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wgm12
500+ Views

어머니의 마음.

'낳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르실 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진 자리 마른 자리 갈아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
하늘 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리요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 없어라'
제목도 모르고 흥얼거리던 이노래가 양주동의 시에 이흥렬이 작곡한 것으로 작곡자가 현제명 서울대 음대학장과 함께 열렬한 친일파 숙명여대 학장이어서 문제가 되었다.
구로야 샤이민(현제명), 나오키 오키이찌오(이흥렬), 모리카와 준(홍난파) 등 일제의 창씨개명에 앞장서는 등 일제의 식민통치정책에 협력한 사람들이라 깨름찍하긴 하다.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마를레네 디트리히
사진(참조 1)을 보면 완전 보스의 풍모이다. 중앙의 인물은 당연히 마를레네 디트리히, 1930년 5월 21일에 촬영했으며, 옆에 있는 사내들은 경찰들이었다. 어째서 경찰들이 마를레네 디트리히를 수행했을까? 자세히 알아보면 수행은 아니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 2012년에 폐지됐던 여성 의복에 대한 법률(L'interdiction du port du pantalon pour les femmes, 참조 2)이 하나 있었다. 말을 달릴 때 혹은 자전거를 탈 때를 제외하고서 여자들은 바지를 입지 말라는 내용인데, 이미 용도폐기됐던 법률을 실제로 집행하려 할 때가 바로 저 현장이었기에 더 인상깊은 사진이 됐다. 당시 마를레네 디트리히는 미국에서 프랑스로 왔었고 배에 탔을 때부터 하얀색 남성정장(...)을 입고 있었다(참조 3). 디자이너는 Travis Banton(1894-1958), 이를테면 헐리우드 황금기의 퍼트리샤 필드(Patricia Field, 1942-현, 참조 4)라고 이해하시면 좋겠다. 바지를 입었지만 체포되지 않았던 디트리히는 파리에서 애인도 만나 따로 바도 차려주고(참조 5), 미국으로 돌아가 제2차 세계대전부터는 적극적으로 미군 위문공연을 다녔었다. 그래서 그런지 고국 독일에서 적대적인 군중을 맞이하기도 했었다. "고국의 배신자(Vaterlandsverräterin, 이 건은 독일어판 위키피디어에 자세히 나와있다)"라는 함성과 함께 계란 세례도 받았던 것, 그래서 독일보다는 미국과 프랑스가 그녀에게는 더 편했을 것이다. 당연히 그녀의 남성 복장은 이브 생 로렁의 "르 스모킹(Le Smoking, 참조 6)"에 큰 영향을 줬다 봐야 할 텐데, 사실 마를레니 디트리히를 생각하다 보면 레니 리펜슈탈(참조 7)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리펜슈탈 역시 "바지"를 입고 활발하게 활동(참조 8 )했기 때문이다. 세상은 바지를 입고 "보스"처럼 활동했던 디트리히만 기억하지, 리펜슈탈을 기억하지는 않고 있다. ---------- 참조 1. 출처는 게티이미지, https://www.gettyimages.com/detail/news-photo/schauspielerin-dmit-ehemann-rudolf-sieber-auf-dembahnhof-in-news-photo/541065821?adppopup=true 2. 여자와 자전거(2015년 7월 30일): https://www.vingle.net/posts/973669 3. The Bracelet Dietrich Received for Her Defiance(2018년 4월 15일): https://theadventurine.com/culture/celebrity/the-bracelet-marlene-dietrich-received-for-her-defiance/ 4. 대표적으로 "Sex in the city"와 "The Devil Wears Prada"의 의상을 맡았었다. 최신작은 "Emily in Paris" 5. 모노클(2021년 6월 12일): https://www.vingle.net/posts/3779748 6. Saint Laurent(2014년 5월 19일): https://www.vingle.net/posts/347093 7. 디트리히와 리펜슈탈(2015년 12월 6일): https://www.vingle.net/posts/1258789 8. 가령 이 이미지를 보시라.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의 촬영이다. https://www.gettyimages.com/detail/news-photo/german-film-maker-leni-riefenstahl-and-cameraman-walter-news-photo/51116340?adppopup=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