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ngun85
1,000+ Views

제주도에 이어서 전라남도 꿀벌 실종

양봉장의 벌통에 벌이 사라졌다
벌통 350개면 대체 몇마리야
1979년 부터 양봉을 하신 분께서도
처음 겪으시는 일이라고 ㄷㄷㄷ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도 살 수가 없어진다고 하는데 ㄷㄷ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걸까요
하루 빨리 원인을 알아내서 꿀벌과 공존할 수 있어야 할텐데 ㅠㅠ



이종격투기 카페 펌
4 Comments
Suggested
Recent
전남사는데 매일 나갈때마다 길바닥에 꿀벌이 죽어있는게 많이 보여요. 뉴스보고 어떻한다니 여기도 이러네 했는데 생태계가 걱정이....
죽지마 꿀벌아 😭 😢
불길한 징조임
꿀벌이 사라지면 지구는 망하는데 왜 사라지는거지??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러시아군 공수부대 전멸 (+ 20~21일 정보)
1. 키이우 근처에서 공수부대 전멸 약 2000명 중 101명 생존 (한번의 전투로 전멸이 아니라, 개전 후부터 지금까지인듯) 2. 수미시에서 포격으로 암모니아 유출 최근 정보로는 유출사고 처리완료했다고 함. 3. 마리우폴 러시아국방부 - 마리우폴에 최후통첩 마리우폴 - 항복거부함 마리우폴의 최근 영상 (2시간 전) 지금도 계속 포격당하는 중이라고 4. 벨라루스에서의 철도 사보타주 벨라루스 철도 노동자들이 우크라이나로 향하는 철도 노선을 파괴하여 러시아군 보급을 끊음 벨라루스의 국민 97%는 참전을 반대한다는 설문조사 있음  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20220321000486 5. 러시아, 선전용으로 미성년자 참전계획 6. 파괴된 키이우 쇼핑몰 밤 사이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 최소 8명 사망 7. 요양원에 탱크포격 노인 56명이 사망하고 생존자 15명 납치해서 점령지 마을로 이송했다고 함. 사건은 11일에 발생했지만, 사상자 정보는 새롭게 알려짐. 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ukraine-russia-putin-news-03-20-22/h_d4e310461013be01dd92f2da81c24314 8. 3월 21일자 전황지도 9. 3월 20~21일에 사망하거나, 사망사실이 알려진 대령들 331여단장 Sergei Sukharev 대령 사망 흑해함대 부사령관 Andrey Paly 대령 사망 공병사령관 nikolai ovcharenko 대령 사망 제6기갑연대 사령관 알렉산더 블라디미로비치 자하로프 대령 사망or해임 252연대장 Igor Evgenievich Nikolaev대령(15일 사망인데 20일 알려짐) 지금까지 장성은 5명 사망. 하루에 대령 1~2명만 사망했어도 이미 수십명 전사했을듯. 도탁스 펌
이번에 사고난 중국 여객기 추락 모습
지난 21일 중국 여객기 추락사고 뒤, 아직 생존자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 여객기는 운항 도중 2분 만에 지상까지 수직 낙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박성훈 베이징 특파원입니다. 132명을 태운 중국 동방항공 보잉 737 여객기가 추락한 중국 광시족자치구의 한 야산. 밤새 수색 작업이 계속됐지만, 생존자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사고 현장 인근에서 포착된 CCTV를 보면 항공기는 거의 수직 낙하하며 추락했습니다. 동체 앞부분이 지상을 향해 그대로 떨어진 겁니다. 비행 기록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지상 8800미터에서 순항하던 항공기는 1분 만에 2600미터까지 추락하고 10초가량 유지하다 다시 떨어졌습니다. 결국 추락 시작부터 불과 2분 만에 참사가 벌어졌습니다. 출처 : 이종격투기 수직으로 추락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하는데.. 대체 왜 비행기는 추락하게 됐을까요.. 블랙박스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후안 브라운 보잉777조종사 겸 항공사고 분석 항공 블로거는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항공기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추락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라고 말했다. 장 폴 트루아덱 프랑스 민간항공안전조사·분석국 전 국장도 "데이터가 매우 이례적이나 결론을 내리기에는 이르다"고 언급했다.
풍수지리상 서울에서 화기가 가장 세다는 장소
풍수지리가들이 입을 모아 서울에서 가장 화기가 강하다고 하는 장소.. 관악산 관악마운틴.. 관악마운틴은 화기가 겁나 쎄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으로 도읍을 잡을 때에도 꽤나 골치 아픈 곳이었음 고려말-조선초 왕사였던 무학대사도 관악산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음. 한양의 주산은 북악산인데, 북악산보다 관악산의 기운이 너무 셌기 때문. 관악산: 난 짱쎄다! 북악산: 아앗 ㅠㅠ 조선시대부터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1. 숭례문 건축 왕이 사는 경복궁이 관악산과 바로 마주보면 화기때문에 안좋다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경복궁과 관악산 사이에 숭례문을 지음. 숭례문의 례(禮)는 오행으로 볼 때, 불(火)에 해당하기 때문에 '화기를 화기로 누른다', '화기를 화기로 다스린다'는 원리에서 착안한 것. 그리고 다른 사대문 현판과는 달리 숭례문 현판은 세로임. 이것도 높은 관악산의 화기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한 '높고 길게' 현판을 쓴 것.. 2. 해태상 광화문 앞에는 해태상 두개가 있었음 이 해태상은 모두 관악산을 보고 있는 모습으로 제작되었는데 해태가 '불을 먹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 도성 내 화재를 막아주는 수호신의 의미로 세운것임. 해태의 능력인 '불을 다스리는 능력, 불을 먹는 능력'에 착안해 관악산의 화기를 먹어버린다는 뜻에서 광화문에 해태상 두 개를 세워 관악산의 화기를 견제함.  관악산: ㅠㅠ 하지만 광화문을 지키던 해태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옮겨지게 되었고...ㅠ 그 후로 해태상은 여러 번 자리를 옮겨다니게 됨.. 3. 연못을 만들었음 지금은 없어졌고 터만 남았지만 원래 숭례문 앞에는 커다란 연못이 있었음. 이 연못의 이름은 '남지'라고 하는데, 남지도 관악산의 화기를 견제하기 위해 만든 것임. 다만 남지는 '남지가 잘 가꾸어지면, 남인이 흥성한다'는 속설때문에 조선시대 (남인이 아닌) 사대부들이 메우자고 주장하기도 했음. 이렇듯 기운이 굉장히 강한 관악산 터... 관악산: 크큭.. 1970년대에 혜화동에 있던 서울대가 관악산으로 부지를 옮기게 되는데.. 이 때, 일설에는 풍수지리 하시는 분들이 "그렇지, 관악산 화기와 드센 기운을 공부 잘하는 학생들 기운으로 눌러버리자"고 하셨다 함 간혹 '서울대 갈 사주' 이런건.. 사람의 사주와 관악산 화기랑 엮어서 해석하는 사주라는 이야기도 들었지만.. 확실한건 아니니 ㅋㅋ 아무튼 서울대 터 기운이 굉장히 쎄서 풍수지리 공부하시는 분들도 항상 서울대 보고 쎄다.. 하시는.. (월간<사람과 산> 2011년01월호 김규순의 풍수이야기 참조) 결론: 관악산 말괄량이 그 자체... 조선시대 서울 풍수지리하면.. 관악산 화기 잠재우려고 한 게 굉장히 많음... 말괄량이.. 그리고 대부분 '조선시대' 이야기라는거... 재미로만 보라구.. 출처 :  월간<사람과 산> 2011년01월호 김규순의 풍수이야기, 우리역사넷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