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maGom
5,000+ Views

보그 코리아(VOGUE KOREA)에서 선정한<2022년 뮤직비디오 TOP6>

먼가 흥미로워서 퍼왔음여!!
뮤비도 같이 첨부해놨어여 재밌게보세영ㅎㅎ
출처는 보그!!



==================

시상식과 결산의 계절이 돌아왔다. 하지만 그것들이 한 해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모두 반영하지는 못한다. 특히 팝 시장에서는 인기와 영향력이라는 1차 평가 기준을 뛰어넘지 못해 묻히는 시도가 많다. 올해처럼 흥미로운 K-팝 콘텐츠가 많았던 해는 그게 아쉽다. 그래서 조회 수와 무관하게 2022년 가장 신선한 한국 뮤직비디오를 꼽아보았다.


BIBI(비비)_Animal Farm(가면무도회)

올해 비비의 모든 뮤직비디오는 기립 박수감이다. <킬 빌>의 오마주인 ‘가면무도회’, 야쿠자 영화의 클리셰를 성별 전환시킨 ‘나쁜년’은 스케일로나 대담함으로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한국 영화와 K-팝은 모두 고유성보다 온갖 레퍼런스를 흡수, 창의적으로 재조합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하지만 비장하고 수위 높은 장르물로 대표되는 한국 영화와 밝고 화려한 K-팝은 결이 다르다. 비비의 뮤직비디오는 일관되게 이 세계관의 통합을 시도한다. <타짜>를 연상시키는 ‘사장님 도박은 재미로 하셔야 합니다’, <괴물> 오프닝을 오마주한 ‘인생은 나쁜X’에서 조짐이 보였고, 이번 앨범 <Lowlife Princess: Noir>에 이르러서는 작정한 듯 영화적인 영상을 쏟아내고 있다. ‘가면무도회’와 ‘나쁜년’뿐 아니라 섹스, 데이트 폭력, 살인, 사체 훼손, 착란, 약물 중독을 담은 ‘조또’ 역시 수위가 높다. 뮤직비디오가 방송보다 인터넷으로 더 많이 소비되는 세상이니 이런 시도도 가능하다. 과거 유행한 드라마타이즈드 뮤비와 달리 비비의 누아르 비디오는 스토리를 설명하려는 강박 대신 익숙한 이미지를 차용해 설명하지 않고도 설명되는 효과를 낳는다. 감각적이고 강렬하다. 톱스타를 고용하는 대신 비비 자신이 배드애스 역할을 연속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는 것도 훌륭한 아이디어다. K-팝 비디오의 표현법을 완전히 무너뜨리는 데다 비용도 부담이었을 이 시도는 음반 제작자 자신이 강한 창작욕을 가진 아티스트이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한 편의 비디오 아트 같은 ‘철학보다 무서운 건 비비의 총알’이나 최소한의 장치로 고혹을 표현한 ‘불륜’은 이번 앨범 프로젝트가 야심만큼이나 창의력에 기대고 있음을 드러낸다. 가장 만족스러운 건 ‘가면무도회’다. ‘내가 대체 뭘 보고 있는 건가’ 생각이 들 정도 파격에다 음악과의 어우러짐도 좋다. 자본가의 위선과 속물성을 비판하는 내용도 강렬하다. 비판의 대상은 K-팝의 매너리즘이나 성 상품화로 해석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진한 여운을 남긴다. 이번 작업물의 수위나 규모가 아니라 발상의 대담함, 도전 정신, 뮤직비디오를 대하는 관점이 K-팝의 또 다른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



박재범(Jay Park)_GANADARA(Feat. 아이유 IU)

뮤직비디오 창작 과정을 다룬 메타텍스트성 코믹 뮤비다. 박재범이 톱스타 아이유를 뮤비에 출연시키려 애쓰는 내용이다. 박재범과 아이유가 자신을 연기한다. <SNL 코리아> 크루로도 활약했던 박재범에게 꼭 어울리는 재치 넘치는 연출이다. 단순 몽타주가 아니라 ‘뭔가 재미있고 정신 나간 것을 만들어보자’고 으쌰 으쌰 하는 분위기가 화면 밖으로 뿜어져 나와서 보는 마음이 밝아진다. 웃음을 자아내지만 전혀 과격하지도 키치하지도 않다. 우아하고 지적인 유머다. 해학도 있다. 이 비디오는 솔직하고 소박한 가사, 여유로운 분위기를 가진 ‘가나다라’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





Slom_아니라고(Feat. Zion.T) Official M/V

일본 독립 영화를 연상시키는 미니멀하고 섬세한 연출, 배우 백수장과 리내의 신선한 마스크, 조용히 끓어오르는 감정선이 심장을 씻어 내린다. 직장 동료를 욕망하는 남자가 주인공이다. 취중 일탈인지 남자의 상상인지 모를 섹스, 연애로 발전하지 못하는 산발적 호감, 남자의 정서가 붕괴되는 모습을 통해 관계의 어려움을 그렸다. 화려한 물량 공세 대신 리얼한 배경과 설정으로 순식간에 몰입하게 만드는 유려한 작품이다.



KARDI(카디)_WatchOut

<슈퍼밴드 2>에서 결성된 5인조 밴드 ‘카디’는 EDM 곡 ‘WatchOut’과 함께 간결하고 힘 있는 뮤직비디오를 내놓았다. 비디오는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나 <매트릭스>를 연상시키는 안무를 통해 한 몸 안에서 벌어지는 다른 자아들의 대결 혹은 외부 침입자에 인해 식민지화된 신체를 묘사한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지만 K-팝의 맥시멀리즘, 눈이 얼얼하도록 현란한 몽타주, 의미 없는 클로즈업, 매끈한 이미지에 지친 음악 팬들에게는 환기가 되기에 충분하다.



(여자)아이들((G)I-DLE)_TOMBOY

올해 K-팝 메인스트림에서 뮤직비디오 자체로 가장 화제를 모은 작품이라면 이것이다.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 상을 받았고, 유튜브에서 2022년 가장 많이 시청한 K-팝 뮤비 4위에 올랐다. 1위, 5위, 10위가 임영웅이고, 2위는 슈가가 피처링한 싸이의 ‘That That’, 3위가 빅뱅 고별작 ‘봄여름가을겨울(Still Life)’임을 고려하면 팬덤 규모에 비해 이례적인 선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전반부는 K-팝 뮤비의 정석 같은 연출인데 후반부 바비 인형을 활용한 스톱모션이 의외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강인하되 악동의 천진함을 가진 톰보이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장치다. 얼핏 뻔해 보이는 화려한 의상과 화장으로 미끼를 던진 후 바비 인형을 처형하는 것으로 메일 게이즈를 무색하게 만드는 연출이 재미있다.


tripleS(트리플에스)_Generation

기존 한국 아이돌의 ‘스쿨걸 컨셉’이 서구의 자유분방함을 이상향으로 삼고 모방했다면 이 뮤비에서는 서울의 일상이 캘리포니아나 뉴욕을 대체한다. 그것이 오히려 새롭고 현대적이고 개성 있다는 느낌을 준다. 세계 청소년이 가장 동경하는 도시가 된 서울을 배경으로 K-팝 스타를 꿈꾸는 인물들이 등장하고, 우리에겐 익숙한 이 도시의 번잡함, 차가움, 역동성이 긍정적으로 재해석된다. 아파트 단지를 배경으로 춤추는 소녀들, 보행기를 짚고 카메라를 등진 채 걸어가는 노인이 교차되는 장면은 절로 눈웃음이 지어질 만큼 재치 있고 사랑스럽다. 올해는 니키(Niki)의 ‘High School in Jakarta’, 려위위의 ‘Fortuna’, 이하이의 ‘머리어깨무릎발’ 등 아시아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뮤직비디오가 여럿 등장했다. 아시아의 컬처 파워와 자신감이 반영된 결과다. 이게 바로 동시대성이고, 서구 문화를 열화 복제하는 습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부 구세대 엘리트들이 자각해야 할 현상이다.


출처 보그
Comment
Suggested
Recent
I Love These^~^.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이동진 평론가의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해석(스포)
1부 2부 3부에 똑같이 나오는 영수증 정리 장면 노래방 기계 = 에블린과 가족들의 행복을 상징 하지만 국세청 직원은 이게 지금 세탁소랑 뭔 상관이냐고 인정해주지 않는다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마저 외면 당하는 에블린의 상황 조부가 악당이 된 이유는 알파 에블린의 강압으로 우주의 모든것을 경험하고 허무주의에 빠지게 된것 모든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더이상 가능성이 남아있지 않은 조부는 허무와 죽음만 생각한다 반대로 에블린은 실패와 후회가 많기 때문에 모든걸 경험할수 있는 사람 조부가 계속해서 강조하는말 "통계적인 필연성" 그리고 에블린이 조부를 막기위해 하는 어처구니없는 행동들은 "통계적으로 개연성이 없는 사건들" 정반대로 생긴 베이글과 눈알 모든걸 올렸지만 허무주의를 상징하는 베이글과 장난스러워 보이지만 삶을 버티게하는 행복과 소중한 일들을 상징하는 눈알 거대한 진리는 우리를 절망시키지만 다시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것은 주변 사람과의 사소한 행복 절대 자길 속일 수 없다 말하던 국세청 직원은 남편 웨이먼드가 챙겨간 쿠키를 먹고 쿠키가 맛있다 말하며 저녁까지 시간을 연장해준다 웨이먼드가 준 쿠키에도 정확히 중간에 땅콩이 있음 쿠키 = 인형눈알 지독해보이던 국세청 직원도 조금의 배려와 웃음이 있다면 바뀔수 있는 사람인걸 보여줌 이미 초반부터 암시되어있는 다정함의 힘 알파 웨이먼드가 최악의 에블린에게 하는 말 "가장 능력이 없고 해본게 없고 후회가 많은 에블린이 역설적으로 가장 가능성 있기 때문에 조부에게 맞설수 있다" 영화에서 정신없이 수많은 멀티버스 에블린이 되는건 에블린 역시 딸의 입장이 되어보는것 그리고 에블린은 조부와 마찬가지로 자기파괴적으로 변한다 자기파괴적으로 변한 에블린을 막아주는것은 남편 웨이먼드 남편 웨이먼드 = 최악의 웨이먼드 성공한 멀티버스의 웨이먼드 = 최선의 웨이먼드 하지만 최선의 웨이먼드는 최악의 웨이먼드의 삶을 그리워한다 나를 만든 환경때문에 모든걸 파괴하고 죽고싶다 생각하는 조부 그리고 상황이 잘못된건 자기자신 때문이라 생각하는 웨이먼드 웨이먼드는 "왜 싸우는지 이해가 안되고 혼란스러울땐 그냥 다른사람에게 다정해지자" 말한다 조부와 함께 죽고 파괴하려던 에블린은 웨이먼드의 말을 듣고 자기자신을 생각하게 됨 영화의 첫 장면부터 나오던 다정하고 장난을 좋아하던 에블린의 모습 삶의 행복을 다시 생각할때 떠오른건 가족과의 사소한 일상들 마지막 우스꽝스러운 액션씬은 다시 세상을 다정하게 대하게된 에블린의 모습을 보여주는것 철학과 흥미로운 연출 그리고 사람에 대한 따뜻한 시선까지 함께 갖춘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원스 (감독들도 이동진과 비슷한 해석으로 만들었다 한적이 있으니까 꿈보다 해몽이다 이런말은 자제해주길....!)
명곡의 힘이 얼마나 큰 지 보여주고 있는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이 글은 18년 영화 개봉당시에 작성되었습니다 ! 영국의 전설적 밴드 '퀸'에 대한 전기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최근 우리나라랑 미국 등에서 거의 나란히 개봉한 상황 그리고 현재 로튼 지수 토마토는 평론가 평이고 팝콘지수는 일반관객평인데 팝콘지수가 압도적으로 높은걸 알 수 있음ㅋㅋㅋ 원래 대중에게 공개 전에 시사회만 했을 땐 평론가 평 더 낮았었는데, 개봉 후 대중들 평이 좋아서 오히려 평론가 평이 더 올라간 상황. 미국 첫 주 박스오피스 수치 예상 상황도 당초 예상 수치를 훌쩍 뛰어넘은 44.5M으로 1위고 우리나라도 개봉3일차에 이례적으로 cgv 에그지수(실관람평) 99% 유지중인,, 전기영화로 보면 부족한 점도 많고, 잘 만든 영화는 아니지만 막상 영화 본 관객들 만족도는 최상인 그런 영화인듯ㅋㅋㅋ 그리고 그 이유는 역시 노래와 배우들 연기에 대한 호평이 대부분 We Will Rock You We Are The Champions Love of My Life Somebody to Love Killer Queen 등 살면서 어디서 한번 쯤은 꼭 들어봤을 노래들이 나오고,,, 특히 85년도 웸블리 콘서트 장면은 고증에 영화도 제일 많이 신경 쓴 것 같고 관객들 반응도 제일 좋은 부분 실제 콘서트 영화 속 장면 영화 보고 나서 실제 공연 영상보고 얼마나 똑같이 재현했는지 다시 보는 것도 꿀잼! 마지막으로 영화 제목이자, 프레디 머큐리 최고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노래 <보헤미안 랩소디> 한글 자막버전 올리고 사라집니다,, 출처ㅣ쭉빵카페
나이 먹으면서 마음이 안정된 사람 특징
자기가 돈을 벌면서 경제적인 숨통이 트임 정말 어릴때 돈때매 너무 고생하다가 나이먹고 일하면서 경제적으로 숨통이 좀 트이면 확실히 사람이 마음에 여유가 생김 내가 번 돈으로 가끔 좋은 카페나 식당도 가고 꼭 사고싶었던 좋은 물건을 사도 죄책감 안 느낌 생존 이외의 것들을 누리며 오는 만족감이 굉장히 큼 이때 독립을 하기도 하는데 나의 공간이 생기는데서 오는 안락함과 편안함이 또 큼 인간은 생각보다 남한테 무심하다는걸 알게됨 보통 어릴때는 다들 자의식 과잉상태라 남들이 나에게 관심이 많다고 생각해서 그걸 의식하는 행동을 하는데 나이먹으면 좀 덤덤해짐 나도 내가족 내가 좋아하는 사람 말고는 별생각 없음ㅋㅋ 그냥 정말 별난거 아니면 아무 생각이 안 들음... 외모 강박에서 벗어남 자기 자신을 좀 알게됨 어릴땐 사실 자기가 좋아하는거 싫어하는것도 모호하고 자기자신의 성격이나 성향도 잘 모르기 쉬운데 나이 먹고 경험이 쌓이면서 자기가 누군지 조금 알게됨 자기가 잘하는거랑 못하는게 어느정도 파악이 됨 스스로를 예측 가능하게 되면서 어릴때 느꼈던 이유없는 불안감이 좀 감소됨 불편한 상황을 감지해서 피하는게 조금 가능해지고 자기의 취향도 점점 명확해짐 지나치게 관계에 집착하지 않음 진학 취업 이직 결혼 출산크리를 거치며 인간관계의 대격동을 겪고 나서 오히려 관계로부터 자유로워지기도 함 관계는 생각보다 유약하지만 또 질기고 친하고 안친하고가 고정되어있는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된다는걸 어렴풋이 알게됨 완벽한 관계에 대한 환상이 좀 깨지면서 되려 더 편해짐 사실 일하느라 바빠서 전처럼 관계에 쏟을 에너지가 많지도 않음ㅋㅋ 생각보다 삶의 형태가 다양하다는걸 알게됨 어릴땐 시야가 좁고 알려주는 사람도 적어서 수능망하면 망한다... 뭐하면 망한다...사회애서 도태된다... 이런 극단적인 사고에 갇히기 쉬운데 나이먹으며 이인간 저인간 만나고 보니 이래도 살아지고~ 저래도 살아진다~는게 느껴짐ㅋㅋ 꼭 대단한 무엇인가가 되지않아도 좋다는 생각이 듦 히루하루 평범하고 별일없이 사는것도 어렵다는걸 알게됨 걍 성실히 남한테 해 안끼치는 선에서 살자고 생각함 어릴때 감정적으로나 재정적으로 고생하다가 나이먹으면서 조금 여유 생긴 사람들은 몇살때로 돌아가고싶다~이런것도 별로 없음 그 고생을 또 하라고....? 이런생각 들어서 ㅋㅋ 출처: 더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