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어제 내가 쓴 글에 댓글을 다신 분이 있었고, 내가 그 댓글에 다시 댓글을 달며 오해를 하신 것 같다고 했는데, 자기 전 양치를 하면서 문득 깨달았다. 오해가 아니라는 걸. 우선은 그분께 사과를 드린다. 사실 이래서 내가 간혹 내 글에 댓글이 달려도 가급적 반응을 하지 않으려 하는 편이다. 왜냐면 괜히 사족을 더해 무언가를 변명하는 꼴이 되거나 오해를 더 키우는 경우가 있어서다. 바로 어제 상황처럼. 나의 댓글은 지웠다. ‘출간 전 교정도 보지 않느냐’는 지적의 댓글이 달린 것에 내가 다른 맥락만을 생각하고 오해했다. 오해는 그분이 아니라 내가 했다. 댓글을 다신 분이 주목한 곳은, 시를 잘 쓰는데 맞춤법을 모르는 학생에 관한 얘기가 아니라, 오타가 서너 군데 있는 신인의 단편소설 얘기였을 것이다. 아무튼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 말이 나왔으니, 교정교열에 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 어제 내가 본 한 개의 단편소설 안에 오타가 서너 군데 발견된 것은 말 그대로 사실이었다. 올해 신춘문예에 당선된 소설들을 모은 <2021 신춘문예 당선소설집>에 실린 소설이다. 책을 펴낸 출판사는 ‘한국소설가협회’라고 되어있다. ‘한국소설가협회’는 말 그대로 협회이지 정식 출판사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마도 협회 자체에서 내는 잡지들이 위주일 텐데 필요에 따라 소규모의 단행본 출판도 겸하는 형태일 것이다. 출판계에서는 이런 곳이 꽤 된다. 굳이 말하자면 출판사이긴 하나, 잡지 발행이 위주이고 소규모의 단행본 출판을 겸하는 그런 곳. 내가 일하는 잡지사도 그런 형태에 가깝다. 알다시피 매년 1월 1일이면, 각 신문사에서는 신춘문예 당선작을 뽑아 내보낸다. 그리고 대개 1월 내에 각 신문사에서 뽑힌 작품들을 장르별로 묶어 책을 펴낸다. 시, 소설, 희곡 따로, 그리고 평론과 수필은 함께 묶어서 따로. 출간은 신문사와는 별개다. 그리고 장르마다 주관하는 출판사도 다 다르다. 신춘문예 당선시집 같은 경우, 오랫동안 ‘문학세계사’라는 출판사가 맡아왔는데, 내부의 불미스러운 일로 인해 요 몇 년 사이 주요 일간지 당선 시인들이 보이콧을 하며 작품을 싣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여, 이 빠진 형태가 되다가 급기야 올해는 아예 출간이 불발되었다. 소설은 말 그대로 ‘한국소설가협회’, 희곡은 ‘월인’이라는 출판사, 그리고 평론과 수필은 검색해보니 ‘정은문화사’라는 출판사로 뜨는데, 평론과 수필은 아무래도 타 장르에 비해 인기가 없어서인지, 지속적인 출간이 이뤄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교정교열은 신의 영역이라는 말이 있다. 완벽한 교정교열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항간의 이런 말들이 꼭 과장인 것만도 아닌 게, 교정교열 작업을 하다 보면 정말로, 재차 삼차 들여다봐도 틀린 부분이 계속해서 나오기 때문이다. 교정교열은 결국 작가와 편집자의 공동 작업이다. 작가는 아무래도 자신의 원고를 너무 많이 들여다봐서, 어느 순간에는 원고가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 단계까지 다다르기도 하는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편집자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그러나 작가가 편집자에게 전적으로 교정교열을 맡겨버려도 문제가 된다. 교정교열이라는 것이 단순히 맞춤법과 띄어쓰기만을 잡아내는 것이 아니라, 문맥을 파악하여 글의 중심을 잡는 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애초에 원고를 쓴 작가와 원고의 외부자이자 첫 번째 독자로서의 편집자가 끊임없이 조율해가며 원고를 완성해야 한다. 그런데 사실 작가라고 해서 모두가 맞춤법에 통달한 자도 아니며, 어느 정도 올바른 맞춤법은 쓴다고 해도, 맞춤법과 의도치 않은 오타 정도(?)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도 꽤 있다. 그러니 완벽까지는 아니고 완벽에 가까운 교정교열은 다소 완벽주의 성향의 작가와 편집자가 이루는 것이다. 대형 출판사라면, 편집장을 포함해 보조 편집자가 몇몇 더 있을 것이니, 보는 눈이 많아 더 정확한 원고가 만들어질 테고. 신춘문예 당선소설집 같은 책의 경우, 서울의 주요 일간지를 포함해, 지방의 신춘문예를 진행한 거의 모든 신문사의 작품이 다 실려 있다. 그러니 개인의 작품집도 아니고, 특정 모임의 앤솔로지도 아니다. 단순히 신춘문예라는 타이틀로만 묶인 전혀 연관 없는 당선자들의 소설을 모아놓은 것일 뿐이다. 가령 90년대에 유행하던 최신 가요 히트곡 모음집 같은, 조악하게 노래들을 모아 놓은 카세트테이프처럼. 신인들의 소설이 궁금하긴 하지만 각 신문사마다 신문을 구해 소설을 읽기가 번거로운 독자, 신춘문예를 준비하는 습작생, 문학 수업을 위해 일종의 교재가 필요한 강사 정도일까. 특정 독자층은 있지만 딱 거기까지가 수요의 마지노선인 책. 다시 말하지만 정식 출판사도 아니고, 그러니 편집자라고 할 만한 사람이 부재하며, 또한 편집자가 굳이 필요하지도 않은 형편이라 작가가 특별히 자신의 원고에 엄격하지 않은 이상, 틀린 맞춤법이나 오타는 군데군데 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책 표지도 정말 투박하고 조악하다. 사실상 어떤 출판사에서 나오느냐, 어떤 성격의 책이냐에 따라, 책의 퀄리티는 천차만별이다. 그러므로 나 역시 신춘문예 당선소설집을 보며, 웬만한 오타 정도는 그러려니 하고 넘기는 것이다. 우리가 길거리 리어카에서 파는 조악한 최신 가요 테이프로 음악을 들으며 음질을 따지지는 않듯이. 뭐 어쨌든 한 개의 댓글에서 촉발되어 교정교열 현실을 돌아보았다. 신춘문예 당선소설집에 실린 소설과 서울 주요 일간지 및 지방 신문사의 신춘문예 현실에 관해서는 조금 나중에 얘기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