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0shelter
10,000+ Views

약혐) 금붕어 품종은 다양하고 공포스럽다

화금붕어는 모든 금붕어의 원형인데 푸키먼으로 치자면 이브이다
화금붕어를 열심히 잘 조져서 돌연변이시킨 것이 오늘 날의 금붕어 품종들이다
댕댕이나 비둘기를 보면 알겠지만 이 돌연변이 종류도 참 호러스럽다
특히 불쌍한 몇개만 뽑아보자
난주 금붕어. 중국에서 좋아하는 동물인 사자개를 닮도록 교배시킨 종이라 라이온헤드 금붕어라고도 불린다.
그 사자보단 녹색 레이저를 삠삠삠 쏴갈기면서 팀버튼 영화에 나올 거 같은데...

금붕어의 왕자란 별명이 있지만 대가리가 존나 크고 지느러미 크기도 작아졌기 때문에 존나 느려서 다른 멀쩡한 물고기랑 합사하면 도태된다.

태어날 때는 다른 금붕어들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기괴한 혹이 얼굴에 자라난다.
이 혹을 얼마나 예쁘게 키웠나 미인대회도 벌어지는데 그저 좆간, 좆간...

중국에서 만들어진 정천안 금붕어.
눈이 기괴하게 발달되어 있는데 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좁은 꽃병 안에서 사육하면서 돌연변이가 나타난걸 품종화한 것이다.
눈깔괴물된 애들끼리 근친교배하고 또 근친교배하고...그러면서 눈이 기형적으로 점점 더 커진것.

저 큰 눈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땡글땡글 굴러다닌다.
눈만으로도 살기가 상당히 팍팍해보이는데 등지느러미까지 퇴화해버려서 잘못 움직인다.

이것도 중국에서 개량된 수포안금붕어라는 종. 왜 또 중국이지?

볼이 남성에게 중요한 어떤 기관처럼 부풀어오른 기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심지어 계속 커진다.
터지진 않겠지? 근데 터진다. 터진 상처가 아물면 또 남성에게 중요한 어떤 기관처럼 보일 때가지 계속 자란다. 저런!
부랄뺨 때문에 딱 봐도 헤엄치는게 상당히 힘들어보이고, 보는 것도 힘들어보이고, 먹는 것도 힘들어보인다. 부랄뺨이 터지면 다른 물고기들이 상처를 공격해 쪼아먹어서 죽기 때문에 다른 물고기랑은 합사가 안 되고 사육난이도도 높다. 심지어 위의 정천안금붕어처럼 등지느러미도 없어서 제대로 헤엄도 못 친다.

다른 친구들처럼 인간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품종이다



인간이 지들 보기 재밌자고 아픈 애들을 계속 근친교배시켜서 결국 인간 없이는 살 수 없는 생명체로 만들어버린 케이스
그저 좆간...
오늘도 미안하다 인간이
11 Comments
Suggested
Recent
애들 어릴때 체험장에서 잡아서 육식어류 먹이체험(...)하라는 걸 거절하고 집으로 데려온 물고기 두마리가 점점 커지더니 금붕어가 되더라고요.. 한마리는 오란다 젤리헤드, 한마리는 툭눈.... 몸 색깔이 선명하고 젤리헤드가 통통할 수록 비싼몸이다, 눈이 툭 튀어나오고 몸 색깔이 균일할 수록 비싼 몸이다..... 근데 다 자란애들 보니 젤리는 꼬리만 풍성하고 몸 색깔은 연하고.. 툭눈이는 몸 색이 균일하진 않더라고요. 비싼몸은 마리당 4-5만원에도 거래가 되는 데.. 그렇지 못 한 애들은 2천원에 육식어류 먹이체험이라니........ 이것도 인간이 미안해야 하는 거죠....... (툭눈이는 5년째 살아있고 젤리는 올해 5월달에 사망했습니다.....)
모아나가 생각나네요 🐠
인간이 동식물에게 미안한짓을 많이했지요 백호그렇고 개들도그렇고 스핑크스고양이도 그렇고 ᆢ 혹시 알아 인간도 상위존재들이 저런식으로 만들어낸 하나의 종? 일수도ᆢ
2번째 사진부터 첨 보는거라...한숨나와요..얼마나 많은 실험을..했을까요..ㅜㅜ
짱꼴라쐑히들 진짜‥🤬🤬🤬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극혐) 기괴하고 잔혹한 번데기 실험
하버드 대학교의 캐롤 밀턴 윌리엄스 박사 순박하게 생긴 이 아저씨는 곤충의 변태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는데, 곤충이 언제 어째서 변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X선으로 번데기의 뇌를 제거하고 인간지네마냥 봉합하여 붙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크로피아 나방은 북미 최대의 나방이라 생명력이 질기고, 나방이 된 후에는 별도로 먹이를 먹지 않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뇌를 제거해도 살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위의 1짤처럼 번데기 상태로 남아있을뿐 변화가 없었고, 다른 번데기에서 뇌를 이식하자 번데기지네는 2짤처럼 모두 나방으로 우화하였다. 즉 나방이 번데기에서 우화하는데는 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번째 실험으로 이번엔 애벌레가 왜 번데기가 되는지를 연구했다. 곤충이 머리 가슴 배로 이루어져 있는것은 다들 알거고, 윌리엄스 박사는 머리와 가슴 부분을 실로 묶었고, 애벌레는 충분히 성장하고도 번데기가 되지 않고 계속 애벌레로 남아있었다. 묶인 머리가 죽어서 떨어져 나갔음에도, 가슴 부분만 살아있으면 애벌레는 번데기로 변하고 가슴부분과 떨어진 배는 계속 애벌레 상태였다. 즉 나방이 번데기가 되는건 가슴부분의 호르몬 때문이란 사실을 알아냈다. 반으로 가른 번데기라도 뇌를 붙여두면 나방의 하체로 우화하며, 심지어 정상적인 수컷과 교미해서 알을 낳는것까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박사의 3번째 실험 머리를 자른 나방을 번데기와 용접하였다 본래 이 나방은 입이 퇴화하여 1주일이면 죽어버리지만, 번데기와 용접한 상태에선 10주 가량을 생존했다. 즉, 입이 퇴화한 곤충이 금방 죽는것은 원래 수명이 짧아서가 아니라 굶주려서 아사하는것이다. 또한 연결된 번데기는 탈피를 하였으나 번데기에서 번데기로 탈피하는 기묘한 모습을 보였다. 머리 부분이 용접된 번데기와 나방 번데기는 번데기에서 탈피해 또 번데기가 됨 그러나 복부 부분과 용접했을 경우, 번데기는 정상적인 성충으로 변태한다 호르몬은 성체 나방의 생식소를 성숙시키는 역할 또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실험은 1940년대에서 50년대에 이루어졌으나, 너무나 잔혹하고 기괴하여 1963년까지 공개되지 못하였다. (출처) 기괴하다 기괴해 앞의 실험은 50년대에 LIFE지에 특집 기사로 나올 만큼 유명했는데 마지막 실험은 너무 격해서 1963년에나 공개됐다고...
아ㅋㅋ강에서 상어가 어케살음ㅋㅋㅋ
뉴저지 상어 습격사건 1916년 7월 1일부터 12일까지 뉴저지의 해안과 마타완 샛강에서 상어에게 5명이 공격당하고 그 중 4명이 사망한 사건이다.영화 죠스의 모티브가 된 사건이기도 하다. 미국에선 현상금까지 걸며 사람들을 공격한 상어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고, 7월 14일,마타완 근방 해상에서 몸길이 2.3m에 체중 147kg의 백상아리를 잡게된다. 이 상어를 해부한결과, 뱃속에선 사람의 유골과 살점으로 추정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후 상어의 습격사건은 더 이상 없었기에 이 백상아리가 사건의 주범이라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해가 안되는 점이 있다. 피해자 중 2명은 해변이 아닌 강에서 상어에게 공격당했다는 점이다. 백상아리는 바닷물고기인데 강에 가서 사람을 습격하는게 가능할까? 때문에 해변에서의 공격은 몰라도 샛강에서의 공격은 '이 녀석'이 아닐까 하는 의견이 현재 나오고 있다. 그 녀석이 뭔지 지금부터 알아보자! 레츠고 <황소상어편> 황소상어 몸길이 2.5~3m,몸무게 90~180kg의 상어로 가장 위험한 3종의 상어 중엔 제일 작은 녀석이다 가장 위험한 3종=(백상아리,뱀상어,황소상어) 얘가 샛강 습격사건의 용의자로 의심받는 이유는 바로 민물에서 서식이 가능한 상어이기 때문이다. 기수어도 아니고 해수어가 어떻게 민물에서 서식이 가능한것인가? 원리는 이렇다. 황소상어의 꼬리에는 염분을 저장할 수 있는 특수한 기관이 있어 민물에 들어가면 이 염분을 조금씩 몸에 공급하며 담수 적응력을 높인다. 그리고 콩팥 또한 염분 조절능력이 뛰어나 민물에서 오줌을 쌀 때 최대한 염분이 낮은 농도의 오줌을 배출해 염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덕분에 민물에서도 아무문제 없이 생존이 가능하며 버다에서 멀리 떨어진 아마존강이나 갠지스 강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플로리다주의 한 수영장에서 발견된 황소상어) 심지어 뉴욕의 허드슨강이나 미시시피강까지 사람이 사는 지역에도 서식하기도 한다. 이런 능력때문에 황소상어에게 공격받는 사람은 대부분 상어가 민물에서 서식하지 못할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강에서 수영을 하다 공격받는다. 아까 말했듯이 황소상어는 가장 위험한 3종의 상어 중 제일 작은 종류이기 때문에 민물에 서식이 가능하다는 큰 메리트가 있다해도 위험성은 제일 낮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이 있듯이 "아무도 날 막을 순 없으셈ㅋ" 사실 3종류의 상어 중 가장 지랄맞은 성격을 가지고 있는 녀석이다.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없으며 현존하는 모든 생명체 중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량이 가장 많고 심지어 암컷까지(?) 분비량이 엄청나다 발정기의 아프리카코끼리보다도 높은 수치라고.. 이때문에 엄청난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데 뱀상어는 눈앞에 있는 물체가 사람인걸 인식하면 공격도 안하고 교감까지 가능하며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내는 백상아리마저도 지능이 높아 인간과 친해질수도 있는데 "ㅅㅂ 왜 건드리고 지랄이야!!!" 얘는 자기 앞에서 얼쩡대거나 만지기만 해도 바로 응징하는 분노조절장애다. 하마 무리에게도 시비를 걸고 심지어 천적인 바다악어한테도 싸움을 건다. 문제는 싸움할때마다 꼭 쳐발린다는거 이 분노조절장애는 당연히 사람한테도 해당돼서 공격성으로만 보면 가장 위험한 상어다. 그러나 크기가 더 큰 백상아리나 뱀상어, 범고래, 바다악어등 천적이 꽤나 있고 1년동안 아예 인명피해가 없을때도 있기에 종합적으로 보면 유일하게 매년 꾸준히 사상자를 내는 백상아리보단 위험한 상어로 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상어 중 민물에서 생존이 가능하고 사람을 습격할 정도로 지랄맞은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해변 습격사건과는 별개로 샛강 습격사건의 범인은 황소상어가 아니냐는 의견이 현재 나오고 있는데 1916년에 발생한 사건이다보니 아직까지 확실한 정보는 밝혀지지 않아서 정확히는 알 수 없다. 그래도 알아야될건 황소상어만이 유일하게 민물에서 생존이 가능한 공격적인 상어라는 것이다. (출처) 그래서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