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ubon
1,000+ Views

폴리티코의 의도적인 오역

예전에는 아니었지만 요새들어 특히 신뢰하지 않는 언론사 중 하나가 폴리티코이다.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 1-2 시절이 폴리티코의 전성기가 아니었을까 싶은데, 주말에도 사고를 한 건 일으킨다. 폴리티코 런던플레이북의 편집자, Alex Wickham이었다.

그는 특종이라면서, 프랑스의 카스텍스 총리가 폰데어라이엔(VdL) EC 위원장에게 보내는 편지 사본을 올린다(참조 1). 그리고는 EU를 떠난 영국이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점을 EU가 보여줘야 한다고 해석했다.

위컴은 프랑스어를 모르는 사람이 아니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오역을 하여 영국 내 여론을 반프로 끌어올렸고, 그의 의도는 성공했다. 실제 번역은 이렇다. "공식적으로 한 약속은 협상가능의 영역이 아니며, EU 탈퇴가 EU 잔존보다 더 불이익이 많다는 사실을 유럽 여론에 보여주는 것이 본질적이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폴리티코는 위컴의 트윗을 그대로 기사화 시켰고, 영국과 프랑스 여론은 상대방을 향해 극도로 악화된다. 그렇다면 이 건이 무엇인지 봅시다. 사실 이건 정상급 어젠다로 다루기에도 참 뭐한, 사소한 이슈랄 수 있다.

바로 영국해에서의 어선 조업 라이선스 문제인데, 브렉시트 협상에서 양측은 역사적으로 조업을 해 온 것이 증명될 경우 라이선스를 주기로 했었다. 그리고 이 세상의 어지간한 문제는 어디를 찍으면 된다? 영국입니다.

이미 영국은 국제법 관련이라면 신뢰성이 없는(... 참조 2) 국가이기 때문에 역시나 그러려니 싶은 것이다. 일부러라고 봐도 좋을 만큼 영국은 현재 유독 프랑스 어선에게만 라이선스를 안 주고 있었다. (1) 프랑스 어선들이 증거를 덜(...) 제출했거나 (2) 영국이 프랑스 어선들 제출 서류만(...) 인정 안 해서, 둘 중 하나일 텐데, 이게 또 어떻게 끝날련지는 모르겠다.

그에 대한 해답은? 국제법에서의 "보복조치" 개념은 두 가지로 나뉜다. Rétorsion과 Countermeasure(혹은 Contre-mesure)인데, 조약상 누군가 뭔가를 어기면 발생하는 보복조치가 바로 Rétorsion이며, 그 외의 보복조치(어긴 후가 아니라 어기기 전에도 해당하며, rétorsion의 개념도 포함된다)가 바로 countermeasure이다. 그 중... 제일 오래 된 라이벌답게 양측이 일단은 rétorsion를 따지고 있다.

바로 북아일랜드(참조 3)를 가리키고 있는데, 결국 핵심은 영국이 브렉시트 조약을 지키고싶지 않다는 점에 있기 때문이다. 지키고싶지 않다는 의미는? 그렇게 계속 브렉시트를 이슈화시켜야 보수당에게 유리한 상황을 지속시킬 수 있다. 내년에 재선을 앞둔 마크롱도 물러설 수는 없을 테고 말이다. 그러므로 지금 당장 보면 브렉시트 협상조약의 "세이프가드(제16조)"를 발동시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 다음에는 결국 CJEU로 갈 테고 말이다.

물론 대응조치(countermeasure) 논의도 없지 않다. 저지 섬 등 영국해협의 영국령 섬들에 대한 전력 차단(이들은 전력을 90% 이상 프랑스에 의존한다)을 포함하여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는 모양인데, 오늘의 주제는 그게 아닙니다. 언론이 보통은 갈등 조장과 심화에 꽤 전문성이 있다는 얘기이지요.

----------

참조

1. 여담이지만 높은 가능성으로 그가 브레이트바트 필자이잖을까 싶었는데... 그게 맞았다. https://twitter.com/alexwickham/status/1454180320169930753

2. 국내시장법안과 보리스 존슨(2020년 9월 18일): https://www.vingle.net/posts/3112756

3. 영국 본토와 북아일랜드 사이에서 검역을 발동시킨 브렉시트 협상 내용을 언제든 깨뜨리려고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는 의미다. 그걸 영국이 세이프가드를 통해 강제하면? 자연스럽게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국경이 닫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일랜드가 다시 GFA 이전 상태가 되면? 노 코멘트.

Comment
Suggested
Recent
모르던것을 배워갑니다. 감사해요!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이름 부르기
아래의 짤방은 이코노미스트의 브라질 특파원인 Sarah Esther Maslin의 트윗(참조 1)에 나오는 사진이다. 호자 베베르 브라질 연방대법관이 이른바 “비밀 예산”의 운용을 즉각 정지시켰다는 내용(참조 2)이다. 하지만 오늘의 주제는 그 내용이 아닙니다. 바로 주말 특집, 이름 부르기이다. 사실 매슬린 특파원이 문제를 제기한 까닭은 다른 데에 있다. 브라질 언론들이 남성 공직자들은 성씨를 주로 부르는 데 반하여, 여성 공직자들은 주로 이름으로 부르며, 이거 문제 있다는 주장이다. 예로 든 이 언론사(에스타다웅/Estadão)는 브라질 내에서 Folha de São Paulo와 함께 우리나라 조중동의 지위를 갖고 있다. 언제나처럼 매뉴얼(참조 3)을 먼저 봐야겠습니다? 에스타다웅의 편집 매뉴얼에 따르면 특이하게도 여자 이름에 대한 편집 지침(매뉴얼 5번)이 나온다. 여성은 보통 이름으로 부르되, 성씨로 널리 알려진(pessoas notórias라 표현됐지만 이 단어를 영어의 notorious로 생각하시면 안 되며, 뜻은 ‘잘 알려진 인물’이다) 경우는 성씨로도 쓴다고 되어 있다. 실제로도 의문을 가졌던 적이 있었다. 내가 브라질에 거주했던 기간은 에두아르두 캄푸스가 비행기 사고로 급사하여 마리나 시우바가 뜨기 시작했을 때부터 지우마 호세피(현지 발음이 그렇다, 참조 4) 대통령 탄핵 시기와 겹친다. 당시 언론은 여성 대통령 후보인 마리나 시우바와 지우마 호세피를 어떻게 불렀을까? 백이면 백, 모두 다 마리나 혹은 지우마, 이렇게 불렀었다. 하지만 내 의문은 여자여서 이름을 불렀다는 것이 아니라, 동방예의지국 출신답게 당시 현직 대통령 혹은 대선 후보를 이름만으로 부르는 것이 과연 예양에 맞느냐, 하는 점이었다. 그리고 해당 트윗의 여러 답글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여자들만 특별히 이름을 불렀다는 기억이 없다. 가령 2014년 지우마 대통령의 적수였던 아에시우 네비스는 언론이 대부분 “아에시우”라고만 불렀다. 룰라 전대통령의 경우는 성씨인 “다 시우바”가 아닌, 그냥 별명(룰라)으로 불린 특이 사례라 할 수 있을 텐데, 위의 “로자”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대법관이자 남성인 지우마르 멘지스(Gilmar Mendes) 또한 브라질 언론은 모두 그냥 “지우마르”라 부른다. 여성이라고 이름만 부른다는 얘기가 아니다. 물론 최근의 대통령 2명은 성씨(테메르, 보우소나르)로 부른다는 점도 있겠다. 하지만 또 브라질의 유명한 전직 대통령들 중에서도 이름만 부르는 경우(가령 제툴리우, 주셀리누)도 많다. 그래서 요점은, 다른 나라에 비해 브라질은 남녀 막론하고 그냥 “이름”만 부르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인데, 이게 좀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느낌이다. 보통 언론이 이름만으로 부른다는 점은 두 가지 이유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는 친숙함, 두 번째는 성씨가 느껴지는 거리감이다. 가령 라바 자투를 주도하고 룰라 전대통령의 구속을 이끈 장본인이자 내년 대통령 선거에 나올 것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 세르지우 모루 전법무부장관 또한 그냥 “세르지우”라 부를 때가 많다(모루, 하고 성씨로 부를 때도 많지만 말이다). 지우마 전대통령도 마찬가지, 지우마가 더 친숙하다. 두 번째는 성씨를 부르는 것은 너무 “공식적”이라서 거리감이 느껴진다는 점이다. 첫 번째랑 연결되는 이유인데, 거기 사람들 특유의 문화가 있다. 어느 정도 친해지면 성씨를 안 부르는 것이다. 물론 서양 문화가 다 그렇다고 할 수는 있을 텐데 여기서는 이게 소위 메이저 언론사들도 그렇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이지. 그렇지만 이렇게 쓰고 나면 저 에스타다웅의 매뉴얼과 뭔가 안 맞는 느낌도 든다. 실제로 답글 중, 학부의 저널리즘 수업에서 저런 식의 교육을 받는다는 이야기도 있고, 미소지니가 없다고 단정지을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다는 의미다. 한편으로는 이코노미스트 특파원이 아무래도 영미권의 시각이기 때문에 저런 지적을 한다는 부분도 있겠다. 그래서 결론은 사실 모르겠다에 가까운데(그냥 경로의존성 아닐까?), 더 흥미로운 점은 이렇다. 현대의 미국/영국 식 문화와 관습이 결국은 전세계에 다 퍼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게 바람직하다거나 적대시해야한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결국은 1세계의 트렌드가 퍼지는 쪽으로 가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더 강해지는 요즘이다. 언제나 클린턴이 아닌 “힐러리”로 기사를 작성하던 이코노미스트 특파원이 지적하는 모습이 더 재미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 참조 1. https://twitter.com/sarahmaslin/status/1457705109111156738 2. 쉽게 말해면 이렇다. 브라질 정부 예산은 연방국가들이 으레 그러하듯 연방하원이 결정한다. 다만 정부의 예산안 외에, (1) 의원 개개인, (2) 지역별 그룹, (3) 각 상임위원회, (4) 예산심사안 보고자(relator)가 개별로 예산을 증감시킬 수 있는데… 이 보고자가 주무를 수 있는 예산이 극도로 불투명하다는 점이 문제이다. 우리가 보통 국회의 “쪽지 예산”을 많이들 비판하지만 브라질의 경우는 이 예산이 그냥 “나눠먹기” 식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법원의 명령은 의원들이 이 “비밀 예산(orçamento secreto)”이 문제 있는 조달에 쓰였다며 대법원에 해석을 요청한 것에서 나왔다. 3. Manual de redação : https://www.estadao.com.br/manualredacao/esclareca/nomesproprios 여담이지만 내가 양대산맥(!)으로 지칭한 Folha 지의 경우, 편집 매뉴얼을 출판하는 언론사인데(일본 언론사들이 생각나는 지점이다) 예전에는 하나의 기사 안에서 두 번째로 동일 인물을 지칭할 경우, 성씨만 썼었다고 한다. 지금은? 맥락상 이름만 쓸 수도 있는데, 그 기준이 좀 애매하다. 4. 브라질과 유럽 포르투갈어의 차이(2021년 6월 29일): https://www.vingle.net/posts/3824702
2차대전 한반도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유일한 한인
정상진 (1918~2013) 1918년 연해주에서 태어난 고려인 2세 출신. 고려인 강제이주로 인해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했고 거기서 사범대학 재학중, 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을 직접만나 '언젠가 일본과 싸울 기회가 있을거니, 반드시 일본군 상대로 이겨야한다'고 얘기듣습니다. 그는 졸업 후 교사로 일하던 중 2차대전이 발발, 소련군에 입대 1945년 8월, 소련의 8월 폭풍작전때, 8월 13일 한반도 북부 청진 상륙전투에 참전하여 일본군과 직접적으로 교전, 승리.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2차대전에 정규군으로 참전해서 한반도 내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유일한 한인이라고 합니다. 해방 이후에는 북한 현지인과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을 찾던 소련군정에 발탁되어 여러 직책 역임. 북한 초기 정치 파벌 공부하다 보면 나오는 이른바 '소련파'의 일원으로 분류됩니다. 북한 정부 수립 이후에도 북한에남아 문화부상(차관급)까지 올랐으나, 1950년대 후반 김일성의 소련파 숙청으로 인해 북한에서 추방되어 소련으로 돌아갑니다. 한-소 수교 이후에는 한국도 여러차례 방문했고 대한민국 정부 기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습니다. 고려인 사회에선 상징적인 인물 중 한명이기도 했습니다. 클리앙 펌 괜히 뭉클하구려...
자신만을 사랑한 왕
어느 나라에 왕이 있었는데 자신을 치장하는 것에만 시간과 정성을 쏟는 것이 그의 일과였습니다. 백성은 어떻게 살든지 왕은 자기만을 생각했습니다. 매일 여러 장식이 주렁주렁 달린 눈부신 의복을 입고 항상 거울 앞에서 자신의 자랑스러운 모습을 보며 뽐냈습니다. ​ 그러던 어느 날 왕과 나라를 진심으로 걱정한 한 신하가 왕 몰래 매일 들여다보던 거울을 치워버렸습니다. ​ 다음날 왕은 평상시처럼 자기의 모습을 보려고 거울을 찾았으나 거울은 보이지 않습니다. 거울을 찾던 왕은 거울이 있던 자리의 창문을 우연히 보게 됐습니다. ​ 그런데 창문 밖,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모습은 왕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굶주림에 지쳐 얼굴이 창백한 여인과 아이들을 보았습니다. ​ 한참을 바라보던 왕은 무언가를 깨달은 듯 자신의 화려한 의복 대신에 소박한 옷으로 갈아입고 백성들 가운데로 나아가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고 그들의 아픔을 함께 나누었다고 합니다. ‘자신을 사랑하라’ 자신을 사랑할 줄 알아야 이웃도 사랑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삭막해지는 세상을 살다 보면 스스로 손해 보지 않으려 더 강하게 자신을 지키려고 합니다. ​ 그렇게 점점 자신만 생각하다 보면 타인에게 어떤 관심도 두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국 세상에 자신을 사랑해주는 사람이 자신밖에 남지 않습니다. ​ ​ # 오늘의 명언 관심이란 곧, 나 아닌 타인에게 마음 한 자리를 내어주는 일입니다. 나 아닌 타인에게 내 시간을 내어 주고, 내 삶을 조금 나눠주는 일입니다. – 송정림 작가 –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 ​ #관심#타인#배려#인생#삶#명언#영감을주는이야기#교훈#따뜻한하루
11월 1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및 만평모음
= 2021/11/15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 1. 민주당이 추진하는 양도소득세 개편 법안에 대한 국회 논의가 본격화합니다. 여야 모두 양도세가 비과세되는 고가주택 기준을 상향하는 데는 대체로 공감대를 이루고 있지만, 각론에서는 이견이 있어 개편 수준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선거가 가까워지긴 한 모양입니다. 여야가 이렇게 한목소리를 내는 거 보면… 2. 이재명 후보가 당내 경선 이후 한 달가량 지속된 정체기에서 벗어나 다시 상승세를 노리고 있습니다. 윤석열 선대위가 출범을 앞두고 진통을 겪으면서 국민의힘 측 컨벤션 효과도 곧 주춤해지지 않겠느냐는 판단에서입니다. 남의 집안 사정만 따지고 상승세를 노리다가는 노리기만 하다 끝나는 수도… 3. 윤석열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를 오차범위 밖으로 따돌리고 있습니다. 정권교체 여론도 정권재창출 여론을 훌쩍 상회함에 따라, 윤 후보가 2007년 이명박 후보처럼 '대세론'으로 승리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그런 대통령 만들어 놓고 땅을 치고 후회하는 꼴을 또 볼지 귀추가 주목된단다~ 4. 윤석열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에 ‘실세’로 꼽히는 총괄선대본부장 자리가 사라질 전망입니다. 이는 “허수아비 노릇 하지 않겠다"는 김종인 전 위원장의 영입을 위해 총괄선대위원장에 힘을 실어주는 조직 구성으로 풀이됩니다. 줄들 잘 서라고~ 줄 잘못 서면 뭐라도 한 자리 ‘줄리’ 없잖니~ 5. 윤석열 후보가 한일관계 악화 책임을 오롯이 우리 정부에만 물었습니다. 강제징용이나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태도는 지적하지 않은 채 우리 정부가 외교 문제를 국내 정치에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종전선언도 시기상조라는 일본이랑 어찌 그리 생각이 같은지… 6. 안철수 후보는 김종인 전 위원장의 역할론에 대해 "윤석열 후보가 휘둘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야 국민들로부터 대통령감으로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통령 선거는 후보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선거"라고 말했습니다. 안철수 입장에서야 김종인이 선대위원장 하면 찬밥 대우 밖에 더 받겠어? 7. 검찰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권오수 회장의 구속 여부에 따라 주가조작에 돈을 댔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윤석열 후보 부인 김건희 씨의 소환 조사가 달려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본인 + 부인 + 장모 = 본부장)이라는 말이 안 나오면 그게 더 이상한 거지~ 8. 김동연 후보 측은 윤석열 후보를 향해 "정치 검사 출신은 DJ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통합의 정치를 거론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두환 옹호와 개 사과 이후 진정성 없이 ‘통합'을 립싱크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본부장’ 셋이 청와대를 들락거릴 것을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진짜~ 9. 앞으로 연합뉴스의 기사를 포털 뉴스란, 랭킹, 모바일 구독 등 뉴스 서비스 전반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고 검색 결과에만 뜨게 됩니다. 광고성 기사를 10년간 2000건 올린 사실이 적발돼 포털에서 퇴출 결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광고성 기사라고 하면 조중동도 만만치 않을 텐데… 형평성이 없네~ 10. 개그맨 강성범이 "대선에서 여당이 지면 이 나라는 박살 날 것"이라고 하자 진중권 씨는 "그 나라 이미 박살 났다"고 비난했습니다. 또 “나라 꼴이 안 보이는가"라며 “하여튼 개그맨으로서 처음으로 웃겼다. 인정”이라고 비꼬았습니다. 그러는 진중권은 개그맨도 아니면서 왜 이렇게 웃기고 그런 거지? 인정~ 11. 최근 2∼3년간 아파트 공급 물량이 쏟아지면서 대구시 전역에 신축 공사가 한창입니다. 재개발 사업 활성화로 어디를 가든 하늘을 보면 철제 펜스 안에 우뚝 선 크레인이 눈에 띈다고 할 만큼 도시 곳곳이 공사판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역시 미분양 속출로 아파트값 잡으려는 대구시장님 현명하십니다~ 12. 경기과학고가 의학계열 대학에 지원한 졸업생에게 재학 중 지급한 장학금 전액을 회수했습니다.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학교 설립 취지에 맞지 않다며 올해 2월 졸업생 중 23명(장학금 1억2천600여만 원)이 첫 회수 대상이 됐습니다. 장학금으로 공부해 졸업했으면 졸업장도 회수해야 하는 건 아닌지… 13. 불법체류 외국인 여성 마사지사에게 성매매를 하라며 감금한 업주 2명이 무죄 선고받았습니다. 재판부는 피해자들이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었고 수사기관에서 피고인들이 감금을 부인했다는 점 등을 종합해 판단했다고 전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성매매는 불법이고, 불법을 종용했는데도 아닌 건 아니구나… 14. 세계적으로 커피가 흉작인 데다가 물류대란까지 겹치면서 국내 원두 재고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가공하기 전 생두 가격이 1년 전 두 배로 뛰면서 6개월 후면 아메리카노 가격이 30% 이상 뛸 거라는 업계 전망까지 나옵니다. 얼어 죽어도 아이스아메리카노 ‘얼죽아’ 포기하고 숭늉이나 마셔야 할 듯~ 윤석열 “피선거권 연령 낮춰야 대통령 되면 개헌 논의”. 윤석열, 외신기자들 만나 일본 극우 대리인 자처해 논란. 상속세 공제 늘리되 세율 안 바꾼다 홍남기 "대물림 방지". 이재명 "아내 폭행? 어처구니없어" 김혜경 "남편 울더라”. 진성준 "대장동 의혹, 돈 얘기는 국민의힘서도 안 나와". 심상정 “이재명 윤석열 중 찍을 사람 없다는 말 많이해”. 김기현 “민주당, 결국 '이재명 교체' 할 수밖에 없을 것". 실패란, 보다 현명하게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다. - 헨리 포드 - 실패를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실패를 새로운 도전의 기회로 삼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분명 다른 삶을 살고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1월도 중순입니다. 아직도 성공보다 실패가 많았다면 오늘 그 실패를 성공의 기회로 잡아 보시기 바랍니다. 류효상 올림.
베를루스코니 대통령
추운 목요일에는 역시 이탈리아죠. 내년 초 이탈리아도 대통령을 선출한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대통령 중심제가 아니며, 독일처럼 정치적 협상의 결과에 따라 상하원 합동의회에서 선출되는 절차를 거친다. 임기는 (아마도 프랑스의 예를 좇아) 7년이며, 임기에 대한 언급이 이탈리아 헌법에 딱히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정치적 협상 결과에 따라 정해진다고 했다. 국회의원 임기가 5년이기 때문에 A 대통령을 선출한 의회가 5년 후, 무려 이탈리아에서 거의 그대로 구성을 유지하여 또 A 대통령을 선출할 가능성은 제로에 수렴한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탈리아 대통령은 단임제처럼 유지가 되어 왔다. 딱 한 차례 예외가 있었긴 하지만 말이다(참조 1). 현재의 마타렐라 대통령도 7년을 보내고 이제 사임할 예정, 그런데 말입니다. 그렇다면 차기 대통령 후보가 누굽니까? 떠오르는 후보들 중 정상적으로 보이는 후보 1명과 왠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은 후보 1명이 있는데, 둘 다 마뜩찮다. 하나는 마리오 드라기 현총리(참조 2), 다른 하나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총리이다. 둘 다 문제가 있습니다. 드라기 현총리를 내세운다면 아마도 정말 잡음이 별로 없을 것이다. 여러모로 신망을 받기 때문인데, 현재 총리를 맡고 있다는 점이 제일 큰 문제다. 이탈리아 헌법은 대통령과 총리를 동일인물이 할 수 없음을 명시적으로 지시(제84조)하기 때문에 림보에 빠진다. 잠깐, 정말 림보에 빠지나요? 부총리 비슷한 승계서열이 있지 않을까요? 실제로 부총리(vicepresidente)라는 직함이 존재하지만, 드라기는 부총리를 지금까지 임명하지 않았다. 물론 승계서열도 있기는 합니다. 연장자 장관 순이기 때문인데, 더 큰 문제는 현재의 의회 구성이 마리오 드라기를 좋아하기는 해도, 새로운 총선을 원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참조 3). 여론조사에 따르면 특히 현 연정을 구성하고 있는 M5S(주세페 콘테)와 FI(베를루스코니의 당) 지지율이 크게 빠져 있다. 일단은 임기를 다 누리도록 하자. 따라서 다음 승계자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 드라기를 무턱대로 선출하기는 참 뭐한 상황이라는 이야기,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베를루스코니 대통령이라는 아이디어가 떴다. 일단 베를루스코니는 사양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조건을 걸었다(참조 4). 과반수를 처음부터 받아야 한다는 점인데, 최근 루비 스캔들 입막음조로 뇌물을 건넸다는 혐의에서 벗어나면서 더 탄력을 받았었다. 베를루스코니 대통령이... 이탈리아의 이미지에 얼마나 좋을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서 셈법이 복잡한 것. 이렇게 된 이상 마타렐라 할아버지 연임 갑시다? ---------- 참조 1. 그 딱 한 번의 사례가 공산당 출신의 최초 대통령, 조르지오 나폴리타노(Giorgio Napolitano)였다. 첫 번째 임기 끝에 의회 구성이 바뀌기는 했지만 정당들끼리 좀처럼 차기 대통령 합의가 안 되어서 나폴리타노의 재선만 합의가 된 덕분이었다. 다만 나폴리타노는 재선 후 2년만에 스스로 고령과 건강을 이유로 사임한다. (그런데 현재 96세인 지금도 살아계신다!) Dal Pci al Quirinale: l'ex Presidente della Repubblica Giorgio Napolitano compie 95 anni(2020년 6월 29일): https://tg24.sky.it/politica/approfondimenti/giorgio-napolitano 2. 보통 Presidente del Consiglio dei ministri를 총리로 번역하고, 그게 틀리지는 않지만, 실제로는 내각의장이 더 정확한 번역이며, "내각의장"은 권력이 대통령에게 없음을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황제의 편지(2020년 5월 10일): https://www.vingle.net/posts/2946481 3. Cosa succede tecnicamente se Draghi diventa presidente della Repubblica(2021년 11월 5일): https://www.ilpost.it/2021/11/05/draghi-presidente-della-repubblica/ 4. Centrodestra, Berlusconi ora frena su voto e Quirinale: “Non mi farò bruciare”(2021년 11월 9일): https://www.repubblica.it/politica/2021/11/09/news/centrodestra_berlusconi_forza_italia_lega_fdi_quirinale-325630405/ 5. 짤방은 여기, Berlusconi e l'ipotesi Quirinale: chi lo appoggerebbe, chi no (e chi fa finta di niente)(2021년 10월 22일): https://tg24.sky.it/politica/2021/10/22/silvio-berlusconi-presidente-repubblica#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