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행운을 부르는 7가지 습관
2020년에 방영된 웹툰 원작의 ‘쌍갑포차’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드라마에서는 ‘저승 시청’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거기서 공덕 보유자를 조회하면 망자들의 ‘공덕 레벨’을 열람할 수 있다. 인연 있는 망자 중에 가장 공덕 레벨이 높은 분의 공덕을 빌려와서 죽을 사람을 살리는 장면이 있었다. 공덕(功德)이라는 것이 살아서는 무형이지만, 죽어서 보면 다 기록되어 있고 그것이 살아 있는 후손들에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발상이다. 저승에서는 그 어떤 금은보화 보다도 훔쳐서라도 가지고 싶은 것이 공덕이라서, 살아서 공덕을 쌓지 못했음을 죽어서 후회한다고 했다. 이 높은 공덕은 사람을 살릴 수도 있고, 다음 생에 환생할 때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로 태어날 수도 있는 자산이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생에 나라를 구했구나.”를 생각해보게 되는데, 이렇게 무형의 공덕이라는 것을 저렇게 실시간 수치로 나타낼 수만 있다면, 사람들은 주식계좌를 늘리듯 너도 나도 공덕 쌓기를 늘려가지 않을까? 이런 것을 믿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내가 가진 것을 조금씩 나누는 일, 그 작은 시작이 공덕이 되어 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은연중에 다 알고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실천이 참 어렵다. 그러면 과연 어떻게 복을 지을 것인가? 베푸는 일, 즉 ‘보시(布施)’는 원래는 대승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로,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의 세 가지로 나뉜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것이, 진리에 대한 이해가 높은 능력이라면 법시를 베풀고, 재물의 여유가 많다면 재시를 행하고, 다른 사람의 공포심을 없애줄 수 있는 직업을 가졌거나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외시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이 세 가지조차 없는, 그냥 특별할 것이 없는 일반인은 어찌해야 하는가? 다행히 내 마음을 변화시켜주는 큰 복을 주는 행위 ‘무재칠시(無財七施)’라는 것이 있다. •무재칠시(無財七施)• 《잡보장경(雜寶藏經)》에 나오는 무재칠시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떤 사람이 하는 일마다 풀리지 않아 석가모니를 찾아가 호소했다.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으니 이 무슨 까닭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빈털털이입니다. 도대체 무얼 준단 말씀입니까?” “그렇지 않다. 아무 재물이 없더라도 베풀수 있는 일곱 가지는 있는 것이다.” 1. 화안시(和顔施) = 온화한 얼굴 얼굴에 밝은 미소를 띠고 부드럽고 정답게 대하는 것이다. 얼굴에 환하고 기쁨 가득 찬 미소를 머금은 표정은 그 자체로도 주위 많은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주는 소중한 보시가 되는 것이다. 2. 언사시(言辭施), 언시(言施) = 말 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대하는 것이니, 사랑의 말, 칭찬의 말, 격려의 말, 양보의 말, 부드러운 말 등이다. 3. 심시(心施) = 마음 착하고 어진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다. 우리가 늘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도 소중한 보시다. 4. 안시(眼施) = 눈 호의를 담아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대하는 것도 충분한 보시가 된다. 5. 신시(身施) = 몸 몸으로 베푸는 것으로, 남의 짐을 들어준다거나 예의 바르고 친절하게 남의 일을 돕는 것이다. 6. 상좌시(床座施), 좌시(座施) = 자리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내주어 양보하는 것이고, 다른 사람을 위해 자리를 비워주는 것을 말한다. 지치고 힘든 이에게 편안한 자리를 내어 주는 것도 소중한 보시행인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7. 방사시(房舍施) = 쉴 곳 제공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또는찰시(察施) = 속을 헤아려줌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서 도와주는 것이다.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를 것이다.” - 출처). <당신에게도 세 번의 대운은 반드시 찾아온다> 중에서
금동이 구내염
요즘 제가 좀 몸과 마음이 괴롭습니다 ;; 회사 일 때문인데요 ...... 직장동료와 의논할일이 있어 2일 금요일 퇴근후에 잠시 같이 걸으며 얘기를 좀 하면서 천천히 집에 가고 있었어요 그런데 남편이 병원이라며 전화가 왔고 금동이가 갑자기 열이났다고.... 서둘러 집으로 돌아갔는데 금동이의 아픈얼굴 ㅜㅜ 그날 새벽에 40도를 오르내리며 열이 엄청나고 남편과 저는 밤새 번갈아 열 기록 .... 해열제 교차복용 토요일 오전에 다시 병원에 갔더니 역시 구내염이었어요 어제는 없던 하얀 상처가 입안에 생겼고 열이 올르고 약먹으면 내리고를 반복 처음엔 아무것도 안먹는다는 애가 케이크가 먹고 싶다고 해서 병원 옆 파리바게트에 가서 맘대로 고르라고 했더니 고른 공룡 케이크 ...... 이거는 맛이... 없.... 그 옆에꺼 .... 라고 차마 말하지 못하고 그냥 샀습니다 애가 힘이 없어서 겨우 서있는 정도라 실랑이고 설명이고 나발이고 ㅜㅜ 병원 다녀와서 .... 힘들다며 눕더니 잠들었어요 ;; 열이나서 왜용이 못 붙어있게하는데 언제 또 올라갔는지;; 딱 붙었네요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이 하던것처럼 공룡 입검사 후 시식 .... 맛없다고 .. 안먹는다고 합니다 😭 (제발 애들꺼 모양만 말고 맛까지도 신경써주세요 ㅜㅜ) 결국 이것저것 다 입맛에 안 맞는 금동이는 찬밥에 찬 계란말이를 드셨습니다 그나마 제일 맛있더네요;; 찬밥이라도 먹으니 천만다행 심한 아이들은 아무것도 먹지 않아서 투게더로 연명하는 경우도 많다고했어요 유지방이 많은걸 먹어야 그나마 에너지로 쓸수있다고 음식 다 거부하면 월드콘이나 투게더 먹이라고하더라구여 토요일 밤부터는 조금 안정되었어요 오늘도 한차례 열이 났지만 그래도 최고점 찍고 내려온것같아요 수족구까지 안가서 다행이고 .... 일단 이번주엔 가정보육 당첨
[영재발굴단] 아이가 너무 똑똑하고 눈치까지 빨라서 생긴 비극...ㅠㅠ
아이가 문제집/학습지를푸는걸 좋아한다고 거실 바닥에 늘어놓고 공부하고 6살인데 중학교 선행문제를 풀어서 찾아간 영재 서진이. 그런 서진이와 인터뷰 도중 PD가 퀴즈를 냈는데 서진이가 모르는 문제가 나오자 6살 같지않게 엄청 괴로워함. 너무 괴로워해서 PD가 그만하자고하는데 아이는 뛰어서 방 장롱안에 들어가버림 엄마가 달래려 해도 나오지않고 장롱안에서 쿵쿵소리는 내고 머리를 박는건지 손으로 치는건지 몰라도 괴로워함 PD가 말을 걸어도 문을 닫아버리는 서진이 심리상담사에게 찾아감 아이보고 자랑을 하라고 했는데 "~밖에못해요" 라는단어에 왜그렇게 얘기하냐는 노규식 박사님.. 아이는 왜 사람들한테 잘하는걸 보여주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걸까 보통의 6살의 아이는 자기가 잘하는걸 자랑하기만 바쁜나이인데 자기가 못하는것을 더 먼저 걱정하는 서진이.. 엄마나 주위에서 자꾸 똑똑하다,잘한다고 얘기하니까 더이상 그 기대에 자신이 부응하지 못할까봐.. 두려움이 매우 커져있다느뉴ㅠㅠ 고작 6살인데ㅠㅠㅠㅠㅠ 학습지 푸는걸 좋아해서 하는게 아니라 엄마가 실망할까봐ㅠㅠㅠ 그렇다고ㅠㅠㅠㅠㅠㅠ '실망한다고요' 이 말을 아이 스스로 2번이나 반복해서 말함...ㅜㅜㅜ 에궁 ㅠㅠㅠㅠ 실망이라는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서진이. 박사님이 얘기를 좀 더 하자고 옆에 다가가자 창밖을 보며 우는 서진이 ㅠㅠ 박사님의 말이 본인의 마음을 알아주는 말이었는지.... 그때부터 다시 펑펑울기 시작함...ㅠㅠㅠ 엄마가 실제적으로 공부하라고 강요한적은 없지만, 아이 스스로 본인이 문제를 풀고 맞추면 엄마가 좋아하는 모습이나 사람들이 자신에게 '잘한다'는 칭찬에 좋아하는 엄마의 모습을 보고 자기는 문제를 풀고 다 맞춰야하고. 똑똑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있었다는..ㅠㅠ 그게 아니면 자기에게 실망할까봐 두려움에 떨고 있었고 박사님 말대로 '비극'...ㅠㅠㅠ ㅊㅊ: ㄷ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