Ad Publicite Suisse Montres : https://www.ecrater.com/p/23741300/vintage-1949-vacheron-constantin-oldest-in-tradition 2. 1870년 당시 세계 시계 시장의 70%가 스위스였다고 한다. Comment la «menace étrangère» a façonné l’industrie horlogère suisse(2021년 5월 28일): https://www.swissinfo.ch/fre/comment-la--menace-étrangère--a-façonné-l-industrie-horlogère-suisse/46637548 3. 다만 분업체계가 갖춰져 있기는 했다. manufacture(Ebauches가 유명하다)라고 하여 부품 제조업체들이 부품을 만들면 이를 établisseur가 조립하고 포장한다. Les manufactures horlogères: https://www.chronotempus.com/guide/manufacture-horlogerie/ Ebauches(2009년 7월 2일): https://hls-dhs-dss.ch/fr/articles/041960/2009-07-02/ 4. Patek Philippe airs new "Generations" ad(2016년 10월 6일): https://youtu.be/hjfXUpVtINE
스위스 시계 브랜드 '브라이틀링(BREITLING)'
<NAVITIMER> 내비타이머 B01 크로노그래프 46(1063만) 내비타이머 B01 크로노그래프 43(1129만) 내비타이머 크로노그래프 41(785만) 내비타이머 크로노그래프 GMT 46(957만) <CLASSIC AVI> 슈퍼 AVI B04 크로노그래프 GMT 46 보우트 F4U 콜세어(1294만) 에비에이터 8 B01 크로노그래프 43(944만) AVI REF. 765 1953 리-에디션(1043만) 에비에이터 8 오토매틱 41(482만) <TOP TIME> 탑 타임 쉘비 코브라(693만) 탑 타임 쉐보레 콜벳(693만) <PREMIER>  프리미에르 B01 크로노그래프 42(1069만) 프리미에르 B01 크로노그래프 42 벤틀리 뮬리너 리미티드 에디션(1115만) 프리미에르 B01 크로노그래프 42(1102만) 프리미에르 B01 크로노그래프 42(1023만) <CHRONO MAT> 슈퍼 크로노맷 B01 44(1096만) 크로노맷 B01 42(1049만) 크로노맷 B01 42(1049만) <AVENGER> 어벤저 오토매틱 45 씨울프 나이트 미션(632만) 어벤저 오토매틱 43(521만) 어벤저 오토매틱 43(495만) <PROFESSIONAL> 인듀어런스 프로(421만) 에어로스페이스 에보(535만) <SUPEROCEAN HERITAGE> 슈퍼오션 헤리티지 B01 크로노그래프 44(990만) 슈퍼오션 헤리티지 B20 오토매틱 42(614만) 슈퍼오션 헤리티지 B20 오토매틱 42(614만) <SUPEROCEAN> 슈퍼오션 오토매틱 44(535만) 슈퍼오션 오토매틱 42(475만) 슈퍼오션 오토매틱 42(535만) 출처 가격이 후덜덜하다.... 천만원 짜리 시계차면 어떤느낌이려나 ㅋ 오리지널 시계의 묘미!!
당신도 시계 덕후가 되는 글
안녕? 난 시계의 아름다움을 전파하기 위해 등장한 개붕이야. 뜬금없지만 원수를 망하게 하려면 어떡해야 할까? 답은 "취미를 소개 시켜준다" 그 취미는 카메라, 자전거, 시계임ㅋㅋㅋ (이 세가지는 종종 다른걸로 바뀜 자전거 대신 '자동차'라더가) 서론은 짧게하고 바로 본론 들어갈께 시계는 일단 심장이라 할 수 있는 무브먼트로 크게 나눔 그 종류는 1. 수동 용두를 돌려서 손으로 태엽을 감아가며 쓰는 시계  - 장점: 쌈 - 단점: 자꾸 손으로 감아줘야 하는 불편함 수동 무브먼트 수동? 아니죠. 핸드와이딩 맞습니다. 2. 쿼츠 전자식 시계로 대다수가 착용 중인 시계 (건전지 사용) - 장점: 시간 오차가 거의 없음 / 오토메틱보다 쌈 - 단점: 거의 없다보면 되는데... 쿼츠 무브먼트 땡글땡글 건전지가 보인다.. 3. 오토메틱 기계식인데 안에 로터..ㅎ 가 들어서 착용하고 생활하면 자동으로 태엽이 감긴다..! 벌써부터 떨리지 않니? 기계식이니까 전지도 없는데 따로 용두를 감아주지 않아도 시계가 혼자 자가발전을 한다~~ 이 말임ㅋㅋㅋ 그리고 초침이 째깍째깍 안하고 물흐르듯 움직이는 것도 특징.. - 장점: 1. ㅈ간지 2. 비쌈 3. 내 자신이 명품이 된 착각 4. 더 멋있어 지기 위해 착용자가 점점 미쳐감 - 단점: 1. 풀어서 놔두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멈춤.. 2. 하루에도 몇초씩 시간이 틀어짐.. 오토메틱 무브먼트 오른쪽 반달모양이 로터.. 실망했쥬?ㅎ 오토메틱의 자동 용두감기가 내 심장을 치는데 자려고 풀어두면 자꾸 멈춰있어서 장점 4번 항목을 자꾸 자극함. 일어나서 시간을 맞추고 있는 내 모습은 간지나지 않자나?ㅠ 그래서 개발한게 와치와인더 시계를 계속 차고 있는 것처럼 움직여줘서 안멈추게 해주는 기계 아침에 일어나서 시간 맞추기 싫다고 발명을 한다고.... 당연한거 아님?ㅎㅎ 하지만 오토메틱을 쓰면 마! 시간도 좀 멈추고 마!@ 마 그래야 하는거 아이가???? 그래서 나온게 당신의 간지를 지켜줄 오토릴레이 대~충 눈치챘겠지만 시계를 집어들고 흔들면 멈췄던 시계가 자동으로 시간이 현재 시간으로 맞춰짐ㅋㅋㅋㅋㅋㅋㅋㅋ 이놈이 속으로 시간 세고 있음ㅋㅋㅋ 그런데 오토메틱의 간지를 버릴 순 없자나?ㅎ 그래서 풀어두면 멈췄다가 흔들어주면 띠리릭 돌아서 현재 시간에 시간을 맞춰준다ㅋㅋㅋㅋㅋ 오토릴레이 그리고 시간만 보면 또 날짜가 궁금해지는게 인간.. 시계에 캘린더를 박아넣기에 이름.. 근데 문제가 생김 달력은 30일이었다가 31일이었다가 해서 30일인 달이 끝나면 31로 넘어간 날짜를 수동으로 돌려서 1로 맞춰줘야 함.... 거기다 윤년도 있음..ㅋㅋ 9월30일.. 사랑하는 애인의 생일 전날, 애인과 와인 한잔 하며 12시를 넘어가는 순간 해피버스데이투유를 속삭이는 당신... 곧 와인잔을 놓고 시계를 풀어 달력을 1로 맞추는데.. 곧이어 눈 앞에 번쩍이는 불빛.. 시계를 푸는 당신을 본 애인이 선빵을 친 것이었다..ㅜ 이런 불상사를 바라는 개붕이는 아마 없을 것이다. 그런 개붕이들을 위해 개발된 것이 퍼페츄얼 캘린더 이름부터 ㅈ간지인 퍼페츄얼 캘린더는 무려 100년치 달력을 미리 입력해둬서 30일, 31일은 물론 윤년마저 계산..! 건전지가 들어가는 전자식 시계인 쿼츠는 쉽게 넣을 수 있지만 기계식 오토메틱인데 퍼페츄얼 캘린더 옵션이 있다? 가격이 많이 비싸지는 장점이 있음 이제 달력도 됐고.. 뭐 더 궁금한거 없을까? 해서 달을 넣어드렸습니다 ^^ 문페이즈 문페이즈는 단순히 밤낮을 구분하는 용도가 아니고 실제 달모양이(...) 어떤지 표시해주는 기능임.. 애인이 오늘 보름달인지 궁금해하면 시계보면 됨ㅋ 일반적인 문페이즈는 59개의 톱니바퀴를 사용하여 29.5일을 표시하고 3년에 한 번씩 조정해줘야 함.. 하.. 3년에 한 번씩 또 손으로 깨작거리라니..ㅜ 간지가 생명인데 그런건 있을 수 없다! 그런 분들은  톱니바퀴를 135개짜리로 넣으면 수정이 필요없읍니다 ^^ (당연히 더 비싸지는 장점도 따라옴) 문페이즈 어린왕자 에디션 가격이 계속 올라버렷.. 근데 오토메틱이 아무리 자동으로 감긴다지만 갑자기 멈추면 어떡해?? 솔직히 활동량 적으면 멈출수도 있는거 아니야??? 시계가 멈출까봐 무서운 당신을 위해 파워 리저브 시계 터진다 그만 넣어.. 무려 태엽이 얼마나 감겨있는지 표시해줌ㅋㅋㅋㅋㅋㅋㅋㅋ 저 작은 시계에 얼마나 쑤셔 넣어야 만족할지..... 이거 실은 기계식 아니고 기판 넣은 전자시계가 아닐까? 스켈레톤 스켈레톤이라고 내부 무브먼트 보여주는 헤으응.. 시계도 있다... 근데 스켈레톤은 정신사나워서 시간읽겠나ㅋㅋㅋㅋㅋㅋㅋㅋ 오픈 하트 응~ 그럼 밸런스 휠만 봐~ 시스루백 뒷통수가 휑.. 오픈 하트는 앞에 구멍 내놓은거 시스루백은 뒷통수가 헤으응.. 보면 싸니까 안보길 추천..ㅎ 그리고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글라스를 고를 수 있는데 1. 미네랄 글라스 흔히 쓰는 유리 재질 흠집 잘 남ㅎ 2. 사파이어 글라스 님들이 아는 그 사파이어 맞음 흠집 안남 대신 깨질 수 있음 미디어에서 부자들 기절로 넘어지면 시계 깨지지? 부자 시계 고증임ㅋㅋ 3. 하드렉스 글라스 미네랄에 사파이어 씌운거 별거 아닌데 신경쓰면 가격 상승의 장점 발생 여기에 소개한게 전부가 아님 1. 태엽이 돌아가는데 필요한 오일을 안써도 되게 만든? 미친 시계 2. 항해나 중력에 영향받아 시간이 틀어지는걸 막는?? 미친 시계 3. 시간을 높고 낮은 소리로 알려주어 불빛이 없는 곳에서도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개미친 시계 4. 자성에 시간이 틀어지는걸 막는 항자성??? 시계 위에 적은 기능이 전지 들어가는 전자 시계가 아니고 오로지 태엽과 톱니만으로 구현한 기계 시계임ㅋㅋ 여기까지 오면 우리가 사는 세계가 실은 매트릭스 안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출처) 한때 시계에 빠질뻔한 적이 있었는데 가격 보고 정신 차렸죠 ^^ 시계 취미는 원수에게나 추천하는 거였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