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aubon
1,000+ Views

이탈리아 인구 감소 문제

한국인이 할 소리는 아니지만 인구 감소에 대해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나라는 많이 있다. 중국도 인구가 줄 것으로 보이고, 유럽에서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최저 출산률을 두고 경쟁 중, 그래도 1.0을 넘어가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탈리아의 출산률은 현재 1.25, 유럽에서는 제일 낮은 수준이고 이탈리아 인구 또한 6천만 명을 밑돌고 있으며 인구는 감소 추세이다. 지난 7년간 이탈리아 인구는 180만 명이 줄어들었다.

EU를 알아봅시다. (1) 부모로부터 독립이 너무 늦다. 이탈리아는 서른살인데, 프랑스의 경우는 23살이다. (2) 25-34세 사이 실업(학업이나 취직이 아님을 의미한다) 비율 또한 프랑스의 두 배나 많다. 38%만이 취직을 저 나이 때에 한다. (3) 임대료가 너무 비싼 것도 이유이기는 한데, 이는 여성 고용률이 유럽에서 제일 낮아서일 것이다.

(4) 그리고 아마 핵심적인 이유일 텐데, 육아를 사회가 아닌 가족에 기반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프랑스의 경우 2세 미만의 어린이 50%가 보육원에 가는 반면 이탈리아는 27%에 불과하다. 그래서 대응이 나왔나요? 가족법이 2022년 4월에 통과됐는데 여기서 무조건 아이 한 명당 50유로가 지급되는 것으로 나온다. 별로 대응이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현실적으로는 이민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말입니다. 출산률 관련하여 그렇게 칭찬을 많이 받고 연구 대상이 되어 온 프랑스도 2022년 경고를 보내왔다. 인구 증가세와 사망자 증가세가 2022년 들어 수렴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 (11월까지) 72만 명의 아이가 태어났지만 2021년에 비해 2.6% 감소했다. 그래서 출산률이 이제 프랑스도 1.8이 안 된다. 반올림하면 되기야 되지만 2022년 추정치는 1.796.

우리 기준에서는 배부른 고민이 아닐 수 없겠다. 출산률 관련해서 프랑스는 여전히 모델 국가가 맞으며, 비교적 출산률이 높은 유럽 국가들(프랑스, 스웨덴, 덴마크)은 GDP의 3.5% 정도를 가족 정책에 투자하고 있다고 한다. 가장 낮은 국가들(이탈리아와 스페인)은 평균 1.5%만을 투입하는데 말이다.

사실 핀란드를 봐도 출산률은 영원히 수수께끼이다. 핀란드처럼 출산과 육아 지원이 국가와 사회 모두 따뜻하기 그지없는 나라도 출산률이 1.4 (2022년 기준) 수준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이 출동한다면?

----------

참조

Naissances au plus bas, espérance de vie qui stagne : la démographie française percutée par le Covid-19(2023년 1월 17일) : https://www.lemonde.fr/lmdgft/1/NjE1ODE5Ni13aHllcWRlZ2RhZGU=

Fécondité : pourquoi la France reste une bonne élève en Europe(2023년 1월 17일): https://www.lemonde.fr/societe/article/2023/01/17/fecondite-pourquoi-la-france-reste-une-bonne-eleve-en-europe_6158199_3224.html

La chute de la population italienne est-elle irréversible?(2023년 1월 16일): https://www.lefigaro.fr/international/la-chute-de-la-population-italienne-est-elle-irreversible-20230115

짤방이 바로 위 피가로 기사에 나온 두 번째 사진인데, 첫 번째는 유럽 주요국의 출산률 추세이고, 두 번째는 2021년 이탈리아 지역별 출산률이다. 이탈리아 남부가 1970년대까지는 인구 증가의 핵심 지역이었는데 이제는 감소의 핵심 지역이 되어버렸다. 다만 시칠리아의 출산률이 좀 특이해 보인다.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no title)
교수라는 쓸모 없는 것들. 주둥이는 세상을 뒤집어놓을 듯하지만 막상 일을 맡겨 놓으면 멍때리거나 뒤로 내빼는 잡놈들. 자리 욕심 낼때는 아귀 야차같이 덤벼들지만 막상 한 자리씩 차지하고 나면 뭘 할지도 모르는 등신들 저 혼자 잘난 척은 다하며 여기저기 끼어들어 참견하지만 막상 일을 할 줄은 모르는 자들. 남을 부려먹을 줄 알았지 자신이 힘을 들여 일할 줄은 모르는 자들 자리 욕심은 많아서 부와 권력이 따르는 자리라면 어떻게 든 차지하려고 온갖 로비를 해대지만 막상 그 자리에 앉으면 하는 일이 없이 이름만 차지하고 있는 거지새끼들. 온 동네 돌아다니며 성인군자 노릇은 지들이 다 해쳐먹고, 지 귓구녕에 거슬리면 훈장질하기 바쁘지만, 싸워야할 때가 되면 뒤로 도망치고, 앞장선 사람 뒷통수에 지적질이나 해대는 무용지물 쓰레기들 앞으로 정권을 되찾아 온다면 절대 들여서는 안되는, 발도 못불이게 해야할 자들이 바로 교수라는 자들이다. 이낙연 패거리들만큼이나, 조폭 검사들 만큼이나 절대 믿어서는 안되는, 결단코 등용해서는 자들이다. 지금도 여기저기 기웃대며 투사인척 지사인척 나불대며 문재인 대통령 욕하는 새끼들의 절반이 교수라는 놈들이다. 도대체 싸움이 한창일 때는 어느 구석에 처박혀 있다가 이제 기어 나오는지... 신문 한쪽에 이름이나 내려고 할 뿐, 지 이름 자나 찍혀 나오길 바랄 뿐, 머리 속에 별로 든 것도 없는 것들이 잘난 체만 할 뿐이다. 이런 자들 때문에 분열이 생기고, 떠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 먹물도 안든 것들이 먹물 짓 하려고 드는데, 이건 웃기지도 않는다. - 장용진기자 https://www.facebook.com/100001022273761/posts/pfbid0Wkw4AWk7GMkqyt5k3wgzzvEuXFfnhKM8dF3Hz1P7f63GWDqBZVjdDK3ZxW1DmFP2l/?mibextid=Nif5oz
소련 산업은 디트로이트에서 건설됐다.
먼저 아래 영상을 보시기 바란다. 드미트리 고든(Дмитрий Ильич Гордон) 쇼의 2019년 클립이며 인터뷰어는 우크라이나의 유명 방송인, 드미트리 고든이고 인터뷰하는 할아버지는 마크 솔로몬(Марк Семёнович Солонин, 1958-)으로서 러시아의 군사 역사학자였다가 우크라이나로 쫓겨나다시피했던 인물이다. 당연히 사실을 말해서였을 것이다(참조 1). 여기서 한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 러시아는 친구 없이는 큰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것을 말이죠. 나폴레옹 전쟁 때에는 영국이 러시아를 도와줬고, 세계대전에서는 미국이 러시아를 도왔으며, 이게 단순히 “도와줬다”거나 혹은 그냥 화이팅 해줬다는 것이 아니다. 어차피 T-34 탱크 자체를 미국이 설계했었고, 미국이 만들어준 공장에서 생산했거니와 모든 원자재, 항공유, 의약품까지 전쟁에 필요한 모든 것을 미국이 대줬기 때문이다. 바로 이 모든 것이 아메리칸스키였다는 증언이다. 그리고 그때 갑자기 미국 물자와 지원이 쏟아진 것이 아니었다. 이 모든 작업(?)은 1920년대 스탈린과 미국의 끈끈한 교류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래서 소련 산업은 디트로이트에서 건설됐다라는 말이 나오는 것인데(소련 산업을 헨리 포드가 일으켰다는 말도 있다), 설명(참조 2)하자면 이렇다. 소련의 경제 설계자 칭호를 받는 미코얀(참조 3)에게는 심복이 한 명 있었으며, 그의 이름은 사울 브론(Саул Григорьевич Брон, 1887-1938), 소련대표로 직접 미국에 들어가서 지원을 얻어내는 장본인이다. 그는 뉴욕에 Amtorg 무역회사를, 런던에 All-Russian Co-operative Society를 세웠고, 그가 Albert Khan이라든가 헨리 포드라든가, 그 외에도 온갖 지원을 받아낸다. 이를 당시 미국 공화당 외교위 상원의원, Wiliam Borah(1865-1940)의 지지를 받았고 말이다. 그렇게 해서 1920년대 미국인 기술자들이 대거 소련으로 들어와서 소련 산업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특히나 디트로이트 엔지니어와 건축가들이 많이 동원됐으며, 트랙터와 자동차, 항공기, 발전소, 주조, 단조, 제강, 압연, 야금, 볼베어링, 알루미늄, 석면, 기계, 섬유, 식품가공 등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부류의 공장을 1920-30년대 미국인들이 만들었다. 스탈린의 치적으로 손꼽히는 ДнепроГЭС, 그러니까 드네프르 댐도 미국이 전체 과정을 감독했었다. 그래서 히틀러가 11941년 8월 소련의 공급망과 여러 공장들을 많이 파괴시키기는 했지만, 이거 원래 다 미국이 해준 겁니다. 사실 소련의 공급망은 미국이 제일 잘 이해하고 있었죠. 그래서 미국의 원조가 적재적소로 들어가고, 렌드리스로 몰아주기가 더욱 더 효과를 발휘한 것이었다. 전술적으로야 무슨 말이든 할 수 있겠지만 전략적으로 히틀러의 가장 큰 실수는 미국 렌드리스의 효과를 얕잡아봤다는 점 아닐까? 그래서 이번 전쟁을 보고 제1차세계대전이네, 리보니아 전쟁이네, 한국전쟁이네 말이 많은데 어쩌면 제2차 세계대전의 성격도 어느 정도 갖고 있다는 말씀. 지금의 렌드리스가 어디로 향하는지 보시라. ---------- 참조 1. 영상 클립 자체는 우크라이나 내무부 자문관, 안톤 게라슈첸코의 트윗에서 가져왔다. https://twitter.com/Gerashchenko_en/status/1620113612818767882 드미트리 고든 쇼의 2시간 정도 되는 인터뷰 영상은 여기: https://youtu.be/wrUq7QQOkZA 참고로 표정이 영 뚱하기는 하지만 드미트리 고든은 우크라이나를 위해 열심히 뛰고 있는 인물이며, 마크 솔로몬은 러시아 내부에서는 “수정주의 역사학자”로 널리 비판받는 인물이다. 2. 이 부분은 이번 전쟁 때문에 유명해진 카밀 갈레예프 덕분에 알았었다. 그의 롱트윗(2022년 3월 19일)을 보자. 러시아가 친구 없이는 전쟁에서 못 이겼다는 말도 그의 트윗에서 가져온 발언이다. https://twitter.com/kamilkazani/status/1505247886908424195 3. 소련의 햄버거(2020년 9월 6일): https://www.vingle.net/posts/3099447
생각보다 러시아에서 기업들이 나가지 않은 건에 대하여
이건 좀 놀라우면서도 놀랍지 않은 소식이다. 스위스 공립 생갈렌 대학교(University of St. Gallen) 경제학과 Simon Evenett 교수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국가경쟁력 랭킹을 내는 그곳이며 우리나라는 22년 27위를 기록했다) Niccolò Pisani 교수의 최신 SSRN 페이퍼를 냈는데, 먼저 짤방을 봅시다. 러시아에서 그토록 많은 기업들이 철수했다고 발표했거늘, EU와 G7 국가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실제로 러시아를 떠난 기업들 비중은 어떤 기준으로 보든 그림에서처럼 얼마 안 된다. 사실 이걸 수치로 보면 더 와닿는데… 2022년 11월까지, EU 및 G7 국가들 기업들 중 8.5%만이 자신 혹은 산하기업을 퇴출시켰을 뿐이다. 정확히는 120개사 뿐이다. 이 120개 기업들의 원래 국가별 통계를 보면 미국이 그나마 많이 차지했으며, 2위는 뜬금 없이 핀란드(…). 그대로 남은 대다수 기업들 중에서 국가별 통계를 보면 독일 기업이 제일 많이 남았으며, 그 다음은 키프로스(CY)인데 사실 키프로스는 기업들 실제 소유주가 아마 대체로 러시아인/러시아계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실질적인 2위는 일본이다. 역시 겉으로만 그렇고 실제로는… 아 아닙니다. 사실 이 논문을 자세히 보면 다 나오는데, 이미 기업들 목록 관련 작업을 한 곳이 두 곳 있었다. 하나는 예일대(참조 2), 다른 하나는 키이우 경제대학이다. 제일 광범위한 조사를 벌이는 곳은 키이우 경제대학인데 여기 최신 통계(참조 3)를 보더라도 실제로 러시아를 떠난 기업은 177개 밖에 안 된다. 그러니 어느 정도는 스위스측 페이퍼가 맞다는 방증일 것이다. 다만 일반인 보기에 훨씬 편한 곳이 예일대 통계인데, 여기서 보면 재밌는 사항이 있다. 회사/국적별로 검색이 쉽게 해놨기 때문인데(참조 4), 가령 한국의 경우 6개가 올라와 있으며, 제각기 사연이 다 있다. 포스코, HMM(이전에 현대상선), : 산하기업을 통해 운영 중 현대자동차 : 공장 운영 중단 대한항공 : 항공편 취소 LG전자 : 신제품 출하를 중단 삼성 : 러시아로의 출하를 중단 자,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냐고? 직접적으로 침략전쟁을 일으켰으며, 시장 크기가 (작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거대하다고까지 할 수 없을 러시아 시장과의 디커플링도 이렇게 어렵다. 중국과의 디커플링은 과연 어느 정도나 가능할까? 기업들 탈출은 서방 각국 정부가 지시한 사항도 아니고, 사실 기업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할 수도 없긴 하다. 현실은 더더욱 복잡하다. 가령 러시아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나온 것으로 되어 있는 맥도널드는 탈출을 하면서 “재진출 옵션”을 넣어뒀다(참조 5). 사정이 호전(?)되면 언제든 다시금 오겠다는 의미인데, 이런 조항은 일본 닛산 자동차(참조 6)도 6년으로 넣어뒀었다. 즉, 러시아를 탈출했다는 기업들이 이런 안전장치를 해놓고 나갔다는 뜻도 된다. 요새 러시아 싸우는 걸 보면 제재는 확실히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건 공급망 관련이지, 기업들을 가지마라의 의미가 아니긴 하다. 그 기업들이 여전히 러시아에 많이들 남아있고, 향후 1-2년내 큰 변동이 없으면서 가령 6년 후에 닛산 같은 곳들이 되돌아간다면… 기업 vs. 정부에서 어쩌면 기업이 승자라고 해석해도 될까? 물론 여기서 승자의 의미는 여러 해석이 가능하다. ---------- 참조 1. Less than Nine Percent of Western Firms Have Divested from Russia(2023년 1월 13일):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4322502 짤방은 p11에 나온다. 2. https://www.yalerussianbusinessretreat.com/ 3. 업데이트는 이곳이 제일 빠르다. 37th issue of the weekly digest on impact of foreign companies’ exit on RF economy(2023년 1월 23일): https://kse.ua/about-the-school/news/37th-issue-of-the-weekly-digest-on-impact-of-foreign-companies-exit-on-rf-economy/ 4. https://som.yale.edu/story/2022/over-1000-companies-have-curtailed-operations-russia-some-remain 5. Mcdonald's will have a 15-year option to buy its restaurants in Russia back(2022년 6월 2일): https://www.reuters.com/business/retail-consumer/mcdonalds-will-have-15-year-option-buy-its-restaurants-russia-back-2022-06-02/ 6. Nissan takes $687 mln loss as sells Russian business for 1 euro(2022년 10월 11일): https://www.reuters.com/markets/deals/japanese-automaker-nissan-sells-off-russian-business-state-trade-ministry-says-2022-10-11/
홈트 한달 루틴, 헬스장 머신활용 전신 및 분할 루틴 (feat.핏블리)
핏블리가 올려준 운동 루틴인데 원덬이가 보고싶어서 모아옴 [홈트 한달 루틴] 매주 일요일 '웨이홈트' 영상 올리고 있으니 매일매일 따라해 주세요🙂 초보자는 맨몸으로, 초중급자 부터는 2~3kg 덤벨을 들고 따라해 주세요!! [핏블리 웨이홈트] - 근손실 없는 전신 덤벨운동 끝판왕 리얼타임 홈트 루틴 https://youtu.be/i3iqW5Lf8i0 - 상체 다이어트+근 성장 덤벨운동 프로그램 4가지 https://youtu.be/o-9ZuMtC8MA - 집에서 근육을 만들려면 따라해야하는 엉덩이 덤벨 운동루틴 4가지 https://youtu.be/YnT9O3NaJbc [헬스장 루틴] <주 2회> - 근력 운동을 처음 시작했다면 처음 1~2개월 동안은  운동하는 습관이 몸에 베일 수 있도록 주 2회로 운동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 초보 단계에서는 여러 관절과 근육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관절 운동을 통해  기초적인 운동능력을 기르고 운동과 다음 운동 사이의 간격은 여유롭게 잡는 것이 좋아요 - 초보자용 루틴표를 확인해 보세요. <주 3회> - 조금 더 시간적 여유가 생기고 체력이 길러지신 분, 중급자 이상은 횟수를 늘려 주 3회로 운동을 해보세요. - 운동 목적에 따라 루틴을 구성하시는 것이 좋은데  근육의 부피를 키우고 싶다면 분할 방법을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중급자용 루틴 표를 확인해 보세요. 👇아래 영상에 자세히 정리해 뒀으니 꼭! 시청해 주세요🙂 출처 - 더쿠
지구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조건들
안정적이고 적절하게 오래 핵융합을 하는 K~G형 주계열성을 모항성으로 둬야함 G형 주계열성에 속하는 태양의 나이는 45억년 정도이고 앞으로 63억년 후에는 적색거성화가 진행돼서 지구는 불지옥이 됨 모항성의 에너지를 적절하게 받을 수 있을만큼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적절하게 떨어진 골디락스 존에 위치해야함 모항성을 적절한 궤도로 공전해야함 골디락스존에 속해있더라도 공전궤도가 타원형이라던가 하는 경우엔 얼음지옥과 불지옥을 번갈아 경험하게 됨 적절하게 기울어진 자전축과 적절한 자전주기가 있어야함 만약 한 곳에만 꾸준히 태양빛을 많이 받는다고 가정하면 열 순환 과정에서 강력한 태풍이 수시로 발생함 대기와 바다를 날려버리는 태양풍과 적외선을 막어줄 적절하게 강력한 행성자기장이 필요함 행성자기장은 액체 상태로 대류하는 자성체 금속에 의해 발생하는데, 보통 암석행성은 강력한 자기장을 갖기 어려움 하지만 지구는 적절하게도 철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음 또한 내부 대류를 활발하게 해주는 적절한 질량과 거대 위성(달)을 가지고 있음 이렇게 적절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행성 크기에 비해 아주 강력한 행성자기장을 갖고있음 거대한 질량의 행성이 적절하게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자신의 중력권으로 소행성을 인터셉트 해주는 ‘선량한 목성’이 필요함 목성이 조금만 더 가까이서 태양을 공전했다면 소행성 뿐만 아니라 지구에까지 중력 영향일 미치는 ‘사악한 목성’이 됐을 것임 이렇게 적절한 지구와 태양계 환경에 한번쯤 감사하도록 하자 고마워 지구야! 지구촌갤러리 거대코갤러님 펌
낙태의 자유와 프랑스 헌법
사실 시작은 그리 아름답지 않았었다. 장 뤽 멜랑숑(참조 1)의 최측근 중 하나였던 아드리엉 카트넹스(Adrien Quatennens) 하원의원의 불미스러운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부인에 대한 폭행 때문이었는데 그는 거짓말을 한 혐의를 받았고 기사에도 나오지만(참조 2) 결국 기소도 당했다. 쉽게 말해서 멜랑숑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준 셈인데, 그걸 좀 가리기 위한 전술이 바로 낙태 권리의 헌법화였다. 즉? 멜랑숑 당(LFI)의 한 하원의원이 낙태의 헌법화 제안을 던졌는데 이게 웬 걸? 언제나 낙태를 헌법적 권리로 생각하고 있었다던 마크롱의 발언에 힘입어 여당 그룹이 여기에 찬성한다. 그래서 여느 법률처럼 상원으로 건너간다. 그리고 상원으로 건너간 헌법개정안이? 이번에는 우파의 지지에 힘입어 통과된다(참조 3). 물론 텍스트가 좀 바뀌었다. 처음에는 “권리(droit)”로 표현됐던 단어가 “자유(liberté)”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다. 해당 조항은 헌법 제34조이다. «La loi détermine les conditions dans lesquelles s'exerce la liberté de la femme de mettre fin à sa grossesse» «여성이 자신의 임신을 끝낼 자유를 행사할 조건들을 법률로 정한다.» 논쟁이 됐던 부분이 바로 “…자유”인가, “…권리”인가였다. 하원에서 투표했던 단어는 권리였고 상원에서 채택한 단어는 “자유”이다. 수정을 주도한 이는 필립 바스(Philippe Bas) 공화당 상원의원이었으며, 프랑스 낙태! 하면 떠올릴 수 밖에 없는 시몬 베이유(참조 4)의 보좌관을 지냈던 인물이기도 하다. 그의 “절대적인 권리라는 건 없습니다”라는 발언이 흥미로웠다. 자, 그래서 이게 정말 헌법에 박히게 되는 겁니까? 노노. 프랑스 헌법 개정들이 대체로 국회(상하원 합동 Congrès)에서 결정되고는 했지만 이게 제안자가 누구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프랑스 개헌은 대체로 정부(대통령)안과 국회의원안에 따라 개시된다. 정부안과 국회의원안은 그 단어 표현 자체가 다르다. 정부안은 projet, 국회의원안은 proposition인지라, 뉘앙스의 차이를 알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정부안은 상하원이 투표로 ㅇㅋ하면 대통령이 국민투표 대신 상하원합동회의(출석 3/5)를 통해 헌법을 바꿀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안은? 상하원이 각각(!) 텍스트를 ㅇㅋ할 경우, 국민투표로 가야 합니다… (참조 5) 그래서 여론이나 의원들이, “이제 총리가 나서라”고 외치고 있는 것이다. 총리가 나서서 정부안을 만들면(참조 5) 국민투표까지 번잡하게 가지 않아도 Congrès에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건 좌우가 따로 없는 일이다. 지난 7월이기는 하지만 여론조사도 국민 중 81%가 헌법 기입에 찬성했다(참조 6). ---------- 참조 1. 장뤽 멜랑숑은 누구인가?(2017년 5월 29일): https://www.vingle.net/posts/2107336 2. Constitutionnalisation de l’IVG: pour les Insoumis, une victoire qui peine à dissiper le malaise de l’affaire Quatennens(2022년 11월 24일): https://www.lefigaro.fr/politique/constitutionnalisation-de-l-ivg-pour-les-insoumis-une-victoire-qui-peine-a-dissiper-le-malaise-de-l-affaire-quatennens-20221124 3. Le Sénat vote l’inscription dans la Constitution de la « liberté » de recourir à l’IVG(2022년 2월 2일): https://www.lemonde.fr/politique/article/2023/02/01/le-senat-vote-l-inscription-dans-la-constitution-de-la-liberte-de-recourir-a-l-ivg_6160176_823448.html 4. 시몬 베이유의 연설(2017년 7월 3일): https://www.vingle.net/posts/2144309 5. Quelle est la procédure de révision de la Constitution de 1958 ? : https://www.vie-publique.fr/fiches/19594-quelle-est-la-procedure-de-revision-de-la-constitution-de-1958 헌법 제89조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 대통령이 제안하는 형태이기는 해도 결국은 총리의 제안(proposition)을 대통령이 전달하는 것에 가깝다. 6. LES FRANÇAIS VEULENT-ILS CONSTITUTIONNALISER LE DROIT À L’AVORTEMENT EN FRANCE ?(2022년 7월 5일): https://www.ifop.com/publication/les-francais-veulent-ils-constitutionnaliser-le-droit-a-lavortement-en-france/ 짤방도 여기서 가져왔다. 헌법에 자발적임신중절(IVG)에 대한 접근의 헌법 추가라는 항목인데, 81%가 찬성한다고 원그래프로 나와 있다. 흥미로운 것은 2022년 대선에서 누구를 택하셨느냐는 오른쪽의 질문이다. 50을 넘기는 하지만 당연하게도 제무르 지지자들의 “예스”가 제일 낮다. 흥미로운 것은 페크레스(공화당)보다 MLP(국민연합)가 더 높다는 점이다. 공화당보다는 르펜이 더 여성친화적이라고 해석하는 건 좀 오버일까? 7. 계속 지켜보고 있는 마리옹 마레샬의 의견도 봅시다. 제무르의 재정복당 부총재를 맡고 있으니 당연히 헌법화에 반대하고 있는데, 이렇게 명문화를 시켜놓으면 의료인의 양심과 자유에 제한을 가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가 눈에 띈다. Marion Maréchal: «Graver l’IVG dans la Constitution, ce serait condamner le principe même de limites»(2022년 11월 23일): https://www.lefigaro.fr/vox/politique/marion-marechal-graver-l-ivg-dans-la-constitution-ce-serait-condamner-le-principe-meme-de-limites-20221123
설악산 생태탐방원
눈과 추위가 살짝 걱정은 되지만 설악산으로~~~ 아점으로 돈가스 먹고 지날때마다 웃음이 나오는 인제 신나는 곳으로 이동 ㅋ 인제 빙어축제 인파가 어마어마하더라구요. 마침 후배가 연휴에 빙어축제에 다녀왔다고 하더라구요 ㅎ 드디어 이번 여행 두번째 생태탐방원 도착… 눈이 많이 왔었던 모양이더라구요. 폭포도 얼어붙은것이 춥긴 추운 모양 ㅡ..ㅡ 거실과 온돌방 하나인 구조…. 화장실, 샤워실, 세면대가 각각 분리된 구조. 수건은 진짜 넉넉하게 비치돼 있더라구요. 오늘은 소원등 만들기를 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맞지않아 그냥 키트를 받아와서 직접 만들어 봤습니다. 이쁜데요. 생태탐방원 근처에는 아무것도 없어서 원통까지 나가서 저녁거리를 좀 사려구요. 근데 제가 생각했던 원통은 오래전 친구들이 자조섞인 이야기로 인제가면 언제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 하던 그 원통인데 와 그런 시골, 오지의 이미지가 아니고 번화한 곳이더라구요. 치킨 포장해와서 와인이랑 먹었습니다. 마침 송골매 공연도 보여주네요… 걱정했던것 보단 춥지 않아서 밖에서 실컷 놀았습니다. 근데 눈이 왜이리 안뭉쳐지는걸까요? 추워서 그런건가… 들어오자마자 따뜻한 면식수햏… 초3이랑 오목도 두고 놀다가 잠이 들었습니다. 와, 전날이랑 완전 다른 기온인데요… 기온이 여기서 더 올라가지가 않네요 ㅋ 아점은 원주휴게소에서 해결합니다.