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ubon
100+ Views

2021년 독일 연방총선 결과


자, 수요일은 역시 독일이죠. 총선 결과를 한 번 그래픽으로 훑어 보도록 합시다.


(여기를 가 보면, 성별, 연령별, 지역구/전국구별, 초선/재선별 목록을 모두 다 뽑을 수 있다. 전체 명단도 가능.)

전에 독일연방 총선제도에 대해 얘기했던 것 기억하실 것이다. "조정"을 하다 보니 이번 총선 역시 원래 정원인 598명이 아닌 총 735명이 되었다(이전 국회보다 26명이 늘어났다). 이 정도만 해도 역대급일 텐데, 최대 800명으로 늘어나는 것까지 우려가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이번 당선자들의 특징을 한 번 봅시다.

독일연방총선제도(2021년 9월 3일): https://www.vingle.net/posts/3970872


이번 당선자들의 특징은 뭣보다 "더 젊어지고 다양해짐"이다. 당선자의 대략 30%가 40세 이하로서, 2017년 총선 당시에는 그 비중이 15%에 불과했었다. 제일 젊은 의원은 녹색당의 23살 짜리 의원 2명이 있다. 특히 녹색당은 당선된 의원의 40% 이상이 40대 이하 연령층이며, 트랜스젠더도 2명이 각각 바이에른과 NRW(즉, 전국구)에서 당선됐다. (좌파당은 10%가 안 된다.)

여성 비중은 34%, 2017년의 31%에 비하면 약간 올랐다. 그 외 제도상 봉쇄조항 5%를 깨뜨린 정당이 2개나 생겼다. 좌파당은 전국 지지율이 5%에 못 미쳤지만, 지역구 3석을 확보한 덕분에 전국 득표율에 따라 총 39명의 의원을 확보했다. 또 하나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세계사를 안다면 모를 수 없는 지역이다)의 덴마크-프리지아인 소수민족 정당 SSW가 1석을 차지한 것이다. 선관위의 인정을 받는 "소수민" 정당의 경우 봉쇄조항 5%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Hintergrundinformation zur Bundestagswahl 2021: Parteien nationaler Minderheiten(2021년 7월 16일): https://www.bundeswahlleiter.de/info/presse/mitteilungen/bundestagswahl-2021/16_21_parteien-nationaler-minderheiten.html


따라서 이론상 집시들도 정당을 결성하여 연방/지방 선거에 출마 가능하다. 이런 정당이 정당명부를 내고 선거에 참여하는 경우, 지역구 혹은 전국 득표율에서 5%와 관계 없이 기존 정당이 전국구를 얻는 평균 득표수를 얻은 만큼 의석이 보장된다.

내 경우 제일 감회어린 것은 아무래도 메르켈보다는 볼프강 쇼이블레이다. 지역구에서 당선됐기 때문에 48년 동안 분데스탁 의원이었거늘 더 하게 생겼다. 그러나 CDU가 제1당이 아니기 때문에, 다음 국회에서의 하원의장은 SPD가 맡게 될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은퇴라 봐야 할 듯, 결국 메르켈보다 의원 생활 더 하는 걸로 이긴 겁니다, 볼 영감.

볼프강 쇼이블레 인터뷰(2015년 9월 15일): https://www.vingle.net/posts/1059423

헬무트 콜의 서거(2017년 6월 18일): https://www.vingle.net/posts/2129116
casaubon
1 Like
1 Share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전세계가 놀란 2018년 대한민국 월드컵 경기
때는 2018 러시아 월드컵 월드컵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를 앞둔 조별리그 순위 월드컵 F조에 배정됐던 우리나라는 1차전 스웨덴, 2차전 멕시코한테 연달아지면서 0승 0무 2패 꼴찌였음 우리가 16강에 진출하기 위해선 우리가 독일을 최소 2점차 이상으로 이기는 동시에 멕시코가 스웨덴을 잡아줘야 가능했는데 하필 우리가 마지막에 만나는 독일이 어떤 나라였냐면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우승국이자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도 강력한 우승후보중에 하나인 나라였음 독일도 스웨덴상대론 이겼지만 멕시코한테 져서 우리나라는 무조건 이겨야 16강 안정권이었는데 우리나라 축구 전문가들도 티비 프로에서 독일전 예상해달라고하면 그냥 얼버무리면서 끝까지 최선을 다했으면 좋겠다 등등 하는게 다였고 당연히 외신들은 전부 당연히 독일이 이길거라고 생각하고 독일이 1위로 올라갈 경우의 수 또는 2위로 올라갔을때 16강에서 누구랑 만나는지 등등에 관심있어 했지 이 경기에서 한국한테 진다는 건 아예 염두에 두지도 않았음 2018 월드컵 직전에 한국 국대 감독에서 짤린 슈틸리케(독일 출신)감독은 저때 (독일이랑 경기전) 인터뷰로 "한국은 3연패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대놓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음 그만큼 아무도 한국이 이길거라는 생각은 1도 하지 않았던 경기임 그런 분위기 속에서 치루어진 월드컵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 비장한 표정의 한국 선수들과 코칭 스탭들 월드 클래스 선수들로 도배된 독일 주전 멤버 월드 클래스 선수들로 도배된 독일 주전 멤버 경기시작 경기 초반부터 매섭게 공격하는 독일 이악물고 막아내는 우리나라 수비진들 손흥민의 아쉽게 빗나가는 슈팅 다시 살벌하게 공격하는 독일, 몸 날려서 어떻게든 막아내는 한국 그렇게 스코어 0:0 전반전 끝 후반전 시작 고레츠카의 결정적인 헤더, 그리고 막아내는 조현우 찬스를 날리는 베르너 슬슬 급해지기 시작하는 독일 끝까지 이악물고 막아내는 한국 경기막판 결정적인 프리헤더 찬스를 날리는 훔멜스 그리고 후반 정규시간 종료 1분전 헐 김영권의 선제골 은 오프사이드기를 들고있었던 부심 ㅠㅠ 주심의 VAR신청, 판독중 VAR 판독 결과 NO 오프사이드 골 인정 이제 진짜 진짜 상황이 심각해진 독일;; (멕시코도 스웨덴한테 지고있는 상황이기때문에 이대로 끝난다면 독일 80년만에 조별리그 탈락임.. 그것도 꼴찌로) 얼마나 급하면 독일 골키퍼가 저기에 ㅋㅋㅋㅋㅋㅋㅋㅋ 노이어 미친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뺏겼다? 와아아아아아ㅏㄱ 손흥민 쐐기골 ㄴ어ㅐ롱ㄴ매ㅣ헝ㄹ닣ㅇ리;ㅎ. 환호하는 선수들과 스탭들 ㅠㅠ 저때까지 선수들은 2:0으로 독일 잡으면 16강 가는줄알고 이악물고 뛰었다고 함 ㅠㅜ 마지막까지 공격을 해보는 독일 그러나 또 아깝게 빗나가는 헤더 그와중에 독일 골키퍼 자연스럽네 ㅋㅋㅋ 그렇게 기적적으로 대한민국은 독일을 2:0으로 이김 이때 한국이 획득한 타이틀 - 80년만에 독일을 월드컵에서 조별예선 탈락시킨 나라 - 유일하게 월드컵에서 독일을 상대로 이긴 아시아 나라 - 역대 월드컵에서 독일을 스코어 2점차 이상으로 이긴 4번째 팀 (이탈리아, 브라질,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그런데 제일 중요한 월드컵 16강은? 멕시코 이놈들이 스웨덴한테 3:0으로 져서 아쉽게도 우리는 16강 못올라감 ㅠㅠ 반면 멕시코는 우리가 독일 잡아준 덕분에 16강 올라감 ^^.. 전 월드컵 챔피언 바짓가랑이 잡고 같이 탈락하는 대한민국 ㅋㅋㅋㅋㅋㅋㅋ 암튼 우리는 떨어져도 그냥 혼자 못떨어진다구 출처 저때 두놈이 미쳤었는데 노이어랑 조현우 ㅋㅋㅋㅋ 다른의미로ㅋㅋ
함락된 도시의 여자
월요일은 역시 독서지. 이 책은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소련이 저지른 베를린 집단 강간에 대한 건조한 보고서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게도 독일 여자가 쓴 이 일기가 독일어로 출판될 수는 없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을 텐데… 일기 원본은 그녀 스스로 마음 속의 검열 때문이었는지 약자나 암시하는 단어로 썼던 모양이다. 읽을 수 있는 글의 형태로는 1950년대 초에 그녀가 직접 옮겼던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출판하려 마음 먹고 있었다는 얘기다. 그래서 1950년대에 영어판이 먼저 나왔고, 독일어판이 잠시 나오기는 했다. 그러나 그녀의 책은 50년대 독일 내에서 숱한 비판을 받았다고 한다. 독일 여자의 명예를 떨어뜨렸다면서 말이다. 그래서 저자는 독일어판 재출판을 자기 살아 생전에는 못 하게 막았다고 한다. 그래서 독일어판은 그녀가 사망한 이후에서나 다시 나올 수 있었고, 영화(Eine Frau in Berlin)화도 그 이후에나 가능했다. 50년대 독일의 비뚤어진 심리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래도 2003년 이후 다시 나온 책에 대해서는 찬사가 이어졌고(하지만 저자는 사망했는 걸?), 역사 분석의 대상이 됐다. 자, 내용 이야기를 하자면 그녀는 1933-34년간 파리 소르본에서 역사/미술사를 공부했었고 그 후 러시아를 여행하면서 약간의 노어를 익혔다고 한다. 당시 기준에서는 상당한 지식인이었던 셈이다. 그래서 제3자인 양 건조하게 당시 상황을 쓸 수 있었을까? 상황 판단도 빨랐고, 결국 그녀는 생존할 수 있었다. 그래서 결국은 뭐라도 알고 있어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얘기인데, 이 책이 드러낼 수밖에 없을 여성주의적 시각은 나보다 훨씬 잘 쓰는 분들이 많으니 검색해서 읽어 보시기 바란다. 물론 예상한 내용이 대다수일 테지만 말이다. 내가 눈여겨 본 부분은 역시 다양한 면모를 갖춘 러시아 군에 대한 묘사와 언어였다. 공산당이라고는 하지만 러시아 군을 구성하는 것도 인간들이었기 때문이다. 복수를 해야 했던 한편, 불쌍히 여기는 마음도 있었고, 착취하려는 마음도 있었다. 주인공이 잘 한 건, 그나마 장교들을 노렸다는 점이다. 여기서 그녀의 무기는 언어.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어눌하더라도, 어휘가 적더라도 자기 모국어를 말해주는 인물에게 마음이 열리게 되어 있다. 노어를 몰랐던 것보다는 아는 편이 생존에 훨씬 유리했다는 의미다. 게다가 제일 “서구적”인 잘 배운 러시아 장교는 그녀가 할 줄 아는 링구아 프랑카, 불어도 할 줄 알았었다. 물론 그가 큰 도움이 된 것 같지는 않아 보이지만 말이다. -------------- 그리 많은 양은 아니지만 읽기 참 힘들었다. 번역이 안 좋아서도 아니고 책이 지루해서도 아니라 너무 먹먹해서다. 전쟁이 끝나고 남은 사람들은 전리품이 되어버렸으며, 껍데기나마 남은 조국은 남은 사람들을 버렸다. 되돌아온 남자친구가 뭘 의미하겠는가? 실제 저자는 결혼하면서 스위스로 이주했다고 한다. 차마 베를린에서, 혹은 독일 내에서 제 정신으로 살 수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