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ibu
5,000+ Views

20대 싱글맘이 마약에 중독된 과정 (22.11.18 방송)




딸을 보호하려고 구속 요청하는 엄마의 마음ㅜㅜ
얼마나 속상하실까..
4 Comments
Suggested
Recent
마약범죄는 그 어느 범죄보다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겠습니다. 사회 전체를 병들게 하는 이런 무서운 짓을... 이 정도되면 진짜 청정국 칭호는 이미 날아갔고,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해야 정상 아닌가요❓️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마약에 온상이 됐는지...ㅠ
마약.. 아.. 저기에 왜손을댈까..
https://youtu.be/cEkLl6DvFAs 여기 원본 있네요. 영상으로 보실분 이걸로 보세요.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맥주]: 10년 가까이 유럽 최정상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맥주 - Zombination
안녕하세요. 잘 지내고 계신가요? 저는 뭔지 모를 이유로 1주일 가까이 빙글 접속이 안되었다가 인제야 다시 접속하게 되어서 후다닥 카드를 쓰고 있네요 ㅎㅎㅎ (일해라 빙글!!) 오늘은 아주 특별한 맥주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이번에는 평소처럼 하나의 맥주를 소개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시리즈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2014년에 출시하여 맥주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던 맥주이자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럽 최정상 자리를 지키고 있는 벨기에 맥주 Zombination 맥주입니다. Zombination 맥주는 무려 유럽 9개 양조장이 협업하여 만들어진 특별한 맥주인데요. 벨기에 양조장 De Struise Brouwers 중심으로 벨기에- Brouwerij Alvinne, 영국의 Magic Rock, Beavertown, Brodies 양조장, 네덜란드의 Kees Bubberman, De Molen. 노르웨이의 Haandbryggeriet 그리고 스폐인의 Naparbier가 합심해 만든 맥주입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맥주를 소개 시켜드렸지만 이렇게 많은 양조장이 협업하여 만든 술 자체를 찾는 것도 참 쉽지 않을 거 같네요. 해당 맥주가 만들어진 배경에는 스폐인 바틀샵 사장 가브리엘 Gabriel Bocanegra 의해서 만들어졌는데요. 원래 그는 스폐인에서 맥주 글을 쓰는 블로거였지만, 유럽에서 바틀샵을 운영하면서 유럽 전역 맥주 양조사와 넓은 인맥을 쌓았고 그의 바틀샵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서 이벤트 성 맥주를 만들기 위해서 여러 양조사들을 초대해서 만든 맥주가 바로 Zombination입니다. 해당 맥주 시리즈는 스트루이스의 Black Damnation 맥주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만든 특별한 맥주이기도 합니다. 보통 사용하기 드문 피트 위스키 배럴을 사용하였고 이 외에도 버번 위스키, 와인 배럴을 사용하여 총 6종을 출시합니다. 모든 맥주들은 무려 17도 알코올 도수를 가지고 있지만 그 도수와는 별개로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게 다채로우면서도 강렬한 캐릭터도 가지고 있어 현재까지도 수많은 맥주 애호가로부터 극찬을 받는 맥주 시리즈 입니다. 아래 제가 리뷰한 글도 있는데 조만간 다른 시리즈 리뷰도 올려야 겠네요. ㅎㅎ https://www.vingle.net/posts/4745914?q=zombination https://www.vingle.net/posts/4653635?q=zombination https://www.vingle.net/posts/4706818?q=zombination 모든 술에도 그렇듯이 항상 정상급 자리를 지키는 술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자리를 긴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은 정말 정말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트랜드는 매 순간 빠르게 변하하고 새로운 맥주는 매일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러한 시간 속에서도 Zombination 맥주는 여전히 정상급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 많으로도 저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었고 운이 좋게도 이 맥주는 여전히 저에게 최고의 임페리얼 스타우트 자리로 남아 있습니다. 참 시간이 지나면서 술의 모습도 변한다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이 맥주가 저에게 줄 수 있는 즐거움과 감동은 여전히 변함 없길 바라는 욕심도 생기는 맥주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더 재밌는 맥주 이야기와 찾아뵙겠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마음 속 1등 술이 있나요?
유재석과 남창희의 신기한 인연.jpg
진짜 아는 사람만 아는 예능인데 제가 어릴때 집에 불화가 좀 있었는데 매일 우울하게 지내다가 어느 일요일 우연히 이 프로그램을 보고 방바닥 대굴대굴 구르며 봤던 프로그램 진짜 아쉽게도 시청률고 그렇게 폐지될 정도로 나쁘진 않았는데 당시 이코너가 있던 프로그램 자체가 정치적으로 폐지되면서 다같이 폐지 이 시기에 유재석 남창희가 거의 처음으로 같이 예능을 하게 됨 이때 주로 나온 드립 : 창희야 스피드다!!!! 그렇게 외인구단이 폐지된 이후 이런 오합지졸 포맷에 미련을 버리지 못한 유재석은 이번엔 sbs로 가서 비슷한 멤버로 감개무량이라는 프로그램을 하게 됨. 이때도 남창희 있음. ㅋㅋ 그러나 아쉽게도 이건 내가봐도 재미가..ㅎㅎ 하지만 불굴의 유재석 이번엔 또 mbc에 가서 mbc버젼 오합지졸 시작함 이때 유재석은 이미 엑스맨, 놀러와, 진실게임 등으로 이미 개그맨 인기 1위였고 출연료도 제일 높은 위상이였는데도 또 이런거 한다고 사람들이 대체 왜 유재석은 저런걸 계속 하나 의아해했음. 아무튼 이때 비하인드가 있는데 무모한도전 시작 전 유재석은 이번에도 남창희와 같이 했으면 했고 남창희에게 "창희야 이번엔 mbc다 준비해라" 라고 했지만 이때의 남창희는 유느님을 믿지 못하고 그냥 군대를 가버림 뭐 사람 인생 어떻게 될지는 알수 없지만 만약 남창희가 무모한도전에도 합류하고 계속 같이 했다면 무한도전 멤버였을수도? 그리고... 시간이 흘러 최근 놀면 뭐하니에서 유재석이 코로나 터진지 얼마 안됐을 때 사적으로 동생들이랑 즐거울라고 연습했던 틴탑 짭그룹을 놀면뭐하니를 통해 남창희도 같이 하게 되는데... 코로나때 죽어라 같이 연습하고 놀뭐에도 출연해서 오랜만에 같이 방송하나 싶었으나... 기가 막히게도 얼마전 이연복 선생님과 해외에서 촬영 해온 프로그램이 딱 놀뭐 동시간대 편성되버림으로 인해 중도 하차 ㅠㅠ 결국 또 유재석과 방송 못함 ㅠㅠ 그래도 요즘 유재석 핑계고(유재석 유튜브이자 회사 채널)에 반고로 나와서 보기 좋음 아직도 용돈도 주시는듯 ㅋㅋ(부럽다)
'버닝썬 게이트' 이슈 물타기 안돼
"그래서 장자연은?" 온 나라가 가수 승리와 정준영, 그리고 그들 카카오톡 단체대화방에서 흘러나온 추잡한 이야기로 뒤덮여 있다. 버닝썬으로 불거진 마약, 성매매 알선, 성폭력, 경찰과의 유착, 정준영의 몰카 성범죄 등의 뉴스가 다른 주요 이슈들을 집어삼켰다. 주요 포털 실시간 검색어(실검) 또한 이들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파렴치한 행각은 대중들의 관심을 너무나 쉽게 독차지했다. 유명 연예인과 성(性), 마약 등 흥행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더 큰 이슈가 흘러 넘치는데 언론은 대중의 관심을 등에 엎고 '버닝썬 게이트 화(化)'에 총력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정작 10여일 남은 이달 안에 꼭 진상을 밝혀야 하는 중요한 사건은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지고 있다. 바로 '장자연 사건'이다. 사실 국내에서 정치권력을 뛰어넘을 수 있는 일부 언론권력의 일가가 관계된 장자연 사건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버닝썬과 그 경중을 비교한다고 하면, 본 기자는 장자연 사건이 더 우선돼야 한다고 본다. 장자연 사건은 오는 3월 말이면 미궁에 빠진 채로 종결될 가능성이 높다. 대검찰청 과거사진상조사단 활동이 이달 말 종료되기 때문이다. 장자연 사건 외에도 김학의 전 차관 성접대 의혹도 같이 묻히게 된다. 장자연 사건은 이달 초까지만 해도 여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곧 버닝썬 사건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퍼지면서 저 뒤켠으로 묻혔다. 전형적인 '이슈 물타기'다. 본 기자가 신참기자였던 20여년 전, 기라성 같은 국장급 선배 기자에게 들어 왔던 놀라운 일들이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듯 하다. 당시 선배기자에게 들었던 '카더라' 정보에 따르면, 정권에서 여론의 비판을 받는 일이 생기면 정보기관 및 수사기관에서 미리 파악하거나 준비하고 있던 연예계 비화를 언론매체를 통해 터뜨려 물타기 한다는 것이었다. 주로 여성 연예인과 성상납, 그리고 마약에 관한 이야기였다. 당시 받았던 정서적 충격이 지금까지도 뇌리에 남아 있다. 이는 어찌보면 일종의 음모론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하나의 음모론으로 치부하기에는 그 동안 우리사회의 너무 많은 사건들이 자극적인 이슈로 인해 덮여버렸다. 2016년 조인성과 정우성 주연의 영화 '더 킹'을 보면,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물론 어디까지나 영화일 뿐이지만, 관객을 설득하기에 충분한 시나리오를 전달해 준다. 장자연 사건이 포털과 뉴스에서 사라져 가는 것을 보면서 '그래서 다스는 누구 것?'이라는 온라인 캠페인(?)이 떠올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구속까지 끌고 간 이 운동은 다스라는 회사의 실소유주를 밝히기 위해, 자극적인 물타기 뉴스에도 굴하지 않고, 네티즌들이 SNS 등을 통해 꾸준히 제기했던 자발적인 것이었다. 약자라는 이유로 권력자들의 노리개가 돼야 했던, 슬픈 장자연 사건이 버닝썬 이슈에 물타기 돼 사라지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그래서 장자연은?"
유럽의 마약이 어째서 네덜란드에 집중됐는가?
월요일은 역시 마약 이야기죠. 작년 10월에 네덜란드가 유럽의 멕시코 혹은 콜럼비아가 됐다는 이야기(참조 1)를 한 적이 있는데, 비유가 어째서 멕시코/콜럼비아일지 그리고 하필이면 왜 네덜란드였는지의 설명이 좀 부족했었다. 네덜란드가 마약 산업의 중심지가 됐다는 현상만 서술했기 때문이다. 주된 원인은 바로 연성마약에 대한 관용 및 로테르담이라는 거대 무역항이다. (추가하자면, 오랜 긴축 예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보다 근본적으로, 어째서 마약이 유럽의 네덜란드로 흘러들어가는지부터도 궁금하다. 게다가 그 기원이 되는 멕시코와 콜럼비아는 또 무슨 이야기일까? 우리는 넷플릭스 드라마 나르코스로 들어갈 수밖에 없겠습니다. 나르코스는 처음에 콜럼비아 카르텔, 후에는 멕시코 카르텔로 이야기가 바뀌는데,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활약했던 콜럼비아 카르텔 이야기의 경우 주된 수요처인 미국으로 마약을 비행기 혹은 배로 보내는 장면이 여럿 등장한다. 그리고 톰 크루즈가 나옵니다(참조 2). 그런데 당시(80년대) 미국이 어떠했다?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합니다. 영화 속의 배리 실도 그렇고, 콜럼비아에 직접 마약단속국 요원을 파견하는 것도 그렇고 점차 콜럼비아-카리브-마이애미 루트는 꽤 어려워진다. 그래서 떠오른 다른 루트가 바로 멕시코-미국의 육로를 활용하는 루트였다. 그런데 제아무리 미국의 바로 밑이라 하더라도 미국이 멕시코 루트를 막아내지는 못한다. 1994년 체결된 NAFTA 때문이었다. 이쯤 되면, 드라마 나르코스 후반 시즌이 어째서 멕시코에 집중됐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430만 대의 트럭을 어떻게 일일이 다 조사하겠나(참조 3)? 그런데 여기서 콜럼비아 입장을 좀 들어 봅시다. 80년대에는 톰 크루즈를 통해서 시장에 직배를 했거늘 이제는 멕시코 카르텔들에게 수수료를 내야 하는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심지어 멕시코 카르텔들이 이제는 현금이 아니라 현물을 요구했다(참조 4). 그래서 콜럼비아 카르텔들 입장에서 유럽이 눈에 들어온 겁니다. 게다가 어지간한 남미 국가들하고 범죄인 인도협상이 체결되어 있는 미국과는 달리 유럽 국가들은 남미와 그런 조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마피아 하면 이탈리아 아니던가? 이탈리아 마피아부터 뚫어 보자(참조 5). 그러나 이탈리아 마피아에게 마약을 공급하던 콜럼비아 카르텔 두목이 또 미국으로 송환되는 바람에… (참조 5) 카르텔들은 네덜란드/벨기에(로테르담/안트워프) 루트를 개척한다. 그중에서도 해마다 4억 4천만 톤의 물류를 처리하는 로테르담이 마약을 숨기기에 제격, 현지 마약의 인수인계 및 배포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 특히 많이 모여 있는 모로코 갱(현지에서는 ‘모크로 마피아’라 부른다, 동명의 네덜란드 드라마 시리즈도 있다)이 맡았고 말이다. 현지에 이미 존재했다는 이유 외에도, 이들이 특출난 이유가 또 하나 있다. 모로코 또한 대마 재배가 일상화된 지역이며(모로코에서 ‘하시시’ 하면 대체로 그걸 가리킨다), 이미 거기서 나온 마약을 그들이 맡고 있었기에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바로 현재의 상황이다. 선진국 네덜란드가 이렇게 유럽의 멕시코/컬럼비아가 된 꼴인데(참조 6), 다만 네덜란드가 현금을 거의 쓰지 않는 선진국인 덕분에(?) 자금 세탁은 주로 UAE에서 이뤄지는 모양이다. 바로 모크로 마피아의 두목 중 하나가 두바이에서 잡혔기 때문인데, 마침 G7 산하의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UAE를 “회색 리스트”에 넣어둘 가능성이 높다. 이란과 북한 그 다음 레벨이다(참조 7). ---------- 참조 1. 치즈와 코카인 그리고 킬러(2021년 10월 19일): https://www.vingle.net/posts/4064796 2. 당시 콜럼비아에서 미국으로 마약을 수송하던 비행기 조종사 Barry Seal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American Made (2017)의 주인공이 톰 크루즈였다. 예고편은 여기, https://youtu.be/AEBIJRAkujM 3. How NAFTA helped create the modern drug trade(2019년 1월 5일): https://www.vice.com/en/article/yw77pg/how-nafta-helped-create-the-modern-drug-trade 4. 처음의 멕시코 카르텔들은 오로지 미국 내 수송에만 집중했었는데, 점차 미국 내 마약 배급과 유통에도 손을 대기 시작한다. 그러려면 역시 현물을 받아야 한다. 5. The Italian Mafia and the Move Upstream(2021년 2월 9일): https://insightcrime.org/investigations/italian-mafia-move-upstream/ 6. 심지어 14세 소년이 가담하는 경우도 있었다. 촉법(…)이기에 우후죽순 어린이들을 고용한다고 한다. Zelfs 14-jarigen smokkelen coke uit de haven: 'Beloning van 30.000 euro'(2021년 9월 19일): https://www.rtlnieuws.nl/nieuws/nederland/artikel/5255186/uithalers-haven-rotterdam-smokkel-drugs-cocaine-wet 7. UAE Faces Risk of Inclusion on Global Watchlist Over Dirty Money(2022년 1월 4일):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1-04/uae-faces-risk-of-inclusion-on-global-watchlist-over-dirty-money 8. 전체 이야기는 네덜란드의 Afonso 교수의 트윗을 따랐다. https://twitter.com/alexandreafonso/status/1486453613052370949 짤방은 여기 Käse, Koks und Killer(2021년 10월 15일): https://www.spiegel.de/panorama/justiz/wie-die-niederlande-mit-naiver-drogenpolitik-die-mafia-gross-machten-kaese-koks-und-killer-a-f124c1ca-f177-482c-a7e5-1ab165a98b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