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대놓고 신파에 클리셰 범벅이지만 멜로드라마계의 수작인 드라마
이서진, 유이 주연 <결혼계약> 땜빵 편성 + 시한부, 계약결혼이라는 진부한 소재 등 기대 없던 드라마였는데 진정한 드까알을 보이면서 시청률, 작품성 다 잡음  클리셰라고 해서 마냥 클리셰 답슴만 한것도 아님 틀 수 있는 클리셰는 다 틀어서 당시 시대상에 맞는 캐릭터를 만들어냄  본 사람들 대다수는 최고의 작품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그 해 MBC 최고 시청률(22.4%)을 기록하며 남여주 모두 연기상을 휩쓸고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까지 수상하게 됨  정통멜로의 수작으로 평가 받음 tmi '한지훈' 캐릭터는 이서진이 만든 것, 원래는 아예 착한 캐릭터인데 이서진이 이렇게 하면 어떨까 하고 작가한테 이야기했더니 반영해서 써줘서 하게 된거라고 이야기함 반지씬, 아래에 언급할 14회 엔딩 프로포즈씬, 틈틈히 나오는 연출 다 이서진 의견으로 많이 이루어짐 이서진 개드잘알임 그 중 14회 엔딩이 레전드로 꼽힘 14회 엔딩은 '행복'이라는 단어를 형성화 한다면 이런 이야기일까 싶을 정도로 레전드였던 명장면 드라마 커뮤니티에서 가장 추천 많이 받았던 14회 엔딩 리뷰 결혼계약의 14회 엔딩 '거짓으로 만든 가족'이 이른 '평범한 진짜 행복'의 감동 김진민의 클라스. 정유경의 순수함 클리셰로 시작되어 결국 이런 정점을 만들어 내는 것이 또 드라마의 매력이다. 서로 상대를 색안경으로 보던 세상에 상처받은 가난한 여인과 마음을 줄 줄 모르는 재벌 2세는 그 '결혼계약'의 과정에서 상대의 상처를 보기도 하고 마음을 알아가게도 된다. 남자는 여자와 딸의 틈에 어느덧 끼고싶어 지지만 여자는 자신의 병이나 행여 아이가 받을지 모를 상처 때문에 내색하지 못하고 밀어낸다. 지훈은 혜수의 병을 알게된 후 더더욱 그녀를 기어이 지켜주려 하고 혜수는 어느덧 자신이 아이를 위해 욕심낸 것도 부끄러워진다. 이 14회 엔딩에 이르는 과정이 참 좋은 것은 지훈의 각성 덕분이다. 나와 내 가족만을 알고 사는 것이 순리이고 미덕인 지금 세상이 '무서운 세상'인 것은 바로 그 이기심 때문임을 알게된 것이다. 나를 던져서라도 지키고싶어진 그 타인들과 한덩어리가 된 지훈의 활짝 웃는 모습은 처음에 기대하지 않았던 그런 감동을 준다. 우리(나와 내 가족들을 위한)의 이기심이 지금도 우리를 괴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을 새삼 생각하게한 멜로드라마다. 어느덧 '사랑'을 '욕심'이 잡아먹어버린 것이다. 게다가 수면시간까지 보장해 한번도 쫓겨서 촬영한적이 전혀 없음 ―본인은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찍는 PD로 유명하다. △자랑할 만한 일이 아니다. 1주일에 1편씩 방영되면 좋겠다. 배우나 스태프들에게 충분히 고민할 시간을 주고 싶다. 일주일에 2편씩 내보내야 하는데, 스스로 그런 한계에 적응한거다. 환경에 최적화된 것이지, 빨리 찍는 데 찬성하지는 않는다. 배우들도 평소보다 빨리 찍으니까 지칠 수 있는데, 몰고 가고 있다. ―매주 휴일을 보장해준다고 들었다. △휴식 없이 촬영한다고 해보자. 그렇게 해서 시청률이 잘 나오면 그런 환경에 적응할 거다. 그렇게 되면 만드는 사람이 즐거울 수 없다. 만드는 사람이 즐겁지 않다는데, 그게 무슨 소용인가. 가장 중요한 게 잠이고, 잠은 자면서 해야 한다. ‘결혼계약’에는 또 애기(신린아)가 있다. 애기까지 무리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어디선가 사고가 나게 되어 있다. 물론 1등 공신은 정 작가다. 대본 마감을 잘 지켜주었다. ―신린아는 항상 일찍 귀가하고 있나. △오후 10시면 잠드는 친구고, 그 전에 보통 끝난다. 딱 한 번 새벽 1시쯤 보낸 적 있다. 잠깐 자다가 촬영을 하고 보낸 거였는데, 너무 미안했다. 그 뒤로는 단 한 번도 어긴 적이 없다. 작감배 완벽 그자체 본 드라마 중에 멜로드라마가 한가득이다? 드라마 뭐 볼지 요새 고민이다? 결혼계약을 보면 됨 OTT로는 웨이브에 있음!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안 풀려도 괜찮은 이유
인생은 퍼즐조각을 모으고 그것들을 이어 하나의 완성품을 만드는 과정같다는 생각이 든다 퍼즐 조각 하나하나는 가치가 없어보이고 이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없지만 조각들을 이어나가고 완성하고 나면 그제서야 그 퍼줄조각의 가치를 알 수 있다 심지어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퍼즐 조각도 존재의 이유가 있다 내 삶에는 수많은 퍼즐조각들이 마주하고 있고 나는 이것들을 모으고 있다 사람마다 모두 다른 모양의 퍼즐을 만들게 될것이며 퍼즐을 완성하는데는 공식이 있지도 않다. 모두 똑같은 퍼즐 조각을 같은 순서대로 완성해 나갔다면 그것은 개성과 가치가 없을 뿐더러 태어나고 자라온 환경이 다르다보니 모두 똑같은 결과물을 만들 수도 없다.  아직도 여전히 완성되지 않은 퍼즐을 만들어나가고 있는 중이고 어떻게 완성이 될지 알 수 없고 어떤 조각들을 모으며 살아야할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남들이 만들고 있는 퍼즐과 비교하거나 그것을 따라가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지금 일이 안풀리고 미래가 보이지 않아도 괜찮다. 남들이 모두 갖고있고 필수라고 말하는 퍼즐조각을 갖고있지 않다고 낙담할 필요가 없다 스티븐 잡스가 학비가 비싸 대학교를 자퇴한 이후 남들 모두 듣고있던 정규과목을 듣지 않고 본인이 흥미가 있다고 생각한 서체 교양 수업을 몰래 청강했을 당시에는 미래와 연결할 수 없는 아무가치없는 퍼즐조각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마지막 퍼즐을 완성했을때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퍼즐 조각이었는지 그때서야 알게 된다 지금 나에겐 아무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은 지금은 아무가치가 없어 보이는 조각도 나중에 완성을 하고 보면 그 조각의 가치를 알게 될 것이다 우리네 인생은 완성된 모습을 알 수 없는 퍼즐이다 ~~ 그니까 조각조각 만들어가보자구요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