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jeju
1,000+ Views

제주 노형동 술집 추천! 물팡과허벅

메종글래드제주 호텔과 드림타워 사이! 제주 노형동에
위치한 감성 가득 술집 '물팡과허벅' 에 다녀왔어요~ 물팡과허벅은
연중무휴로 운영되고 있는데요. 큰 길가에 위치해있어 한 눈에
보이더라구요. 주변 주택가들도 위치해있어 노형동 주민들도
종종 찾는 듯 보였어요! 관광객보다는 단골들이 많은 찐 맛집이랍니다.

민속주점같은 토속적인 분위기에 따뜻한 노란 조명이
분위기가 참 좋았는데요. 막걸리가 참 잘 어울리는 인테리어랍니다
해물파전과 조기매운탕을 주문해 함께 즐겼는데요. 생각보다 양이
넉넉한 편이라 칼칼한 국물과 함께 즐기기 딱 좋았어요!
해물파전에는 굴, 오징어 등 해산물들이 다양하게 들어 있었는데
탱글탱글 씹히는 식감도 너무 만족스럽더라구요 :)
제주 노형동 술집 물팡과허벅에서 가벼운 한 잔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위치: 제주 제주시 원노형로 35
시간: 14시~02시 *연중무휴
문의: 064-726-6788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오래 사랑받은 노포들, 서울미래유산 속 식당 50
시민이 제안한 서울미래유산 488건 중 ‘식당’이 50건,   낡은 메뉴판에 담긴 도시의 '맛'을 찾아서 서울 미래유산으로 선정된 식당은 1920~1970년에 개업한 오래된 가게들 -1920년대 이전 개업 2곳, 1930년대 5곳, 1940년대 4곳, 1950년대 14곳, 1960년대 이후 25곳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118년 전통의 ‘이문설농탕’, 1925년 봄처럼 화사하게 꽃 피는 정원이라는 이름을 달고 문을 연 ‘진아춘’, 1932년 남대문 천막 식당으로 시작한 은호식당과 같은 해에 개업해 3대째 대를 잇고 있는 추어탕집 ‘용금옥’ 등이 가장 오래된 가게 표2. 서울미래유산 노포 현황 연번 / 이름 / 자치구 / 분류 / 개업시기 1 / 이문설농탕 / 종로구 / 설농탕 / 1904 2 / 진아춘 / 종로구 / 중식 / 1925 3 / 용금옥 / 중구 / 추어탕 / 1932 4 / 은호식당 / 중구 / 꼬리곰탕 / 1932 5 / 잼배옥 / 중구 / 설렁탕 / 1933 6 / 청진옥 / 종로구 / 해장국 / 1937 7 / 한일관 / 강남구 / 갈비 / 1939 8 / 유진식당 / 종로구 / 평양냉면 / 1944 9 / 대성관 / 동작구 / 막국수 / 1946 10 / 우래옥 / 중구 / 평양냉면 / 1946 11 / 부여집 / 영등포구 / 곰탕 / 1947 12 / 마포옥 / 마포구 / 설렁탕 / 1950 13 / 평래옥 / 중구 / 평양냉면 / 1950 14 / 문화옥 / 중구 / 곰탕 / 1952 15 / 연남서식당 / 마포구 / 갈비 / 1953 16 / 오장동 흥남집 / 중구 / 냉면 / 1953 17 / 열차집 / 종로구 / 빈대떡 / 1954 18 / 미진 / 종로구 / 메밀국수 / 1954 19 / 왕십리 대도식당 / 성동구 / 소고기구이 / 1954 20 / 마포진짜원조최대포 / 마포구 / 돼지갈비 / 1956 21 / 원조 할머니 떡볶이 / 종로구 / 떡볶이 / 1956 22 / 부민옥 / 중구 / 육개장 / 1956 23 / 삼거리먼지막순대국 / 영등포구 / 순대국 / 1957 24 / 태조감자국 / 성북구 / 감자국 / 1958 25 / 오장동함흥냉면 / 중구 / 냉면 / 1958 26 / 고려삼계탕 / 중구 / 삼계탕 / 1960 27 / 유림면 / 중구 / 국수 / 1960 28 / 초가집 / 강북구 / 한정식 / 1960 29 / 황해 / 용산구 / 스테이크, 부대찌개 / 1960 30 / 서북면옥 / 광진구 / 냉면 / 1960 31 / 통술집 / 서대문구 / 돼지갈비 / 1961 32 / 산골막국수 / 중구 / 막국수 / 1944 33 / 역전회관 / 마포구 / 바싹불고기 / 1962 34 / 진주회관 / 중구 / 콩국수 / 1962 35 / 영동 스낵카 / 강남구 / 한식 / 1962 (현재 폐업) 36 / 안동장 / 중구 / 중식 / 1964 37 / 라 칸티나 / 중구 / 이탈리아 / 1967 38 / 창성옥 / 용산구 / 해장국 / 1970 39 / 무교동 북어국집 / 중구 / 북어국 / 1968 40 / 성북동 국시집 / 성북구 / 국수 / 1968 41 / 대문점 / 영등포구 / 중식 / 1969 42 / 선천집 / 종로구 / 한정식 / 1971 43 / 청일집 / 종로구 / 빈대떡 / 1973 44 / 중림장 / 중구 / 설렁탕 / 1974 45 / 순흥옥 / 중구 / 꼬리곰탕 / 1976 46 / 림스치킨 / 종로구 / 치킨 / 1977 47 / 옛날집 낙원아구찜 / 종로구 / 아구찜 / 1977 48 / 원대구탕 / 용산구 / 대구탕 / 1979 49 / 동흥관 / 금천구 / 중식 / 1983 50 / 쌍다리식당 / 성북구 / 돼지불백 / 1986 음식으로 특화된 골목길에도 과거 세대의 생활상이 그대로 중국 대사관을 중심으로 중국요리점 등 중국 문화가 100년 넘게 터를 잡고 있는 ‘명동 화교거리’, 6.25전쟁 직후인 1950년대에 시작된 ‘신당동 떡볶이 골목’, 1960년대 서민들이 자주 이용하던 선술집과 국밥집이 들어서면서 번성한 피맛골, 1970년대 연남동 기사식당 거리, 종로 보쌈 골목, 장충동 족발 골목 등이 형성 표3. 서울미래유산 음식특화골목 현황 연번 / 이름 / 자치구 / 형성시기 1 / 명동화교거리 / 중구 / 1904 2 / 신당동 떡볶이골목 / 중구 / 1953 3 / 피맛골 / 종로구 / 1965 4 / 을지로 골뱅이골목 / 중구 / 1968 5 / 장충동 족발골목 / 중구 / 1970 6 / 종로3가 보쌈골목 / 종로 / 1970년대 7 / 연남동 기사식당거리 / 마포구 / 1970년대 8 / 동대문 생선구이 골목 / 종로구 / 1979 9 / 을지로 노가리골목 / 중구 / 1980 자료: 서울미래유산(http://futureheritage.seoul.go.kr), 사진출처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민현석 연구위원(paulmin92@si.re.kr) 출처: 서울연구원 서울인포그래픽스 320(☞원문바로가기)
한사람만을 위한 급식 5
이제 중3은 마지막 셤도 끝났고 고등학교 뺑뺑이만 남았습니다. 이젠 대면수업이지만 그래도 집에 와서 학원 가기전에 일찍 저녁을 먹습니다. 학원 다녀와서는 안먹긴 그렇고 가벼운 음식 위주로 또 먹긴 합니다^^ https://vin.gl/p/3960152?isrc=copylink 재료가 고급지죠. 흠, 근데 조리한 사진이 없네요 ㅋ 술안주스러운데요 ㅋ 눈에 확 띠더라구요. 저 햄 때문에 삼양라면 안먹는 사람들이 있다는걸 삼양은 알까요… 애슐리와 홈플러스의 콜라보이자 치킨과 소불고기의 콜라보. 잡채와 소불고기는 원래 하나의 음식 아니었나요 ㅋ 와, 이번엔 볶음밥이 아닙니다. 온더고 도시락입니다. 중3은 방콕가서 맛나게 먹었던 푸팟퐁커리부터 먹겠다네요. 두개 먹었습니다 ㅎ. 저 야채는 제가 먹었습니다 ㅡ..ㅡ 숯불 닭갈비라… 좋지요… 무려 7인분짜리… 스볶은 예전에도 먹어본지라 계후를 올려줬습니다. 같은건 저도 먹이기가 싫지 말입니다 ㅋ 닭새우(딱새우) 까기가 힘들어서 그렇지 맛있지 말입니다. 닭과 새우의 조합이라… 이번에 계후 올려습니다. 스팸김치랑 새우… 스팸김치랑 닭갈비… 이번에도 계후 올라갑니다. 숯닭은 이미 먹어본터라 된장찌개 남은걸 곁들여줬습니다. 그래선지 촉촉해졌어요. 옛다 계후도 올려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