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도전에는 나이가 없습니다
알래스카를 제외한 미국에서 가장 높은 휘트니 산을 23번 올랐으며 수많은 등산길을 확장해서 오른 ‘휘트니 할머니’라고도 불리는 ‘훌다 크룩스’ 할머니가 있습니다. 그녀가 66세 때, 그동안 시도해 보지 못했던 삶의 영역에 도전하기로 했는데 그것은 바로 등산이었습니다. ​ 그래서 휘트니 산을 시작으로 91살 때까지 무려 97개 봉우리의 등정에 성공합니다. ​ 이러한 그녀를 위해 캘리포니아주 의회에서는 1991년 휘트니 산에서 가장 험하고 높은 봉우리 중 하나의 이름을 ‘크룩스 봉’이라고 이름을 붙이기도 했습니다. ​ 게다가 그녀의 나이 91세에 해발 3,776m가 되는 일본의 후지산 정상에도 깃발을 꽂았습니다. ​ 그녀는 자서전에 이런 문구를 적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근육은 쇠퇴하기 마련입니다. 힘을 받지 않는 뼈는 미네랄을 잃게 되어 약해지게 됩니다. 둔해졌다는 것은 그대의 몸이 민첩한 관리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오르락내리락하는 산의 모습이 고난과 기쁨이 공존하는 인생을 닮았습니다. 그 때문에 인생은 끊임없는 도전의 과정이라고도 합니다. 꿈과 도전에는 나이의 한계가 없습니다. 백발의 노인도, 젊은 청년도 그 누가 되었든 도전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젊은 청년이라도 스스로 포기한다면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지만, 백발의 노인이라도 도전하고 꿈을 꾼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 ​ # 오늘의 명언 도전에 성공하는 비결은 단 하나, 결단코 포기하지 않는 일이다. – 디어도어 로빈 –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 ​ #나이#젊음#도전#인생#삶#명언#영감을주는이야기#교훈#따뜻한하루
최근 고고학 분야에서 가장 큰 발견
는 경주 기마무사 말 갑옷 출토 복원 말 갑옷 자체는 2009년 쪽샘 지구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훼손이 심해서 복원에 난항을 겪고 있었고 쪽샘지구 다른 보분에서 추가로 출토되면서 온전한 복원이 가능하게 됨 이게 2020년 하반기 참고로 쪽샘지구는 그 유명한 주차장 사건의 그 자리임 신라 말 갑옷과 기마무사 갑옷 복원이 중요한 이유가 그 동안 고구려 기마 무사 갑옷 양식은 벽화로 남아있었지만 발굴에 있어서 훼손과 손상이 심해 실물 복원에 난항이 있었음 <지층채로 박리시켜 갑옷 유물을 발굴하는 모습> 그러니 이번 쪽샘지구 갑옷 출토는 다른 말 갑옷 출토품은 일부 부위의 찰갑 조각밖에는 없어 전모를 추정할 수 있는 여지가 부족했다. 이런 상황에서 마주와 마갑이 무사의 갑옷, 말갖춤과 함께 모두 포함된 종합 유물세트가 나왔으니 동아시아권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든 대발견이었다. 라고 할 정도 동아시아 사료학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발굴인거지 그 동안의 갑옷 양식은  벽화에 그려진 외형과 부분적으로 출토된 부위를 가지고 예상하여 상상을 가미시켜 복원한거에 불과하다면 이번은 온전한 과거 기마 부대의 갑옷과 말 갑옷을 완벽히 재현했다고 할 수 있음 참고로 쪽샘지구는  2002년 발굴 시작 잠시 중단되었다가 2006년 다시 발굴 거의 20년 동안 발굴이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완전 발굴까지 기약이 없을 정도로 유물 노다지 장소임... 사실 경주 전역이 다 그렇긴 하지만...  (출처) 경주 유물 발굴이 완벽하게 진행된다면 정말 엄청난 것들이 많이 나올텐데 예산 문제로 더뎌진다는 게 참 아쉽구려
돈의 철학
거상 임상옥은 역관의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할아버지 때부터 가세가 기울었고, 아버지는 많은 빚을 진 채 돌아가셨습니다. 그래서 임상옥은 의주 지역에서 청나라를 상대로 무역 활동을 하는 상인 밑에서 허드렛일부터 하면서 장사하는 법을 배우고 있었습니다. ​ 임상옥이 어릴 때부터 아버지께 항상 들어왔던 말이 있었습니다. ​ “장사란 이익을 남기기보다 사람을 남기기 위한 것이며, 사람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이윤이고, 따라서 신용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자산이다.” ​ 어느 날 청나라에 가서 장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청나라와의 주된 무역 품목이 인삼이었는데, 임상옥은 가져간 인삼을 다 팔아 첫 장사를 성공적으로 마치는 듯했습니다. ​ 장사를 마친 임상옥은 일행과 술집에서 아름다운 여인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녀는 술주정뱅이 아버지 때문에 이곳으로 팔려 온 상태였습니다. ​ 임상옥은 돈 때문에 사람을 이런 곳에 팔 수 있냐며 자신의 돈 500냥을 내어주고 ‘장미령’이라는 이름의 그 여인을 구해 주었습니다. ​ 그런데 그 500냥은 모시는 상인의 인삼을 대신 판 돈으로, 그중 250냥이 자신의 몫이라 장사 밑천으로 삼으려 한 것이었습니다. ​ 임상옥이 그렇게 한 데에는 사람이 먼저지, 돈이 먼저가 아니라는 자신의 아버지 말씀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조선으로 돌아온 임상옥은 쫓겨나게 되었습니다. ​ 훗날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장미령이 후에 고관대작의 첩이 되어 임상옥이 장사하는 데 많은 인맥을 만들어주었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옥이 거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상인으로서 독립한 이후로도 청나라와의 인삼 전매로 임상옥은 벌써 30대에 엄청난 거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어마어마한 부를 거머쥐었지만, 임상옥은 돈의 노예가 되지 않았습니다. ​ 그는 항상 자신이 번 돈의 80%만 갖고, 나머지 20%는 인삼 경작 농가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아낌없이 썼습니다. ​ 현종 때에는 수재가 발생하자 임상옥이 거액의 의연금을 내어 ‘평안도 귀성 부사’라는 벼슬을 받기도 했습니다. ​ 이렇듯 임상옥이 욕심을 경계할 수 있었던 것은 ‘가득 차는 것을 경계하라’는 ‘계영배’ 덕분이었는데 이 술잔은 잔 안에 술이 70% 이상 차면 술이 없어져 버립니다. ​ 그 원리는 술잔 속에 작은 관을 만들어 그 관의 높이까지 액체를 채우면 새지 않으나 관의 높이보다 높게 액체를 채우면 관 속과 물의 압력이 같아져 수압 차에 의해 액체가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임상옥은 돈에 관한 자신만의 철학이 있었는데 그것은 당장의 이익을 좇지 않고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 욕심이 가득 차는 것을 경계하고 자신이 번 돈의 5분의 1은 항상 이웃에게 나누는 것이었습니다. 부와 명예를 거머쥔 사회 고위층의 탐욕과 그로 인한 불공정과 불법이 만행하고 있는 요즘, 거상 임상옥의 ‘돈의 철학’은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의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 ​ # 오늘의 명언 사람은 죽으면서 돈을 남기고 또 명성을 남기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값진 것은 사회를 위해서 남기는 그 무엇이다. – 유일한 박사 –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 #돈#명예#사람#인생#삶#명언#영감을주는이야기#교훈#따뜻한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