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글과 노조 그리고 마피아
주말 특집, 베이글과 노조 그리고 마피아이다. 상당히 안 어울리는 조합같지만 이게 다 실화입니다. 우선 최근 넷플릭스에 등장한 화제의 영화 “아이리쉬 맨”부터 얘기해 보자. 아직 보지는 않았는데 이 영화는 실존 인물 지미 호파(Jimmy Hoffa)에 대한 얘기를 다루고 있다. 지미 호파는 미국 트럭노조의 위원장, 그러나 노조는 원래 마피아와 항상 활동을 같이 해왔음을 아셔야 할 일이다. https://www.grubstreet.com/2020/01/bagel-mafia-wars-local-338-union.html 1957년 국제 트럭노조 위원장 선거를 루케제(Lucchese) 패밀리가 조종하여 지미 호파를 당선시켰기 때문이다. 루케제라는 이름이 어색하게 들리실 수 있을 텐데, 영화 대부에 나오는 꼴레오니 패밀리의 모델이라고 하면 아하, 할 것이다. 여담이지만 루케제 패밀리는 지금도 미국에서 마피아 노릇을 하고 있다(참조 1). 그렇다면 마피아가 어째서 베이글에 눈독을 들였을까? 돈이 되서다. 20세기 초중반의 뉴욕은 원래 이스라엘만큼이나 유대인들(특히 아슈케나짐)이 밀집한 장소였고, 베이글이라는 먹거리의 존재도 막 알려진 참이었다(참조 2). 그러나 베이글 만드는 일은 고됐다. 주로 지하의 공방에서 50도가 넘는 화덕 안에 베이글을 굽는 팀이 있어야 했는데, 이들 역시 모두 유대인들이었다. 서로의 대화 언어는 영어가 아닌 이디쉬였고, 이들은 베이글 굽기를 자신의 아들/사위들에게만 물려줬다. 이쯤 되면 베이글 업자들도 거의 마피아같은 느낌인데(이탈리아계 조직원은 ‘단원(member)’으로, 그 외는 ‘조직원(associate)’으로 구분한다), 굽자마자 그 신선도 또한 몇 시간을 못 갔다. 오죽하면 이디시어 저주 중에, “바닥에 자빠져서 베이글이나 구워라(Lig in der erd un bak beygl).”는 표현이 있다고 한다. 당연히(?) 이들은 노조를 결성한다. 제과제빵노조(Bakery and Confectionery Workers (B&C) International) 산하의 Local 338(참조 3)이 생긴 것이다. 이때가 1930년대, 338의 허락이 없으면 베이글을 못 팔았고, 베이글 샵을 하나 개장하려면 반드시 노조원을 고용해야 했었다. 위에서 얘기했듯 338은 오로지 베이커 굽는 이들의 남자 직계(혹은 가끔은 사위나 남자 조카)만으로 구성됐기 때문에 그 수가 300명을 넘지 않았다고 한다. 조직원을 컨트롤함으로써 차익을 모두 이들이 챙기는 구조, 1960년대 2천만 달러 규모의 사업이 되자 마피아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 여기서 루케제 패밀리가 등장한다. 당시 Capo(두목)이자, 지미 호파를 당선시킨 조니 디오(Johny Dio)는 Consumer Kosher(!) Provisions 주식회사(후에는 First National Kosher Provisions)를 통해 베이글 사업에 진입하려 한다. 지미 호파를 이용, 트럭 노조를 동원하니 베이글 유통을 그가 맡을 수밖에 없게 된다. 거절하면? 총 맞는다. 회사 이름에 코셔가 붙어 있음에 유의하시라. 그의 회사는 베이글만 하지 않고 코셔 고기도 다뤘다. 뉴욕 내 유대인 식재료를 그가 독점하니 물가는 자연히 오를 수밖에. 당시 언론은 그를 “코셔 노스트라(Nostra)”라 부를 정도였다. 게다가 디오는 수완이 있었다. 대니얼 톰슨(Daniel Thompson, 참조 4)의 베이글 기계 도입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제는 수제(?)로 할 필요 없었고 사업도 늘릴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치세… 아니 독점은 오래 가지 못 했다. 1964년, 제노베제(Genovese) 패밀리가 진입했기 때문이다. 당시 제노베제 패밀리의 Capo인 토마스 에볼리(Thomas Eboli)는 손쉽게 디오의 사업을 접수했는데 문제는 베이글 기계의 도입이었다. 338의 분노를 샀기 때문이다. -------------- 노조원들은 기계로 만든 베이글이 있는 가게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전단지를 나눠주는 등, “업무 방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노조는 막무가내였다. 무조건 노조원을 가게에 입사시켜야 한다는 조건으로 베이글 가게들을 강하게 압박했고, 워낙 고열과 강도 깊은 노동으로 다져진 사내들인지라 회유와 위협도 먹히지 않았다. 1940년 당시 지역노조 338의 운영진 338 노조는 결국 마피아를 굴복시킨다. 에볼리는 338 조직원을 고용한다는 협상에 굴복했다. 하지만 이때가 1960년대 중반이다. 베이글의 기계화라는 거대한 방향성을, 과연 수제를 고집하는 장인들이 막을 수 있었을까? 고작 300여 명 수준의 노조는 곧 대-뉴욕(Greater New York)에서 쏟아져 나오는 공장제 냉동 베이글을 막을 수 없었다. 또한 맛에 별 차이 없는 공장제 베이글은 몇 시간이 아니라 (방부제 덕택에) 며칠도 갈 수 있었다. 가격도 40% 더 저렴했다. 게다가 뉴욕시가 아닌 외곽에서 만드는 이 공장들은 노조에 속하기는 해도, 338 소속이 아니었다. 지역이 다르니까 말이다. 결국 338은 1971년, 일반적인 제빵 노조인 Local 3에 편입된다. 결국 시대 변화를 못 알아본 노조는 사라졌으며 공장 베이글은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뒀다. -------------- 참조 1. 지금도 뉴욕 일대를 다스리는 다섯 군데의 갱단 패밀리(Five Families) 중 하나이다. 1963년 발라키(Valachi) 청문회를 통해 세상에 공식적으로 알려졌다. 다섯 군데는 Bonanno, Colombo, Gambino, Genovese 그리고 Lucchese, 위키피디어에 따르면 루케제 패밀리의 조직원 규모는 2017년 추산 천여 명이다. 2. 처음에는 호의적이 아니었다. 1960년 뉴욕타임스는 베이글을 “사후경직된 맛 없는 도넛” 정도로 치부했었다. “The bagel [is] an unsweetened doughnut with rigor mortis.” Beatrice and Ira Freeman, 'About Bagels', NY Times May 22, 1960 3. 주로 미국에서 쓰이는 이름 방식이다. 지역 노조에 번호가 붙어서 그 번호로 지역을 구분한다. 지역별로 노사 협상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하는 구분이다. 4. A Fond Farewell to the Man Who Made Bagels What They Are Today(2015년 9월 23일): https://www.vice.com/en_us/article/9agnpa/a-fond-farewell-to-the-man-who-made-bagels-what-they-are-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