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way
1,000+ Views

"구직 실패" vs "구인 실패"…아이러니한 채용시장

2023년에는 구직자들이 꼭 '취뽀'에 성공할 수 있길 기원합니다.

기획 : 박희원 기자 / 그래픽 : 배서은 기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의외의 한국 브랜드들.jpg
휠라 (FILA) 1911년 이탈리아에서 휠라 형제에 의해 창립된 휠라는 2002년도까지 이탈리아 스포츠 의류 브랜드였다. 하지만 2003년 휠라 코리아가 내부 경영자 인수 방식을 통해 이 브랜드를 인수했다 헤지스 헤지스는 영국 감성의 정통 캐주얼 브랜드를 표방하고 있는 국내 브랜드이며, LG패션에서 2000년에 유행했던 폴로와 빈폴 등의 브랜드에 대항하기 위해 론칭했다. 루이까또즈 (Louis Quatorze) 루이 까또즈는 이름처럼 루이 14세의 이름을 붙여 만들어진 프랑스 브랜드였다. 1990년 국내 기업인 '태진인터내셔널'이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국내 론칭을 진행했다. 태진인터내셔널은 더 나아가 2006년에는 프랑스 본사를 인수하여 현재 브랜드 소유국은 한국이 되었다. 케이투 (K2)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K2 봉우리의 이름을 딴 아웃도어 브랜드인 케이투 역시 국내 브랜드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어패럴 (National Geographic Apparel) 2004년에 국내 기업인 '더네이처홀딩스'가 130년의 역사를 지닌 내셔널 지오그래픽으로부터 라이선스를 획득하면서 2013년 아웃도어 의류시장에 진출했다. 카린 (Carin) 카린 선글라스는 가수 겸 배우 수지가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국내 브랜드이다. 스칸디나비아 감성을 강조한 브랜드인 카린은 이주영, 요나스 칼슨 등의 디자이너와 협업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다. 엠엘비 (MLB) 엠엘비는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를 뜻하는 약어이다. 엠엘비 코리아는 미국 엠엘비와 라이선스 계약을 한 한국의 의류기업 에프엔에프가 론칭한 국내 브랜드이다. 스무디킹 (Smoothie King) 1973년에 미국에서 처음 설립된 스무디킹은 2003년 한국에 첫 매장을 열었다. 과일 스무디에 영양 파우더를 첨가한 스무디킹 메뉴는 출시 당시 국내에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2012년 스무디킹 코리아가 스무디킹을 본사를 인수했고, 2015년에 신세계푸드가 스무디킹을 인수해 현재는 신세계푸드의 계열사가 되었다. 공차 차음료 프랜차이즈 기업인 공차는 밀크티와 버블티를 판매하며 국내에서 인기를 얻었다. 2006년에 대만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한 공차는 현지에서 크게 인기를 끌며 2012년 한국에 진출했다. 한국에서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성장한 공차 코리아는 2016년 공차의 글로벌 본사인 로열티타이완 (RTT) 지분의 34.65%을 인수했고 작년 1월 34.66%를 추가로 인수하면서 약 70%의 지분을 가진 최대 주주가 되었다. 엠씨엠 (MCM) 엠씨엠은 특유의 로고 패턴과 많은 국내 셀러브리티 즐겨 찾는 명품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 약어인 MCM의 원래 의미는 모던 크리에이션 뮌헨 (Modern Creation Muenchen)으로 본래 독일 뮌헨에 본사가 있는 독일 브랜드였다 하지만 지난 2005년 우리나라의 성주그룹이 엠씨엠을 인수하면서 이 브랜드는 우리나라 브랜드가 되었다. 도루코 (Dorco) 많은 사람들이 일본 브랜드로 착각하고 있는 도루코는 우리나라 토종 브랜드이다. 1955년에 창립해 약 60년 간 면도날과 면도기를 제조하고 있다. 티니위니 (Teenie Weenie) 귀여운 곰돌이 캐릭터가 상징인 티니위니는 겉보기에는 영국 의류 브랜드처럼 보인다. 하지만 티니위니는 사실 이랜드의 캐주얼 의류 브랜드이다. 인바디 (Inbody) 체성분 분석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선두를 지키고 있는 인바디는 대한민국의 의료기기 제조 업체인 주식회사 인바디에서 개발한 상품이다. 인바디가 널리 보급되면서 국내에서는 체성분 분석기 자체를 뜻하는 단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락앤락 (Lock&lock) 주방 밀폐용기를 대체하는 명사로도 쓰이는 락앤락은 보기에는 해외 브랜드처럼 보이지만 1972년에 국진유통에서 개발한 국내 브랜드이다. 락앤락은 혁신적인 결착형 밀폐용기의 선두주자로 전 세계 120여 개국에 수출하는 대한민국 기업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창업주인 김준일 회장이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쿼티 파트너스에 경영권을 전량 매각하여 지금은 홍콩계 기업이 되었다. 사쿤 마스크, 가방, 셀럽들의 아이템
美 뉴스위크 선정 '세계 최고의 병원들'…우리나라 병원은? [친절한 랭킹씨]
병을 치료하기 위해 우리는 병원을 갑니다. 병원들은 보유하고 있는 장비, 의료진 등에 따라 진료 수준이 달라집니다. 병원을 찾는 사람들도 각자 원하는 진료, 치료해야 하는 질병 등이 다르기 때문에 만족도도 차이가 나는데요. 그렇다면 수많은 병원 중에서 세계 최고의 병원은 어디일까요?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2023 세계 최고 병원' 순위를 살펴봤습니다. ※ 의사, 병원 관계자, 보건전문가 등 8만여 명의 설문조사 결과(54%), 각 병원의 의료성과지표(29%), 환자들의 만족도(14.5%), 환자 건강 상태 자가평가 시행 여부(2.5%) 등을 합산해 250개 병원 선정 세계 최고의 병원 1위는 미국의 메이요 클리닉입니다. 이어 클리블랜드 클리닉, 존스 홉킨스 병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 순으로 4위까지 모두 미국의 병원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5위는 캐나다의 토론토 일반-대학 건강 네트워크, 6위 스웨덴 카롤린스카 대학병원, 7위 독일 샤리테 의과대학 병원, 8위 프랑스 파티에살페트리에르 대학병원 등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종합병원이 유일하게 10위 이내에 자리했습니다. 10위는 미국 로널드레이건 의료센터입니다. 아쉽게도 한국의 병원 중에서는 10위 안에 든 곳이 없었는데요. 한국 병원은 세계 병원 순위 몇 위에 자리하고 있을까요? 우선 100위 이내에 든 한국 병원입니다. 한국 병원 중 순위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아산병원으로, 세계 병원 순위 29위입니다. 30위였던 지난해보다 한 계단 올랐습니다. 이어 삼성서울병원 40위, 서울대병원 49위, 세브란스병원 67위, 서울성모병원 91위, 분당서울대병원 93위 등 100위 이내에 6곳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101위부터 250위 사이에는 아주대병원(119위), 강남세브란스병원(133위), 강북삼성병원(140위), 여의도성모병원(142위), 고대안암병원(144위), 중앙대병원(190위), 인하대병원(192위), 이화의료원(202위), 경희의료원(229위), 건국대병원(233위), 대구가톨릭대병원(243위), 충남대병원(247위) 등이 올랐습니다. 세계 병원 순위를 알아봤습니다. 나라별로 보면 미국이 45개 병원이 순위에 올라 세계 최고 병원이 가장 많은 국가이며, 25곳의 병원이 순위에 오른 독일이 뒤를 이었습니다. 총 18곳의 병원이 순위에 오른 한국은 일본과 함께 세계에서 세 번째로 세계 최고 병원이 많은 나라로 꼽혔습니다. 좋은 병원이 많다는 것은 더 많은 국민들이 질 좋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겠지요. 여러분이 사는 곳 주변 병원도 순위에 있나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구성 : 이석희 기자 seok@ 그래픽 : 박혜수 기자 hspark@ <ⓒ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코너명 및 콘셉트 도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