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ubon
5,000+ Views

치즈와 코카인 그리고 킬러

화요일은 역시 네덜란드죠. 짤방부터 보자. 이번 주 슈피겔 표지인데 사진은 네덜란드의 Frau Antje를 그리고 있다. 이 안톄/안티어 아가씨는 우리나라로 보면 일종의 “참외 아가씨”와 같다. 네덜란드 유제품협회(NZO)에서 독일 시장을 노리고, 1961년부터 “치즈 아가씨”를 만들어냈으며 현재는 Floor Schothorst가 맡고 있다.

그렇다면 이 짤방의 내용이 무엇인가? 한 마디로 말해서 네덜란드가 유럽의 콜럼비아가 됐다는 의미다. 게다가 기사가 말하는 문장 자체가 매우 네덜란드 입장에서는 아프다. 국가가 마약에 굴복했다고 쓰고 있기 때문인데, 이 치즈 아가씨는 치즈 안에 코카인을 숨겨두고 있다. 어떻게 된 일일까?

외부에 잘 알려진 것은 아마 올해 7월 초, 범죄 탐사전문기자인 더 프리스(Peter R. de Vries)가 총으로 살해당한 사건일 것이다. 용의자는 네덜란드 최대 마약갱의 두목인 타기(참조 3), 하지만 증거가 부족하고 타기는 2019년 이래 구속 상태이다. 이런 일이 처음인가? 아니다.

2010년대 이후로 네덜란드에서 마약을 캐고 다니는 기자는 물론, 검사, 경찰, 판사, 변호사, 증언자들을 살해하는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뤼터 총리도 살해 위협을 받았으며, 수많은 이들이 경찰의 보호 하에 있고, 재판이라도 열릴 때는 실명이 공개되지 않는다. “증언번호 X번” 식으로 바뀌고 재판도 공개하지 않는다. 2016년에는 한 카페 앞에 잘린 머리가 달리는 사건도 있었고 2018년 6월에는 신문사(De Telegraaf)가 폭탄 트럭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다시 말하지만 네덜란드가 콜럼비아 혹은 멕시코가 되어버렸다. EU 내 마약의 집산지이자 수퍼마켓이 되어버린 것이다. 가령 2019년에 나온 독일 연방형사청(내무부 직속이다, Bundeskriminalamt)이 작성한 조직범죄 보고서 따르면, 네덜란드와 관련 있는 조직범죄 건수만 161건에 달한다. 어째서 네덜란드일까?

원흉은 아무래도 연성마약(즉 대마)을 허용시켰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 이후로 네덜란드에서 마약 산업은 마치 일상의 산업과 같다는 이미지가 퍼졌고, 아예 마약을 제조도 하기 시작한다(참조 4). 로테르담이라는 유럽 최대의 항구도 도움이 됐다. 원래 1976년에 시작된 네덜란드의 마약법/Opiumwet이 대마나 하시시를 마냥 허용하진 않는다. 다만 인당 5g/1일의 사용은 처벌하지 않는다.

네덜란드 정부는 아마 가벼운 마약을 허용하여, 더 심각한, 그러니까 코카인이나 엑스터시 같은 강성 마약을 피할 수 있으리라 여겼던 것 같다. 그러나 한 번 맛들인 이들은 더 센 마약을 찾았고, 더 센 마약은 당연히 불법이기에 여기서 이익이 나왔다. 추정으로는 2000년경부터 네덜란드 조폭들이 직접 강성 마약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미 늦은 것이다. 게다가 옆나라 독일처럼 네덜란드도 어지간해서는 예산을 쓰지 않는 나라이며, 경찰은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허덕였고, 조폭 단체들은 서로 죽고 죽이기 시작했다. 수사는 선별해서 했고, 강성 마약 500-1,000 그램 소지 정도는 검사의 구형도 6개월에서 8개월 사이였다. 2020년에는 6톤 어치의 마약이 발견됐는데… 경찰이 잡기는 했어도 구속이 안 됐다.

그래서… 2021년 “나르코스” 새로운 시즌이 나온다면 그 무대는 네덜란드가 될 것이다.


--------------

참조

1. Frau Antje : https://www.frauantje.de


3. 모로코 이민자 가정 출신의 1977년생 남자이며 그의 갱을 모크로(Mocro)라 부른다. 증거가 부족하다고는 썼는데 만약 더 프리스 기자를 살해한 갱이 모크로가 아니라면 그것대로 또 문제다. 어느 갱이든 더 프리스 기자를 살해할 동기는 충분했다.

여담인데, “모크로”는 네덜란드어권(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모로코 사람들을 가리키는 일종의 슬랭이며, 2018년 네덜란드에서 “모크로 마피아(Mocro Mafia)” 드라마 시리즈가 나오기도 했다(현재 시즌 3까지 나왔다). https://youtu.be/SarOJwIz4Zg

4. 네덜란드에 있는 마약 제조 시설 108 곳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20년 네덜란드 동부 한 마을(네이베인/Nijeveen)에서 매일 200 킬로그램의 코카인을 만드는 시설이 적발됐다. 네덜란드 동쪽? 그렇다. 독일과 벨기에가 접하는 지역이다. 경찰은 적발되는 비중이 전체 10%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한다.

„Narco-Staat“ Niederlande: Im Würgegriff der Drogenbanden(2021년 7월 8일): https://www.grenzecho.net/58701/artikel/2021-07-08/narco-staat-niederlande-im-wurgegriff-der-drogenbanden
casaubon
17 Likes
7 Shares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라스트 듀얼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의 라쇼몽(羅生門, 1950)을 모두들 아실 것이다. 한 살인 사건에 대해 화자가 제각기 나름의 버전으로 얘기를 하는 까닭에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지는 것이다. 당연히 이 기법은 라쇼몽보다 더 오래되기는 했지만(참조 1) 워낙 라쇼몽이 영화계에 던진 충격이 컸던지라 일반적으로 라쇼몽 기법이라 불린다. 이 라쇼몽 기법에는 개념필수적으로 두 가지 요소를 요구한다. “신뢰할 수 없는 화자”와 “모호한 엔딩”이다. 진술이 약간씩 엇갈려야 영화적인 재미를 주기 때문에, 이 신뢰할 수 없는 화자는 라쇼몽 기법을 채용한 모든 영화에 나타난다. 바로 이 라스트 듀얼에 나오는 인물도 마찬가지. 기사와 부인, 그리고 그 부인을 겁탈한 기사의 친구 이 세 명이다. 라스트 듀얼은, 혹은 리들리 스코트는 여기서 모호한 엔딩을 살짝 더 비틀었습니다? 총 3막(참조 2)으로 나뉘는 이 영화에서 마지막 “부인이 본 진실”의 장은 제3막임을 표시하면서 살짝 “진실(The truth)”이라는 단어만을 남기고 문장의 나머지 부분을 삭제한다. 즉, 라쇼몽 기법을 이용하면서 마지막 단락은 진실 버전이니 이걸 참조하시라는 의도이며, 사실 끝까지 스토리라인을 그냥 혼란스럽게 갈 수도 있었다. 실제 역사도 어느 정도 그러했으니 말이다. “라스트 듀얼”은 프랑스 국왕이 재판 판결로서의 결투를 마지막으로 승인했기 때문에 “라스트”라는 말이 덧붙은 것인데(참조 3) 영화에서 묘사된 내용들 자체는 거의 사실로 보인다. 14세기에 일어난 범죄가 자세히 기록으로 남은 덕분이다. 가령 1차사료격인 당대 기록(프랑스의 왕조 실록이랄 수 있을 Grandes Chroniques de France은 물론 장 프루아사르의 연대기, 변호사의 기록, 법원 속기록 등등)이 워낙 풍부하게 남아 있다. 아마 그래서 책(참조 4)과 함께, 이 책을 바탕으로 영화까지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실제 사건은 영화 속 사건과 같지만 결투 이후 실제로는 자기가 마르그리트를 겁탈했다고 고백한 사람이 등장했었고(참조 5), 영화에서도 잘 묘사되듯, 그렇기 때문에 일부러 르그리(그리고 원래 자기 것이었던 영지)를 무너뜨리기 위해 결투까지 갔다는 주장이 있다. 마르그리트 또한 영화 마지막에서 보여준 그 씁쓸한 표정과는 달리 남편과 행복한 생활을 계속 했으며 그 후로 아이를 몇 명 더 낳았고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의 미덕은 존재하며, 스토리라인이 혼란스럽지는 않습니다. 대본이 되는 책의 저자도 동일하게 말했지만(참조 5), 진술의 일관성과 구체성 때문에 법원은 판단을 못 내리고 있었고, 그때문에 결투 재판까지 갔는데, 그 자체로 부인 측이 상당히 맞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는 의미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미 영주 피에르가 실시했던 재판 결과(결과를 예측한 기사 부부는 이 재판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영화도 똑같이 묘사한다)를 받아들였을 일이기 때문이다. 국왕 및 파리 법원은 그 대신 그 자체로 심리를 계속 했었다. 소를 당했던 기사의 친구 또한, 그 자신이 곧바로 교회 소속(즉, 수도사)이 되어 훨씬 유리하게 전개될 교회 내 재판을 받을 수 있었지만, 굳이 건틀릿(Gauntlet)을 집어들면서 결투를 받아들이는 것도 있다. 그의 변호사는 의뢰인을 계속 의심했다. 그리고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상세히 (라틴어로) 기록에 남겼다. 항상 “그가 말하기를…”이라 덧붙이면서 말이다(참조 5). 짐작하시겠지만 무슨 20세기도 아니고 14세기 시대에서 강간을 이유로 재판까지 간 건수 자체가 극히 드물며(참조 6) 아마도, 마르그리트의 서사는 진실에 가까울 것이다. 아니 그렇다면 잠깐, 지금 내러티브 구조가 라쇼몽 기법이라기보다는 그냥 정반합에 가까운 듯 한데, 위에 말했듯 리들리 스콧의 이 영화가 라쇼몽 기법을 비튼 것이 맞나요? 아예 라쇼몽 기법이 아니라고 해야 하잖을까? 모호한 엔딩이 아니라서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서양중세사를 이따금씩 파헤치는 이유는, 현재 문명의 기본이 서양 중세에 있기 때문이며(참조 7), 정말로 역사가 발전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라쇼몽 기법은 결국 영화의 결론을 애매모호하게 처리하여 관객이 상상하고 토론하게 만든다는 점에 있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 결론이 모호하진 않다고 보며, 하느님은 어떻게든 정답을 주셨다. 영화가 요구하는 것은 그 정답이 맞느냐가 아니라, 지금과 비교하여 생각하고 토론해 보라는 의미일 것이다. 주말 특집으로는 역시 영화가 아닐까요? 빨리 보시라. 곧 내려갈 것 같다. -------------- 참조 1. 가령 시민 케인(Citizen Kane, 1941)의 플래시백 장면(케인의 사망에 대해 전부인과 집사의 진술이 약간 다르다)이 있을 텐데, 이 진술이 영화의 중심은 아니다. 2. 첫 번째는 기사, 두 번째는 기사의 친구, 세 번째는 부인의 시점 및 마지막 결투로 진행된다. 3. 실제로는 이 결투가 국왕/혹은 최고 사법원이 허가한 재판 판결로서의 마지막 결투가 아니다. 레알 마지막은 1547년 7월 10일에 있었으며, 법적 판단으로서의 결투는 리슐리외(삼총사의 그분 맞다)의 청원에 따라 루이13세가 칙령(édit)으로 없앴다. Vivonne et Jarnac, le dernier duel judiciaire en France : https://fr.wikisource.org/wiki/Vivonne_et_Jarnac,_le_dernier_duel_judiciaire_en_France 물론 명예 결투는 비교적 현대(20세기 중반)까지도 존재했다. 4. 당연한 말이지만, 이 책(아마도 동 사례에 대한 최신 성과일 것이다)을 쓴 미국 교수(UCLA)가 맨 처음 이 사건을 파헤친 인물은 아니다. 이미 근세에 디드로 및 볼테르가 이 사건을 분석하기도 했었고 그 외에도 워낙 풍부한 기록 덕택에 (가령 우리가 알고 있는 결과를 의심하는) 상당히 많은 해설이 있었다. 라스트 듀얼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0956867 5. The Woman in Black : https://www.laphamsquarterly.org/scandal/woman-black 6. 가령 1314-1399년의 80여년 동안, 프랑스 지역 네 군데에서 일어난 강간 사건 재판은 12건에 불과했다. The True History Behind ‘The Last Duel’(2021년 10월 14일): https://www.smithsonianmag.com/history/the-true-history-behind-the-last-duel-180978860/ 7. 이를테면 교회 내의 재판과 세속 재판의 차이가 어떻게 발생했으며, 나중에 어떻게 그 간극을 좁히는지 또한 연구 대상이다. 이미 중세 시대 (특히 프랑스와 잉글랜드에서) 강간사건 재판과 그 관련 규범에 대해서는 숱한 논문이 나와 있으며, 비록 칙령에 따른다고 해도 어떠한 “제도”가 중세 시대에 작동했다는 것 또한 강한 흥미를 일으킨다. 8. 짤방은 여기, 예고편도 여기있다. https://www.imdb.com/video/vi175423513 PS. 결투재판에 대해서는 당연히 제 책, “남의 나라 흑역사”의 영국 편에 아주 자세히 나옵니다. 영국에서 무려 19세기 초에 법원 판단을 결투로 가르자는 사례가 나오죠.
인도에서 발생한 <코브라 살인사건>
2020년 5월, 인도에서 한 20대 여성이 코브라에 물려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남편과 결혼해 살던 여성은 집에서 자는 동안에 이미 두번이나 독사에 물려 집이 위험하다는 판단 아래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뒤 남편과 친정으로 피신을 한 상태였다. 그러던 어느 밤, 여성은 또다시 코브라에 물려 숨지고 말았다. 같이 잠을 자던 남편은 "열려있는 창문을 통해 코브라가 들어왔다" 고 증언했고 결국 단순 사고사로 끝날 것 같은 사건은 조금 다른 물살을 타게 된다. 열린 창문을 통해 뱀이 들어왔다고 진술한 것과는 다르게 다른 가족들은 "방은 에어컨을 켜서 창문은 모두 닫혀있었다" 고 증언했고 집 근처는 코브라의 서식지와는 조금 떨어져 있었던 것. 수상함을 느낀 인도 경찰은 조금 색다른 방법으로 해당 사건을 풀어가기로 했다. 유명한 뱀 조련사를 이용해 코브라가 고기 조각을 깨물게 한 것. 코브라가 자력으로 깨물었을 때 고기 조각에 평균적으로 남은 이빨 깊이는 약 1.6~1.7cm 였다. 그리고 코브라 머리를 집어들어 고기조각에 직접 이빨을 박아넣자 사람의 힘이 담겨 이빨자국은 2.4~2.5cm 까지 깊어졌다. 그리고 사망한 여성의 시신에 남아있던 코브라의 이빨 자국 역시 2.5cm 였기에 누군가 코브라의 이빨을 인위적으로 박아넣은 것으로 보고 남편을 긴급체포, 법원에서는 해당 증거를 "공식 증거자료"로 채택해 재판중이다. 사망한 부인의 가정은 부유했고, 자신은 가난했는데 결혼생활 도중 문제가 많았고 부인을 사고사로 위장시킨 후 그 재산을 상속받아 다른 여성과 새살림을 차리고 싶었던 것으로 밝혀져 남편은 계속 무죄를 주장했지만 휴대전화에서 코브라 매매상과 조련사 등과 연락을 주고받고 인터넷에서 독사에 대한 자료를 찾아봤으며, 또한 공격성을 기르기 위해 사온 코브라를 며칠씩 굶겼던 것도 확인됨 부인이 사망하자 남편은 자신의 가족들과 함께 부인의 귀금속 등을 훔쳐내 숨겼던 것도 확인됨 법원은 남편에게 인도에서 두번째로 강력한 처벌인 "이중의 무기징역" 을 선고, 인도에서 사형 다음으로 강력한 이중의 무기징역은 일반적인 무기징역과 다르게 가석방이 불가능함 지역 언론에 따르면 독사를 이용한 살인사건 의심 정황은 지금까지도 몇번 있었으나 증거가 불충분해 계속 무죄가 되었는데 이번 판결로 그런 부분에서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함 출처1 출처2 웬일로 경찰이 그것도 인도 경찰이 저렇게 열심히 수사하다니 더 무서운 건 독사 살인사건이 몇 번이나 있었다니 세상 참 싱글벙글
호불호? '뺑반' 영화 솔직후기/리뷰/쿠키영상 [5분영화겉핥기]
안녕하세요, 재리입니다. 요즘은 그렇게 볼 영화가 마땅치 않은데요, 그래도 알리타 정도는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린북은 뭐 시간이 안 맞고 상영관도 적어서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네요ㅠ 그래서 오늘 보고 온 한국영화는? 경찰이 소재인 작품이 많이 나오네요. 뺑소니 전담반 스토리, 영화 '뺑반'입니다. 호불호에 대한 의견차가 많이 갈리고 있는 영화인만큼 제가 또 직접 확인하러 가봤습니다. 그래서 결론이 뭐냐구요? 흠흠 먼저 말씀드리자면 저는 '불호'입니다. 극한직업이 워낙 마음에 들어서인지 이 정도 작품에는 성이 안 차네요. 일단 장르가 액션인 거 같은데 시원한 장면은 몇 없습니다. 카레이싱 장면이 꽤 유려하게 잘 연출되긴 했지만 역시나 제 기대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었습니다. 카체이싱 액션을 통해 확실히 인상을 주려면 이보다는 더 화려하고 박진감 있어야 했어요ㅠ 저는 그리고 액션영화를 본다, 범죄액션이다! 한국영화다! 이러면 소름 돋을 정도로 멋진 모습이나 속 시원한 사이다를 바라는데요. 이번 영화는 애만 태우다가 끝난 느낌이 강합니다. 오 뭔가 나올거 같아! 싶으면 안 터지고질질 끌다가 결국 막을 내립니다. 그래도 이 영화가 망한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건 바로 이 배우,'류준열' 덕분이라고 정말 생각합니다. 선과 악을 넘나드는 특유의 포스가 정말 독보적입니다. 독전에서의 카리스마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네요. 다른 배우들도 살작씩 짚어보겠습니다. 의외로 공효진의 연기는 생각보다 좋지 않았습니다. 흔히 뜬다고 하는데요, 감정과 설득력이 와닿지 않았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공블리의 매력은 이게 다가 아닌데 말이죠... 염정아도 생각보다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처음에는 꽤 아우라를 풍기며 대단한 활약을 기대했는데요, 오히려 생각과 다른 길로 빠져 당황하게 만드는 역할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영화가 애매해진 이유 중 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전혜진의 연기력이 좋았습니다. 역시 기대를 하지 않으면 예상과 다른 매력을 발견하곤 하죠. 처음부터 별 신경을 쓰진 않았으나 후반부에 멋있는 장면을 연출해주었습니다. 한편, 저는 이 배우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처음에는 바보 같고 허당스러움이 넘치는 캐릭터라고 생각했는데요. 연기도 좋았고 무엇보다 반전매력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끝까지 그 임팩트를 가져갔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ㅠ (손석구의 분량을 늘려죠) 저는 처음에 누군가 했는데, 가수 '키'더군요. 엄청난 파격변신(비주얼적으로)과 함께 뭔가를 보여주나 싶었는데 인상적인 장면은 딱히 없습니다. 오히려 까메오로 출연하신 다른 배우들이 더 돋보여요. 그리고 또 한 명의 주인공, 조정석의 연기인데요. 나쁘진 않았습니다만 악역을 맡기에는 사람 자체가 선한 이미지가 강해요. 정말 밉고 벌 받길 바라는 악역이라기보다 철없고 미쳐버린 부자라고밖에는 생각이 안 들었어요~ 이성민은 까메오로 출연한 수준인데요. 분량대비 임팩트는 주인공들 못지 않습니다. 영화 전반을 이끌고 있는 축에는 결국 이성민 배우의 역할이 크게 작용한다고 보니까요. 대사도 감명 깊고, 연기력이 무엇보다 명불허전입니다. 연기라기보다 그냥 그 캐릭터 자체가 되는 분이예요ㅠ 사실 소재 자체는 좋았습니다. 뺑소니와 불법카레이싱은 실제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죠. 하지만 좋은 소재를 애매하게 풀어냈다는 점이 참 아쉬워요. 1개의 쿠키영상을 통해 속편을 예고하기도 했지만 과연 2편은 어떻게 나올지 기대보단 걱정이 앞서네요. 호불호는 언제나 존재하기에 저의 의견은 참고 정도로만 부탁드릴게요! 영화 '뺑반'이었습니다.
거의 xxx급! '극한직업' 영화 솔직후기/리뷰 [5분영화겉핥기]
안녕하세요, 재리입니다. 드디어 보고 왔어요ㅋㅋ아 아직도 웃음이 멈추지 않네요ㅋㅋ 정말 기회만 된다면 n차도 가능합니다! 같이 보실분~!~ 오늘의 영화는 액션인가 코믹인가 영화 '극한직업'입니다. 정말 한국액션코미디의 바이블 같은 작품이라고 생각하네요. 정말 딱 이 정도만 하면 얼마나 좋을까 다른 오락영화도! 웃음을 전적으로 사냥하기 위해 나선 스쿼드예요ㅋㅋ 개그맨들인지 경찰인지 헷갈리실 수도 있어요~ 제가 정말 영화보고 잘 안 웃는 사람인데 오늘 영화는 꽤 많이 웃어가지고 신기하네요 웃음요소가 많고 계속해서 관객들의 웃음을 사냥하기 때문에 자칫 B급 코미디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거리조절과 밀당을 적절히 잘 했다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미친듯이 가볍고 때로는 꽤 심각하고 걱정도 됐지만 결국 시원한 액션과 마무리로 오락영화의 본분을 다 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고 웃었던 장면ㅋㅋㅋㅋㅋㅋ정말 너무 좋다 이 팀... 극한직업 마약전담팀의 매력은 출구가 없습니다. 제발 이들의 매력을 못 느껴본 사람이 없게 해주세요ㅠㅠ "기다려~" 잊지 못할 대사입니다ㅋㅋ 영화가 좋았던 건 시종일관 웃기지만 과하게 웃음에만 치중하지는 않았습니다. 액션영화답게 액션마저도 화려하더군요. 배테랑을 떠올리게할만큼 시원하고 멋있는 액션이 또 준비됐습니다. 거의 저에겐 배테랑급의 인상적인 영화였고 액션영화는 이 정도만 해다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배테랑도 그렇고 이 영화도 그렇고...제발 속편을 주세요ㅠ 하...속편 나오면 평점 상관없이 당일날 보러 가겠습니다! 배우들의 케미도 너무 좋고 한 사람에게 몰리지 않고 균형있게 활약합니다. 누구 하나 겉돌거나 튀지 않고 모두가 주인공인 작품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 간략하게 요약하며 총평을 해보자면 이동휘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존재감이 가장 어울리는 배우입니다. 이하늬는 세련된 외모와 달리 진정한 배우의 모습을 가진 사람입니다. 진선규는 앞으로 범죄액션을 선도할 대단한 배우로 더 성장할 거라 봅니다. 공명은 이 영화에서 가장 많은 사람을 웃긴 인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류승룡은 서민의 편에서, 가장 처절할 때 가장 큰 힘을 얻는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자세한 부분은 직접 영화를 통해 확인하시길~ 영화 '극한직업'이었습니다.
'버닝썬 게이트' 이슈 물타기 안돼
"그래서 장자연은?" 온 나라가 가수 승리와 정준영, 그리고 그들 카카오톡 단체대화방에서 흘러나온 추잡한 이야기로 뒤덮여 있다. 버닝썬으로 불거진 마약, 성매매 알선, 성폭력, 경찰과의 유착, 정준영의 몰카 성범죄 등의 뉴스가 다른 주요 이슈들을 집어삼켰다. 주요 포털 실시간 검색어(실검) 또한 이들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파렴치한 행각은 대중들의 관심을 너무나 쉽게 독차지했다. 유명 연예인과 성(性), 마약 등 흥행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더 큰 이슈가 흘러 넘치는데 언론은 대중의 관심을 등에 엎고 '버닝썬 게이트 화(化)'에 총력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정작 10여일 남은 이달 안에 꼭 진상을 밝혀야 하는 중요한 사건은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지고 있다. 바로 '장자연 사건'이다. 사실 국내에서 정치권력을 뛰어넘을 수 있는 일부 언론권력의 일가가 관계된 장자연 사건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버닝썬과 그 경중을 비교한다고 하면, 본 기자는 장자연 사건이 더 우선돼야 한다고 본다. 장자연 사건은 오는 3월 말이면 미궁에 빠진 채로 종결될 가능성이 높다. 대검찰청 과거사진상조사단 활동이 이달 말 종료되기 때문이다. 장자연 사건 외에도 김학의 전 차관 성접대 의혹도 같이 묻히게 된다. 장자연 사건은 이달 초까지만 해도 여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곧 버닝썬 사건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퍼지면서 저 뒤켠으로 묻혔다. 전형적인 '이슈 물타기'다. 본 기자가 신참기자였던 20여년 전, 기라성 같은 국장급 선배 기자에게 들어 왔던 놀라운 일들이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듯 하다. 당시 선배기자에게 들었던 '카더라' 정보에 따르면, 정권에서 여론의 비판을 받는 일이 생기면 정보기관 및 수사기관에서 미리 파악하거나 준비하고 있던 연예계 비화를 언론매체를 통해 터뜨려 물타기 한다는 것이었다. 주로 여성 연예인과 성상납, 그리고 마약에 관한 이야기였다. 당시 받았던 정서적 충격이 지금까지도 뇌리에 남아 있다. 이는 어찌보면 일종의 음모론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하나의 음모론으로 치부하기에는 그 동안 우리사회의 너무 많은 사건들이 자극적인 이슈로 인해 덮여버렸다. 2016년 조인성과 정우성 주연의 영화 '더 킹'을 보면,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물론 어디까지나 영화일 뿐이지만, 관객을 설득하기에 충분한 시나리오를 전달해 준다. 장자연 사건이 포털과 뉴스에서 사라져 가는 것을 보면서 '그래서 다스는 누구 것?'이라는 온라인 캠페인(?)이 떠올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구속까지 끌고 간 이 운동은 다스라는 회사의 실소유주를 밝히기 위해, 자극적인 물타기 뉴스에도 굴하지 않고, 네티즌들이 SNS 등을 통해 꾸준히 제기했던 자발적인 것이었다. 약자라는 이유로 권력자들의 노리개가 돼야 했던, 슬픈 장자연 사건이 버닝썬 이슈에 물타기 돼 사라지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그래서 장자연은?"
3월 22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및 만평모음
= 23/03/22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 1.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은 이미 수십 차례에 걸쳐 우리에게 과거사 문제에 대해 반성과 사과를 표한 바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에는 반일을 외치면서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세력이 엄연히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미친 듯이 친일을 외치는 도지사도 있고 일장기를 다는 미친놈도 있더이다~ 2. 민주당이 ‘주 69시간제’ 논란을 초래한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에 대응해 ‘주 4.5일제’로 점진적 전환을 유도하는 법안으로 맞불을 놓았습니다. 민주당은 주 4.5일제 도입과 관련 토론회를 개최해 입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걸 맞불이라고 해서 하는 말인데, 이건 맞불이 아니라 세계적 추세 아닌가? 3. 이재명 대표가 ‘독도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최근 한일 정상회담 테이블에 ‘독도 영유권’ 문제가 올랐다는 논란과 관련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보다 공고히 하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거야말로 반대할 사람 아무도 없겠거니… 라고 생각하면 오해거니~ 4. 주호영 원내대표는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하영제 의원에 대해 ‘불체포특권 포기가 사실상의 당론’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의총을 해봐야 알겠지만, 당론까지 정하지 않을 것 같다”고 했습니다. 지역구가 경남 사천이라 어차피 물갈이하려고 했다 그거네 뭐… 불쌍한 영제야~ 5. 지난 3.1절에 세종시 아파트에 일장기를 걸어 논란이 된 목사가 지난 대선 당시 특별당비 모금 캠페인에 참여해 윤석열 대통령 후보 명의의 감사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목사는 국민의힘 당원으로 확인됐습니다. 역시 예상을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 어떻게 역사 공부는 좀 했니? 6. 20%대까지 곤두박질쳤던 기시다 일본 총리의 지지율이 한국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안 발표와 한·일 정상회담 이후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2주 연속 긍정 평가는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상승한 윤석열 대통령과는 정반대입니다. 뭔 짓을 하고 왔는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나 싶어요~ 딱 봐도 알겠지? 7. 일본의 국회의원이 강제동원과 관련한 사죄 표명이 더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자민당의 마쓰가와 의원은 일본 내 외국 특파원들과 가진 질의응답에서 “강제동원 문제는 한국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가서 폭탄주만 말아 드신 게 아니라 아주 폭탄을 터트리고 오셨구만~ 8. SBS가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개편 한 달 반 만에 급작스럽게 앵커를 교체해 윤석열 정부에 비판적 발언을 해왔던 주 앵커에 대한 '외압 인사'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SBS 보도본부장은 “터무니없는 의혹”이라고 반박했습니다. 터무니없고 어이없는 짓이 하도 많다 보니… 검찰 출신 앵커 나오려나? 9.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을 만난 뒤 했던 비속어 논란에 대해 당시 미국 측은 별문제 없다는 반응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인권 보고서에서는 한국 대통령실의 언론 대응이 폭력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남들도 다 아는 것을 ‘아니다’고 주장하는 것, 그게 터무니없는 것 아니냐? 10.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회계자료 제출 요구와 과태료 부과 등과 관련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했습니다. 양대노총은 “회계 공개 거부를 이유로 과태료를 부과한 것은 노조의 자주권 침해”라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후보 지지 선언’했던 노조는 지금 무슨 생각 하고 있을까? 좀 궁금하네… 11. 경찰이 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면서 희생자 158명과 생존자 292명 등 총 450명의 카드 사용 내역을 조회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통지서를 받은 유족과 부상자들은 사전에 동의하지 않았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참사에 대한 책임 전가를 위해 이제 별짓을 다 하는구나… 인간아~ 12.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오래 지속되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일랜드 국립대학 연구팀은 우울증이 뇌 건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뇌졸중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윤석열 때문에 생명의 위험을 느끼고 사는 건 아닌지… 홍준표, 굴욕외교 비난에 "대통령, 굴종 넘어 굴욕도 감수". 여론 악화에 카메라 앞에 선 윤석열 대통령 25분간 발언. 기시다 “윤 대통령 건배하면서 술 다 마셔 깜짝 놀랐다”. 한일 회담 성적표, 국내 부정 여론 속 일본 여론은 '긍정'. 윤 대통령 "문재인, 한일관계 수렁 방치" 작심 비판. 야, 교육위서 정순신 아들 학폭 청문회 개최 단독 처리. 여당 "야당 반일 선동, 이재명 기소 전망 속 망언 퍼붓는 것". 주호영 "민주당 국회 운영은 민주주의 절차 무시·파괴". 윤, ‘일본 수 십번 사과’ 발언 일본도 “이런 대통령 처음”. 태영호, 안보가 우선 “수도권에 사드 추가 배치해야”. 민주당, 윤 대통령 ‘신 을사오적’ 비판 국정조사 압박. 정의당, 한일정상회담 국정조사 추진에 “충분히 검토 가능”. 용기란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즉, 두려움이 없으면 용기도 없다. -에디 리켄베커- 용기란, 두려움의 극복입니다. “두려움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는 것은 결국 승리하지 못했다는 말일 것입니다. 불의에 맞서야 하는 것도 분명 용기가 필요합니다. 단, 혼자라서 두렵다면, 나와 함께 하는 동지가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 류효상 올림.
우러전쟁 최신 근황 (불레다르 전투의 교훈)
3개월째 이어진 불레다르 전투가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 같아서  오늘은 불레다르 전투의 교훈으로 글을 쓰려고 함.  아직 소규모 교전이 이어지고는 있지만 뭐 이 정도 결과면 결말이 나왔다고 봄. 불레다르 전선은 바흐무트, 아브디브카 다음으로 러시아군이 공을 들인 전선임.  러시아 해군 보병대가 이 전선을 담당했으며 대규모 기갑부대로 불레다르를 공격함.  러시아 점령지와 매우 가까운 거리. 지형 장애물이 없는 완벽한 개활지. 도시라고 하기엔 너무 작은 불레다르 크기. 압도적으로 많은 러시아군 부대 수.  러시아군이 쉽게 이겼어야 맞는 전투였음.  정상적인 전투였다면 대승, 압승을 거둬야 마땅했음. 그런데 불레다르 전투의 결과는  '우크라이나군의 우주 방어를 도저히 뚫을 수 없다...' 로 진행되는 중임. 러시아군은 3개월째 소규모 정착지를  못 뚫고 고전하고 있음.  어째서 불레다르를 못 뚫었는가? 불레다르는 진짜 작은 동네임.  여긴 너무 작아서 시가전을 오래 할 수 있는 동네가 아님. 불레다르로 가는 길이 먼가? 러시아 점령지와 불레다르 뒷동네 사이의 거리가 3.8km임. 그렇다면 불레다르와 러시아 점령지는 2km, 3km 이 소리임.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 그게 불레다르 전선의 길이임. 불레다르 전투의 기괴한 비밀은  터무니없는 물량의 대전차 지뢰에 있음. 우크라이나군이 불레다르 전선을  무시무시한 지뢰 지대로 만들어 놓은 것. '지뢰밭 그까짓 꺼 공병 부대로 개척해서 통과하면 되지 않냐?' 싶지만 희한하게도 러시아군은 그러지 못했음. 기갑 부대를 지뢰밭에 꼴박해서 터져나가기 일쑤였음. 처음에 꼬라박아 31대의 기갑을 날려 먹고 그다음에 또 꼬라박아 71대 손실을 달성하더니 또 또 또 꼬라박아 총 137대의 기갑을 날려 먹고  그제서야 기갑 꼬라박기의 광기를 멈췄음.  기갑 137대 손실이라는 추태는 조롱거리가 되었고 러시아 오신트들 마저 러시아 국방부를 비판했을 정도임. 지뢰밭 돌격이라는 무모한 작전에 동원된  러시아 병사들이 불쌍해 보일 정도였음.  3월 16일 영국 국방부의 불레다르 전투 평가. 1. 러시아 국방부는 전공 욕심에 조급하게 공격했다. 2. 우크라이나 포병의 지뢰살포탄에 러시아군은 속수무책이었다. 로 생각됨. 우크라이나 포병이 발사하는 서방제 대전차지뢰 살포탄은  예상치 못한 위치, 이미 개척했던 도로 등에 지뢰를 깔아버려 공병 부대가 부실한 러시아군을 농락했음.  공병 부대가 부족했던 러시아군은  고작 3km의 지뢰밭을 못 뚫고 돈좌되었던 것임.  이게 불레다르 전투의 전말이라고 생각함. 러시아군은 보기 좋고 멋있는 전투 부대는 잘 꾸몄으나, 지원 부대를 등한시해서 군대 밸런스를 망쳤음.   보급, 통신, 의료, 공병 이런 부대도  부실해선 절대 안 될 중요한 부대임. 러시아군은 무모한 기갑 꼴박은 멈췄으나  여전히 산발적인 공세를 하고는 있음.  대전차지뢰에 면역인 이족 보행 병기 인간과  포병을 통한 전통적인 시가전에 들어갔다고 봄.  다만 불레다르 전투의 포격은 그렇게 많지 않음. 무슨 이유인지 포격이 미비함.  불레다르의 협소한 크기를 고려하면 각 잡고 포격하면 3일이면 초토화 가능한데 러시아군은 그러질 못하고 있음. 귀하디 귀한 공격헬기를 불레다르 전선에 투입했다가 쥐포로 만드는 등 추태를 반복하고 있음.  '우크라이나군의 우주 방어를 러시아군이 뚫지 못한다.' 이게 우러전이 끝없는 교착상태로 진행되는 이유라고 생각함. 불레다르 전투는 현장 지휘관의 판단보다 '3km 거리? 그까짓 꺼 전차로 밀어버려.'라는  사령부의 책상머리 작전으로 생각되며  (개인적 추측. 지도만 보면 그게 또 맞음.) 공병부대 부족, 포병 부족으로  작은 소도시를 3개월째 밀지 못했다는 게  흥미롭고 신기한 교훈이라고 생각됨.  3줄 요약 1. 러시아군은 고작 3km의 지뢰밭을 뚫지 못해 불레다르 점령에 실패함. 2. 기갑 부대의 지뢰밭 돌격은 기갑 137대 손실이라는 대참사로 끝남.  3. '지원 부대가 부실하면 전투 부대가 힘을 못 쓴다.'가 이 전투의 교훈이라 생각됨. 군사갤러리 후지토라님 펌
유럽의 마약이 어째서 네덜란드에 집중됐는가?
월요일은 역시 마약 이야기죠. 작년 10월에 네덜란드가 유럽의 멕시코 혹은 콜럼비아가 됐다는 이야기(참조 1)를 한 적이 있는데, 비유가 어째서 멕시코/콜럼비아일지 그리고 하필이면 왜 네덜란드였는지의 설명이 좀 부족했었다. 네덜란드가 마약 산업의 중심지가 됐다는 현상만 서술했기 때문이다. 주된 원인은 바로 연성마약에 대한 관용 및 로테르담이라는 거대 무역항이다. (추가하자면, 오랜 긴축 예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보다 근본적으로, 어째서 마약이 유럽의 네덜란드로 흘러들어가는지부터도 궁금하다. 게다가 그 기원이 되는 멕시코와 콜럼비아는 또 무슨 이야기일까? 우리는 넷플릭스 드라마 나르코스로 들어갈 수밖에 없겠습니다. 나르코스는 처음에 콜럼비아 카르텔, 후에는 멕시코 카르텔로 이야기가 바뀌는데,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활약했던 콜럼비아 카르텔 이야기의 경우 주된 수요처인 미국으로 마약을 비행기 혹은 배로 보내는 장면이 여럿 등장한다. 그리고 톰 크루즈가 나옵니다(참조 2). 그런데 당시(80년대) 미국이 어떠했다?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합니다. 영화 속의 배리 실도 그렇고, 콜럼비아에 직접 마약단속국 요원을 파견하는 것도 그렇고 점차 콜럼비아-카리브-마이애미 루트는 꽤 어려워진다. 그래서 떠오른 다른 루트가 바로 멕시코-미국의 육로를 활용하는 루트였다. 그런데 제아무리 미국의 바로 밑이라 하더라도 미국이 멕시코 루트를 막아내지는 못한다. 1994년 체결된 NAFTA 때문이었다. 이쯤 되면, 드라마 나르코스 후반 시즌이 어째서 멕시코에 집중됐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430만 대의 트럭을 어떻게 일일이 다 조사하겠나(참조 3)? 그런데 여기서 콜럼비아 입장을 좀 들어 봅시다. 80년대에는 톰 크루즈를 통해서 시장에 직배를 했거늘 이제는 멕시코 카르텔들에게 수수료를 내야 하는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심지어 멕시코 카르텔들이 이제는 현금이 아니라 현물을 요구했다(참조 4). 그래서 콜럼비아 카르텔들 입장에서 유럽이 눈에 들어온 겁니다. 게다가 어지간한 남미 국가들하고 범죄인 인도협상이 체결되어 있는 미국과는 달리 유럽 국가들은 남미와 그런 조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마피아 하면 이탈리아 아니던가? 이탈리아 마피아부터 뚫어 보자(참조 5). 그러나 이탈리아 마피아에게 마약을 공급하던 콜럼비아 카르텔 두목이 또 미국으로 송환되는 바람에… (참조 5) 카르텔들은 네덜란드/벨기에(로테르담/안트워프) 루트를 개척한다. 그중에서도 해마다 4억 4천만 톤의 물류를 처리하는 로테르담이 마약을 숨기기에 제격, 현지 마약의 인수인계 및 배포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 특히 많이 모여 있는 모로코 갱(현지에서는 ‘모크로 마피아’라 부른다, 동명의 네덜란드 드라마 시리즈도 있다)이 맡았고 말이다. 현지에 이미 존재했다는 이유 외에도, 이들이 특출난 이유가 또 하나 있다. 모로코 또한 대마 재배가 일상화된 지역이며(모로코에서 ‘하시시’ 하면 대체로 그걸 가리킨다), 이미 거기서 나온 마약을 그들이 맡고 있었기에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바로 현재의 상황이다. 선진국 네덜란드가 이렇게 유럽의 멕시코/컬럼비아가 된 꼴인데(참조 6), 다만 네덜란드가 현금을 거의 쓰지 않는 선진국인 덕분에(?) 자금 세탁은 주로 UAE에서 이뤄지는 모양이다. 바로 모크로 마피아의 두목 중 하나가 두바이에서 잡혔기 때문인데, 마침 G7 산하의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UAE를 “회색 리스트”에 넣어둘 가능성이 높다. 이란과 북한 그 다음 레벨이다(참조 7). ---------- 참조 1. 치즈와 코카인 그리고 킬러(2021년 10월 19일): https://www.vingle.net/posts/4064796 2. 당시 콜럼비아에서 미국으로 마약을 수송하던 비행기 조종사 Barry Seal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American Made (2017)의 주인공이 톰 크루즈였다. 예고편은 여기, https://youtu.be/AEBIJRAkujM 3. How NAFTA helped create the modern drug trade(2019년 1월 5일): https://www.vice.com/en/article/yw77pg/how-nafta-helped-create-the-modern-drug-trade 4. 처음의 멕시코 카르텔들은 오로지 미국 내 수송에만 집중했었는데, 점차 미국 내 마약 배급과 유통에도 손을 대기 시작한다. 그러려면 역시 현물을 받아야 한다. 5. The Italian Mafia and the Move Upstream(2021년 2월 9일): https://insightcrime.org/investigations/italian-mafia-move-upstream/ 6. 심지어 14세 소년이 가담하는 경우도 있었다. 촉법(…)이기에 우후죽순 어린이들을 고용한다고 한다. Zelfs 14-jarigen smokkelen coke uit de haven: 'Beloning van 30.000 euro'(2021년 9월 19일): https://www.rtlnieuws.nl/nieuws/nederland/artikel/5255186/uithalers-haven-rotterdam-smokkel-drugs-cocaine-wet 7. UAE Faces Risk of Inclusion on Global Watchlist Over Dirty Money(2022년 1월 4일):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1-04/uae-faces-risk-of-inclusion-on-global-watchlist-over-dirty-money 8. 전체 이야기는 네덜란드의 Afonso 교수의 트윗을 따랐다. https://twitter.com/alexandreafonso/status/1486453613052370949 짤방은 여기 Käse, Koks und Killer(2021년 10월 15일): https://www.spiegel.de/panorama/justiz/wie-die-niederlande-mit-naiver-drogenpolitik-die-mafia-gross-machten-kaese-koks-und-killer-a-f124c1ca-f177-482c-a7e5-1ab165a98b04
3월 2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및 만평모음
= 23/03/21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 1. 국민의힘 지지율이 전당대회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컨벤션 효과’가 종료된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과 동반 하락하면서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많이 우경화가 되긴 한 거지… 저 정도밖에 안 빠지는 거 보면~ 2. 윤석열 대통령이 근로시간 유연화에 대해 "임금 및 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 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최근 ‘주 69시간 노동’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한 지시로 해석됩니다. 지가 싸놓은 x을 왜 남 탓하듯 저러는지… 저것도 재주라면 재주야~ 3. 이재명 대표는 "정부가 임기 5년 동안 국익에 피해를 입히는 결정을 함부로 할 권한은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권의 대일 굴욕외교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서 국회가 강력한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가를 보호해야 하는 의무는 바라지도 않아요. 제발 쪽팔리게나 하지 말길~ 4. 주호영 원내대표는 “181석의 힘으로 밀어붙이면 내년 4월 선거에서 폭망 할 것"이라며 민주당과 야권을 겨냥했습니다. 지난 선거에서 민주당의 패배는 국민들이 민주당이 하는 방식을 거부하겠다는 확고한 표시라고 주장했습니다. 그걸 소망하는 양반이 하는 말인 걸 보면 잘하고 있다는 얘기 임. 걱정 말어~ 5. 김재원 최고위원은 "하루빨리 국회의원 정수를 299명 이하로 개정하는 것이 헌법 정신에 맞다”고 밝혔습니다. 헌법에서 200인 이상으로 한단 의미는 200명에서 299명까지 상정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게 맞다는 주장입니다. 당선만 된다면 조상 묘도 판다는 분이 교회 장로라며? 회개 기도는 했니? 6. 정진석 의원이 “국민이 일본이 좀 더 성의 있는 사과를 하길 바라는 점을 이해하지만 일본도 노력을 한다”면서 일본을 두둔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발 좀 식민지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당당하게 일본을 대하자”고 말했습니다. 대체 어떻게 하는 게 당당한 건데? 국민의힘처럼 알아서 기고 막 그러는 거? 7. 유승민 전 의원이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외교가 성공적이었다고 하는 것에 대해 “어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가해자가 피해자의 상황으로 전도시켜 놓고 이것을 외교적 성공이라 자랑하니 어이가 없다는 비판입니다. ‘호텔 직원과 공항 직원이 박수를 쳤다’고 자랑하던데… 그걸 자랑이라고~ 8. 최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전문가들 “윤석열 정부가 대일 외교 ‘레드라인’ 모두 허물어 버렸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징용 배상에 대한 대법원판결을 부정한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삼권분립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매국노 이완용이 웃는다”는 구호가 좋아서 웃는다는 걸로 알지도 몰라~ 9. 검찰이 이재명 대표를 이번 주 중 기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주당의 '당헌 80조' 논란도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민주당 당헌 80조는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됐을 때 당직을 정지한다’는 내용을 담은 조항입니다. ‘선당후사’를 얘기하려면 먼저 당을 위해 단합하는 모습 좀 보여 줘야지~ 10. 전국 역사교사들은 ‘제3자 배상안’의 굴욕적인 배상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내 최대 역사교사 단체인 전국역사교사모임은 ”우리나라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논리는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자고로 국민 이기는 정권 없다는 역사적 사실을 꼭 확인하고 싶더냐~ 11. 박근혜 전 대통령이 오는 24일로 정치적 고향인 대구 달성군으로 돌아온 지 1년을 맞게 됩니다. 박 전 대통령의 잠행이 길어지며 보수의 성지가 될 것으로 점쳐졌던 사저는 찾는 이도 없이 적막함만 감돌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벼룩도 낯짝이 있다고 하던데… 무슨 낯으로 얼굴을 내민다는 건지… 12. '한명숙 사건' 모해위증 혐의로 공수처의 소환조사를 받은 임은정 부장검사가 자신의 저서 '계속 가보겠습니다' 일본어판 출간 사실을 전했습니다. 임 검사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일본에서 인기가 높다는데”라며 걱정했습니다. 여기서 모자란 지지율 일본 가서 채우려는 거니까 너무 걱정 마세요~ 13. 술은 암 발생과 명백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공인된 물질이지만, 국민 10명 중 7명은 이런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담배가 발암 물질이라고 알고 있다는 88.5%인 반면 술은 33.5%만이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기시다와 폭탄주 말아 먹은 게 발암 물질 먹이려고 한 거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14. 2천 원 안팎이던 배달비가 최근 5~6천 원, 심할 경우 1만 원까지 치솟으면서 배달 음식을 아예 끊었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배달앱 사용자가 18.5% 줄어들었는데, 업계에서는 '올 것이 왔다'는 반응입니다. 배달 전문 식당 위생도 문제고, 건강 삼아 살살 걸어 갔다 오는 게 좋아요~ 15. CU가 1+1행사의 매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행사 상품 중 1+1 상품의 매출 비중이 10%p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물가 인상이 본격화된 2022년부터 29.0%까지 올라선 반면 2+1 상품은 감소 추세라고 합니다. 사는 게 얼마나 폭폭 한지, 2+1도 선뜻 손이 안 간다는 얘기 아니겠어요~ 10명 중 8∼9명은 마스크 착용 “아직은 쓰는 게 편해”. 이재명 "일본의 독도 언급, 사실이면 헌법상 책임 지적". 권성동 “나라 망친 문 전 대통령, 민주당 ‘섭정’ 노릇”. 민주, '굴욕외교' 윤 정부 공세 집중, 진상규명도 추진. 윤, 긍정 36.8%·부정 60.4% 영남·고령층·보수층 이탈. 대통령실, 쏟아진 비판에 작심 대응 "큰 판 읽어 달라". 기시다, 위안부 이행 요구 일본 보도에 대통령실, 진화 총력. 기시다, 오는 5월 히로사마 G7에 윤 대통령 정식 초청. 사체유기 산부인과 의사 “면허 재발급해달라” 소송 패소. 쿠팡 고객 개인정보 46만 건 유출, 해킹 누리집에서 거래. 인생은 거울과 같으니, 비친 것을 밖에서 들여다보기보다 먼저 자신의 내면을 살펴야 한다. - 월리 페이머스 아모스 - 누구보다 윤석열과 내년 총선에 민주당의 폭망을 걱정해 주던 주호영 원내대표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제는 국제 행복의 날로 우리나라 행복 지수가 150여 개국 중 57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행복이라고 느끼는 것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행복도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닌 것만은 분명할 것입니다. 그쵸? 류효상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